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에는 약 1만5000그루의 보호수가 있습니다.

마을에 오래 살아 마을 사람들의 삶과 함께 한 나무입니다. 느티나무, 은행나무, 소나무 등 여러 수종의 나무입니다. 이 나무에는 각자 스토리가 있습니다.

나무와 관련된 역사와 인물, 전설과 문화가 있습니다. 이게 바로 문화콘텐츠입니다.

나무라는 자연유산을 문화유산으로 승화시킨 예입니다.

뉴스퀘스트는 경상북도와 협의하여 경상북도의 보호수 중 대표적인 300그루에 대한 스토리텔링을 연재합니다. 5월 3일부터 매주 5회 연재를 시작합니다. 많은 구독 부탁드립니다.

<편집자주>

안동 안막동 향나무는 안동권씨 선산의 표지목이다. [사진=한국지역인문자원연구소]

【뉴스퀘스트=한국지역인문자원연구소】 안동시 안막동 안동권씨(安東 權氏) 선산은 범석골길 끝에 있다.

범석골은 예전에 주위 산에 숲이 우거져 호랑이 울음소리를 들을 수 있는 마을이어서 호소골이라고 불리다가 범소골로 바뀌었고 지금은 범석골로 불리게 된 마을이다.

향나무 한 그루가 선산으로 오르는 오솔길 중간에서 표지목이자 수호목으로 선산을 지키고 있다.

범석골은 안동시 북쪽에 위치하며 깊은 산 입구여서 옛날에 호랑이가 출몰했을 법한 지역이기도 하다.

향나무는 호랑이로 대표되는 자연계와 조상신으로 대표되는 인간계가 만나는 지점의 상징물로도 볼 수 있다.

바로 여기부터 인간의 영역이라는 선언인 것이다. 

예로부터 선조들은 향나무를 선산에 많이 심었다.

사람과 하늘을 연결해주는 데에는 향나무만큼 좋은 매개물이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산소 곁에 심을 뿐 아니라 제사 때에 향불을 피우는 것도 그런 까닭에서였다.

옛사람들은 향나무 향이 속(俗)된 공간을 성(聖)스럽게 변화시킨다고 믿어서 향나무를 ‘청정(淸淨)’의 상징으로 여겼다.

궁궐이나 절집뿐 아니라, 옛 선비의 정원에서 향나무를 찾아볼 수 있는 것도 그래서다. 

[사진=한국지역인문자원연구소]
[사진=한국지역인문자원연구소]

유서 깊은 도시 안동의 성씨 하면 많은 사람이 안동김씨와 안동권씨를 떠올린다.

하지만 안동권씨가 원래 신라 왕실의 후손으로 김씨였다는 것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안동권씨 시조인 권행(權幸)은 930년(고려 태조 13) 고창군(高昌郡, 현재의 안동시)에서 김선평(金宣平), 장길(張吉)과 함께 후백제군을 격파하였고 대상(大相)으로 임명된 고려의 개국 공신이었다.

고려 태조는 그의 전공을 치하하며 “정세를 밝게 판단하고 권도를 잘 취하였다[能炳幾達權]”라며 권(權)씨 성을 하사하였다고 한다.

이후 안동권씨는 안동을 중심으로 세거지를 확대했다. 

조선조에 들어와서도 권근(權近:1352~1409)은 조선 개국에 큰 공을 세워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에 녹훈되었다.

권근의 아들 권제(權踶:1387~1445)는 문과에 장원 급제하고, 세종 때 대제학을 역임했으며, 우찬성을 지냈다.

권제의 아들 권람(權擥:1416~1465)은 세조 때 좌익공신(佐翼功臣) 1등에 책록되었고 좌의정을 역임했다. 

안동권씨 중 일반인들이 가장 많이 아는 이는 임진왜란 때의 명장 권율(權慄:1537~1598)이다.

권율은 무인이 아닌 문신 출신이지만 뛰어난 장군이었다.

1593년 2월 행주산성 전투에서 3800병력으로 왜군 3만을 상대하여 대승을 거두었다.

그 공으로 당시 조선군 최고 사령관에 해당하는 팔도 도원수가 되어 임진왜란이 끝날 때까지 조선군을 지휘했다.

안동권씨 선산 오르는 길 어귀에 서있는 안동 안막동 향나무는 그러한 마을 내력을 아는 듯 모르는 듯 무심하게 서서 산 아래 안동시가지를 바라보고 있다. 

<안동 안막동 향나무>

·보호수 지정 번호 09-04-4
·보호수 지정 일자 2009. 7. 13.
·나무 종류 향나무
·나이 400년
·나무 높이 5m
·둘레 0.7m
·소재지 안동시 안막동 253
·위도 36.575864, 경도 128.728421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