한때 좋았던 시절의 중국 경제의 실상을 표현한 만평. 수년 전만 해도 기업들에 돈이 넘쳐나 직원들에게 엄청난 보너스를 제공했으나 이제는 완전한 옛 일이 됐다. [이미지=징지르바오]
한때 좋았던 시절의 중국 경제의 실상을 표현한 만평. 수년 전만 해도 기업들에 돈이 넘쳐나 직원들에게 엄청난 보너스를 제공했으나 이제는 완전한 옛 일이 됐다. [이미지=징지르바오]

【뉴스퀘스트=베이징/전순기 통신원 】 중국이 3월 4일 막을 올리는 제14기 양회(兩會. 전국인민대표대회와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전인대와 정협)에서 보통 심각한 상황이 아닌 경제 문제 해결에 필요한 논의를 본격화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일부 경기 부양 정책들은 이미 기본 밑그림이 마련된 상태로 양회 이후 적극 추진될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

징지르바오(經濟日報)를 비롯한 매체들의 최근 보도를 종합하면 현재 중국 경제는 좋다고 하기 어렵다.

홍콩 고등법원에서 청산 명령을 받은 헝다(恒大. 에버그란데)와 5월 17일 관련 심리를 받을 비구이위안(碧桂園. 컨트리가둔)을 비롯한 부동산 개발업체들의 부채 규모가 무려 100조 위안(元. 1경8500조 원) 전후에 이른다는 통계만 거론해도 상황은 잘 알 수 있다.

여기에 지난 1월까지 4개월 연속 디플레이션(물가 하락) 상태가 이어져 온 것이나 춘제(春節. 설) 특수에도 별로 회복되지 못한 소비 부진까지 더할 경우 상황은 진짜 심각하다. 현재 분위기를 보면 디플레이션의 경우 5개월 연속 이어질 가능성도 상당히 농후하다.

외신이나 중국 내외의 일부 싱크탱크들이 최근 올해 중국의 성장률을 4% 중반으로 전망한 것은 이로 보면 너무 긍정적이 아닌가 싶기도 하다.

현장으로 깊숙하게 들어갈 경우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고 할 수 있다. 경기의 바로미터라고 해도 좋을 마트나 식당들이 텅텅 빈 경우가 눈에 확 띌 정도로 전국 곳곳에서 자주 목격되는 것이 현실이다.

경기가 그럭저럭 괜찮다는 소리를 듣는 광둥(廣東)성 등 남부 지방들도 예외는 아니다. 엉망진창이라는 표현을 써도 그다지 과하지 않을 것 같다.

대형 마트 체인들이 직격탄을 맞는 것은 당연할 수밖에 없다.

전국에 500여개의 매장을 보유한 업계 3위인 다룬파(大潤發)의 사례를 살펴보면 잘 알 수 있다. 쓰촨(四川)성 더양(德陽)시, 장쑤(江蘇)성 전장(鎭江)시, 후난(湖南)성 주저우(株州)시 소재 매장들의 문을 최근 닫기로 결정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지난해부터 따지면 13개 매장들이 문을 닫게 되는 것이다. 향후 상황이 개선될 가능성이 상당히 낮기 때문에 지속적인 잇따른 폐점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한때 중국 소비자들을 거의 봉으로 봤다고 해도 좋을 월마트와 까르푸 같은 외자 체인들 역시 마찬가지라고 해야 한다.

영업이 부진한 매장들의 문을 그야말로 가차 없이 닫고 있다. 수년 전부터 비슷한 행태를 보인 것으로 볼 때 마트 업계에 부는 폐점 열풍을 선도하고 있다고 봐도 좋지 않나 싶다.

기업들의 상황이라고 좋을 까닭이 없다.

광둥성의 분위기를 살펴보면 잘 알 수 있다.

춘제가 지났는데도 문을 열지 않는 기업들이 하나둘이 아니다.

심지어 폐업을 전격 선언하는 기업들까지 일부 지역에서 나오고 있기도 하다.

농촌 출신 근로자들인 농민공들이 일할 곳을 찾아 인근 장쑤, 저장(浙江)성 등으로 속속 이동하는 것은 다 까닭이 있다고 해야 한다.

“꼭 생존해야 한다.”는 뜻의 ‘야오훠샤취(要活下去)’가 전국 곳곳의 근로자들이 입에 올리는 유행어가 된 것 역시 마찬가지 아닌가 싶다.

그럼에도 리창(李强) 총리가 이끄는 경제 당국은 자신감과 희망을 버리지 않고 있다.

지난해처럼 5% 안팎 달성이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희망적으로 관측하고 있다. 31개 성시(省市) 및 자치구의 지방 정부들이 제시한 목표치가 대부분 최대 6%인 사실만 봐도 그렇다고 해야 한다.

목표 달성을 위한 정책들 역시 마련되고 있다.

당연히 양회에서 논의를 거쳐 확정될 것으로 보인다. 우선 최근 시진핑(習近平) 총서기 겸 국가주석이 유난히 강조하고 있는 ‘신품질 생산력’ 구호에서 보듯 첨단 산업 발전에 필요한 재정적 지원을 해당 기업들에게 대대적으로 제공하는 방안이 논의될 가능성이 크다.

소비 장려를 통한 내수 진작도 경제난 타개의 효과적 카드로 논의될 것으로 전망된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한 2008년 당시 내놓은 4조 위안 규모의 부양책에 버금가는 파격적 조치가 조만간 취해질 것이라는 전망이 시중에 나도는 것은 확실히 괜한 게 아니라고 할 수 있다.

이외에 부동산 활성화와 지방정부 부채 부담 완화, 전기차를 필두로 한 배터리, 태양광 등 ‘3대 신 성장동력’에 대한 중앙정부 차원의 지원 방향 역시 난상토론의 대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가능한 한 모든 경제 회생 방안을 테이블에 올려 논의하겠다는 얘기가 될 수 있다.

올해 양회가 경제난 타개를 위한 중국 정부의 총력전 전개 의지를 확인하는 장(場)이 될 것이라는 외신이나 싱크탱크의 최근 분석은 분명 괜한 게 아닌 듯하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