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충청·광주전남·부울경·대구경북 등...서해안지역엔 새 고속철도 '전국 2시간대 이동'

【뉴스퀘스트=최석영 기자】 향후 10년간 충청권, 광주·전남권, 부산·울산·경남권, 대구·경북권, 강원권 등 5곳의 지방 대도시권을 중심으로 광역철도망이 깔려 지역내에서 1시간내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기존에 고속철도 이용이 불편했던 서해안 지역에 새 고속철도가 놓이고, 전라선·동해선 등 전국 주요 노선이 고속화돼 전국이 2시간 생활권으로 묶인다.

국토교통부는 22일 한국교통연구원 주최로 열린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2021~2030) 수립연구' 공청회에서 이런 내용의 구축계획안을 발표했다.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은 향후 10년간 철도망 구축의 기본방향과 노선 확충계획 등을 담고 있는 중장기 법정계획이다.

국토부는 각계 의견 수렴을 거쳐 상반기 안으로 구축계획을 확정·고시할 예정이다.

[그래픽=연합뉴스]
[그래픽=연합뉴스]

◇ 지방 5개 대도시권 1시간내 이동 철도망 추진

이번 4차 철도망 계획의 핵심은 수도권 집중과 지방권 소멸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비수도권 광역철도 확충이다.

이를 통해 전국 5곳의 광역경제권 주요 지점을 중심으로 1시간 내 이동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고, 수도권에 필적하는 광역경제권 조성 기반을 마련한다는 구상이다.

정부는 우선 기존 경부선·호남선 여유용량 등을 활용해 대구권(김천~구미) 및 충청권 광역철도(조치원~신탄진 및 강경~계룡)를 추진하기로 했다.

비수도권 광역철도 신설 사업으로는 대전~세종~충북 광역철도,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 광주~나주 광역철도, 대구~경북 광역철도 등이 선정됐다.

이 가운데 대전~세종~충북 광역철도의 경우 대전 반석~세종청사~조치원 구간이 신설된다. 나머지 조치원~청주공항 구간은 기존 충북선을 활용하되, 전체 구간을 광역철도로 건설한다는 계획이다.

고속철도 이용이 불편했던 충남 홍성 등 서해안 지역에는 새 고속철도를 건설한다.

홍성 등 서해안 지역은 서울과 거리가 멀지 않지만, 교통 여건이 좋지 않아 지역민의 애로사항이 많았다.

서울로의 접근성 향상을 위해 4차 철도망 계획안에는 서해선~경부고속선 연결선이 포함됐다.

서해선과 경부고속선이 연결되면 홍성에서 서울까지 이동시간이 2시간 21분에서 48분으로 대폭 줄어들 전망이다.

이밖에 건설 후 수십 년이 지나 선로 상태가 좋지 않은 전라선(익산~여수), 동해선(삼척~강릉), 호남선(가수원~논산)을 시속 250㎞급으로 개량해 전국 주요 거점 간 이동시간이 2시간대로 줄어들게 된다.

[그래픽=연합뉴스]
[그래픽=연합뉴스]

◇ 김포~부천 GTX-D 노선 신설...인천공항철도 급행화

4차 철도망 계획안에는 수도권 교통난 해소 사업도 담겼다.

정부는 신도시 개발 등으로 급증하는 서부권 교통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광역급행철도(GTX) 신규 노선(김포 장기~부천종합운동장)을 놓기로 했다.

GTX 노선은 이미 A·B·C 3개의 노선이 추진 중이라 서부권 노선은 이른바 GTX-D 노선으로도 불린다.

수도권 교통난 해소를 위한 신규 광역철도 사업으로는 별내선 연장, 분당선 연장, 일산선 연장, 대장~홍대선, 신구로선 등도 포함됐다.

철도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사업도 추진된다.

4차 철도망 계획안에 따르면 정부는 경부선 등 열차 운행 집중 구간의 용량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색~금천구청, 경부고속선 광명~평택 구간의 선로 용량을 대폭 확충하기로 했다.

인천공항철도를 급행화해 GTX급(표정속도 시속 100㎞ 이상)으로 속도를 끌어올릴 계획이다.

인천공항철도가 급행화될 경우 인천공항에서 서울역 간 이동시간은 직통열차 52분→39분, 일반열차 66분→51분으로 줄어들게 된다.

이번 철도망 계획안에는 철도산업 발전기반을 조성하기 위한 사업도 포함됐다.

주요 항구와 산업단지 연결사업으로는 새만금선, 부산신항 연결지선 등이 선정됐다.

아울러 동해선(강릉~제진) 등 이미 추진 중인 남북철도 연결사업을 적기에 추진해 대륙철도 연계에 대비하기로 했다.

◇ 2030년 철도 연장 5137㎞...총 114조7000억원 투입

4차 철도망 계획이 완료되면 국내의 철도 연장은 4274㎞(2019년)에서 5137㎞(2030년)로 123%가량 늘어난다. 전철화 연장은 3116㎞에서 3979㎞로 128% 증가한다.

철도 수송 분담률은 2019년 11.5%에서 2030년 약 17% 수준까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4차 철도망 계획 사업 추진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는 생산유발효과 175조8000억원, 부가가치효과 73조원으로 추산된다. 또 46만8000명 고용유발효과가 있을 것으로 교통연구원은 분석했다.

4차 철도망 계획안의 투자 규모는 114조7000억원으로 이미 시행 중인 사업이 60조6000억원, 신규사업이 54조1000억원이다.

정부는 계획기간인 2030년까지 총 90조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사업비는 국고 54조9000억원, 지방비 8조1000억원, 민자 16조3000억원 및 기타 10조원으로 충당된다.

한편, 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수립연구를 진행한 교통연구원은 인구감소와 코로나19 확산에도 안전하고 빠른 교통수단에 대한 선호로 철도 이용이 증가세에 있다고 분석했다.

또 혁신도시 등으로 국토 공간이 다핵화하고, 수도권 집중 및 지방소멸 위기 극복을 위해 '지방광역권 조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광역교통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균형발전 거점을 조성하고, 주요 지점을 광역교통시설에 편리·신속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추진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기후변화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해 친환경 철도로 교통체계 전환이 필요하다고 교통연구원은 덧붙였다.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