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코로나19 등 불확실성에 아홉 번째 동결...미 연준도 '성급한 인상' 지양하겠다 밝혀
전문가들 "금리 인상에 앞서 경기 회복세가 유지될 지에 대한 근본적 확신 필요"

15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현재 연 0.5%인 기준금리를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사진은 이날 본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는 이주열 한은 총재의 모습. [사진=한국은행/연합뉴스]

【뉴스퀘스트=김보민 기자】 물가상승 등 경제 상황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한국과 미국의 중앙은행들이 잇따라 완화적인 통화정책 기조를 유지했다.

15일 한국은행은 이날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 본회의를 개최하고 현재 연 0.5%인 기준금리를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지난해 7, 8, 10, 11월과 올해 1, 2, 4, 5월에 이어 아홉 번에 걸친 동결 조치다.

앞서 금통위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확산이 본격화됐던 지난 3월 16일, 경기 침체를 예상하며 기준금리를 1.25%에서 0.75%로 한번에 0.5%포인트(p)를 낮췄다.

지난해 5월 28일에는 0.75%를 0.5%로 추가 인하했고, 이후 지금까지 1년가량 금리를 0.5%에 묶어두며 경기 회복을 지원하고 있다.

이번에도 동결 결정을 내린 배경에는 코로나19 등 불확실성이 장기화되고 있다는 우려가 깔려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물가상승과 자산가격 거품, 가계대출 급증과 같은 부작용이 커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코로나19 4차 유행 등을 고려했을 때 당장 금리를 올려 경기를 위축시키기는 다소 이르다고 판단한 것이다.

다만 이주열 한은 총재가 지난달 "연내 늦지 않은 시점에 통화정책을 질서 있게 정상화할 필요가 있다"라고 말한 만큼 올해 안에 기준금리가 인상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를 유지한 곳은 한은만이 아니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를 이끄는 제롬 파월 의장은 14일(현지시간) "물가상승률이 현저히 높아졌고, 향후 몇 달 동안 계속 높을 가능성이 크다"라면서도 "(이러한 상황은) 곧 누그러질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연준은 금리를 '제로'(0)에 가까운 0.00~0.25%로 유지하고, 매월 1200억달러에 달하는 채권을 사들이는 등 경제 성장을 위한 지원을 계속하고 있다.

다만 미국 또한 소비자물가가 폭등하고 주택가격이 상승하는 등 부작용이 두드러지면서 자산매입 축소(테이퍼링)과 금리인상에 대한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파월 의장은 "고용이 과도하게 높거나 물가상승률이 치솟을 것을 걱정해 서둘러 금리를 올리지는 않겠다"라고 못을 박았다.

한·미 기준금리 추이 [자료=연합뉴스]

이런 가운데 일각에서는 한국과 미국이 금리인상에 앞서 경제 회복세가 이어질 것이라는 확신을 가질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우혜영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한국은행의) 금리 인상 결정에 있어 누적된 금융 불균형도 중요한 고려 요인이지만 근본적으로 경제 회복세가 지속될지에 대한 확신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이어 "델타 변이 바이러스, 경기 회복 속도 둔화 등 리스크 요인이 상존해 있고 불확실성도 높다"라며 "7~9월 기간 동안 견조한 경기 회복세에 대한 확신을 가진 후 10월 또는 11월에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라고 분석했다.

미국의 전문가들도 비슷한 해석을 내놓고 있다.

글로벌 회계법인 그랜트손튼의 다이앤 스웡크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CNBC와의 인터뷰에서 "시장이 저금리가 더 오래 지속될 것이라는 점에 익숙해졌고 파월도 이날 기조를 바꾸지 않았다"라며 "연준은 앞으로 펼쳐질 상황을 직면한 뒤 이를 처리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