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사카 유지 교수 전해...5일 원달러 환율 1200원선 넘어 1220원까지 가능성
일본계자금 회수땐 충격 예상...금융당국, "리스크 회피 장치 있어 걱정 말라"

[그래픽=뉴스퀘스트]
[그래픽=뉴스퀘스트]

[뉴스퀘스트=박민석 기자] 일본의 경제보복이 반도체 소재와 화이트 리스트 배제 조치에 이어 금융분야에까지 확대될 경우 한국이 '제2의 IMF사태'를 맞을 수도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한일관계에 정통한 호사카 유지 세종대 교수는 4일 서울경제와의 인터뷰에서 “일본은 한국에 제2의 IMF를 일으키는 것이 목표”라며 “3차 보복의 타깃은 금융분야가 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일본의 화이트 리스트 배제는 시작일 뿐이라는 것이다.

호사카 유지 교수의 주장대로 일본의 금융보복이 현실화 할 경우 한국 경제는 혼란과 위기가 불가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 일본이 2차 경제 보복에 나선 지난 2일 원달러 환율은 10원 가까이 급등, 전일 종가보다 9.5원 오른 1198원에 마감했다.

호사카 유지 세종대 교수. [사진=호사카 유지 페이스북]
호사카 유지 세종대 교수. [사진=호사카 유지 페이스북]

이어 5일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약 2년7개월만에 1200원을 돌파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일 거래 대비 5.6원 오른 1203.6원에 개장했다.

원달러 환율이 시가 기준으로 1200원을 돌파한 것은 2017년 1월11일 1201원 이후 처음이다.

금융 전문가들은 “일본의 경제보복에 따른 한일 간의 무역갈등이 지속될 경우 원화가치가 더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이어 “2008년 금융 위기 때 일본계 자금은 은행부문에서 유출이 많았으며 2012년 독도 문제로 한일 간의 갈등 고조됐을 때는 비은행 민간부문에서 자금유출이 컸던 만큼 원달러 환율은 1220원 내외까지 상승할 수도 있다”고 예상했다.

일본계 은행이 국내 기업이나 금융권에 만기연장을 해주지 않고 대출 회수에 나설 경우 국내 금융시장에 미치는 충격파는 작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국내에 진출한 일본은행의 자금회수 움직임은 아직까지는 없는 상황이다.

금감원에 따르면 일본계 은행 국내지점의 총 여신 규모는 5월말 기준 24조7000억원으로 지난 3월말보다 2조8000억원 증가했다.

이와함께 신용카드사와 캐피탈사 등 여신전문금융회사(여전사)가 조달한 일본계 외화 채권 자금은 지난 6월 말 기준 55억6000만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들 채권은 여전사가 원화로 빌리고 원화로 갚는 사실상 원화 채권이기 때문에 설령 일본이 보복차원에서 자금 회수에 나서더라도 리스크를 회피 할 수 있다는게 금융당국의 판단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여전사는 원화를 운용하기 때문에 외화가 필요 없지만 국내 보다 낮은 금리로 외국에서 자금을 조달하고 있다”며 “여전사들은 외화자금과 관련한 리스크에 노출 되지 않도록 모든 외화 채권에 채권 만기와 동일한 통화스와프 계약을 체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사토 야스히로 일본 미즈호파이낸셜 그룹 회장이 최근 한국을 방문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최태원 SK그룹 회장을 면담하고 한국기업에 대한 금융지원을 이어가겠다는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즈호파이낸셜 그룹은 일본 3대 메가뱅크인 미즈호은행이 속한 대형 금융그룹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사토 회장이 “두 총수에게 양국관계가 경색됐지만 걱정하지 말라”며 “한국기업은 저금리의 일본자금을 쓰는 게 유리하고 일본 입장에서도 한국처럼 성장가능성과 신뢰가 높은 국가와 거래하는 게 이익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미즈호그룹은 약 10조원을 한국에서 굴리고 있으며 이 규모를 더 늘리는 것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정훈 의원(자유한국당)이 금감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미즈호은행 국내 지점이 한국에 보유한 총 여신 규모는 지난 5월 말 기준 11조7230억원에 달한다.

일본의 경제보복이 수출규제에 이어 금융차원으로 확대될 수도 있다는 우려에 대해 금융당국은 “일본이 금융 관련 보복조치를 취할 가능성이 작을 뿐 아니라 설사 조치가 나오더라도 별 영향이 없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글로벌 유동성과 한국경제의 건전성을 고려할 때 일본이 자금에 회수에 나서더라도 다른 나라에서 얼마든지 돈을 구할 수 있다는 것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일본계 자금이 국내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진 않지만 금융시장은 어떤 방향에서 추격이 올지 모르기 때문에 시장상황을 면밀히 지켜보고 있다”며 “필요한 경우 즉각 시장 안전조치를 하도록 만반의 준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최종구 금융위원장도 지난 3일 일본 수출 규제 대응 간담회에서 “일본계 자금 이탈 등 일본의 무역보복조치가 금융부문으로 확대될 가능성에 대해 ”거의 불가능하고 발생하더라도 대응에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