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 = 트루스토리] 이상진 기자 = 현대사회 네이밍(이름짓기)의 특징과 파급력을 진단하고, 바람직한 네이밍을 위해 갖추어야 할 요건을 진단한 보고서가 나왔다.

경기개발연구원 김동성 선임연구위원은 19일 ‘네이밍의 名과 實: 이성적 사회를 위해’라는 연구보고서에서 “건강한 시민사회 구현을 위해서는 네이밍에 숨어있는 의도와 코드를 정확히 읽어내고 이를 비판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일반시민들의 역량과 양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네이밍은 대상에 대한 정확하고 명료한 기술이 본연의 기능이나, 사람들의 인식과 사고를 규정하고 특정 방향으로 유도하는 권력의 면모도 갖추고 있다. 최근 SNS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다수의 주체들이 네이밍을 남발하고 있어 이에 대한 올바른 사용과 비판적 해석이 요구되고 있다.

연구보고서는 네이밍을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한다. 우선, 사회적으로 필요하거나 수용이 가능한 네이밍으로, 일반적 기술(보통명사)이나 상업적 표현(상품명), 시대상을 반영해 변천하는 네이밍이다.

문제가 되는 것은 사회적으로 비판적 해석과 선별적 수용이 필요한 네이밍이다. 부정확한 표현(전기료가 아닌 전기세), 가치 편향(‘삽질정부’, ‘공짜점심’), 이데올로기적 함의와 주입, 모호하고 자의적인 해석, 비민주적인 용어, 언어 인플레 및 과도한 미화, 부당한 전제, 선정·전투·공격·과장적 표현, 비속어 및 은어의 확산, 네이밍의 기교적 배열·선택·부정·은폐 등이 이에 속한다.

네이밍은 사물과 관념을 구체적인 인식의 영역으로 끌어들여 인간 상호간에 교류·소통하게 함으로써 사회의 유지와 발전에 기여하는 한편, 프레이밍과 조작의 도구로서 사회를 조종하기도 한다. 자극적이고 비합리적인 네이밍은 인간의 이성적 한계와 감성적 속성을 파고들어 개인과 사회에 용이하게 수용되고 빠르게 전파되어 일정 수준을 넘을 경우 사회적 혼란과 갈등을 초래하기도 한다.

김동성 선임연구위원은 “사회 구성원들 상호간의 건강한 논의와 담론의 장은 이성적 시민사회 구현을 위한 필수 전제조건”이라며 “네이밍은 인식과 소통의 매개체이자 사람들의 생각과 사고를 주조하는 영향력을 갖고 있기에 건강한 논의와 담론을 위한 네이밍의 역할은 막중하다”고 말한다.

김 선임연구위원은 또한 네이밍의 주요 생산자인 정부, 정당, 언론의 역할을 다시금 강조하고, 네이밍의 최종 수요자인 일반사회의 비판적 해석역량도 내세운다. 객관성, 일관성, 명료성, 합리성, 공정성, 입증가능성 등을 네이밍의 명(名)과 실(實)을 판별할 수 있는 기준으로 활용하자는 것이다.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