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경 원북리 느티나무

대한민국에는 약 1만5000그루의 보호수가 있습니다.

마을에 오래 살아 마을 사람들의 삶과 함께 한 나무입니다. 느티나무, 은행나무, 소나무 등 여러 수종의 나무입니다. 이 나무에는 각자 스토리가 있습니다.

나무와 관련된 역사와 인물, 전설과 문화가 있습니다. 이게 바로 문화콘텐츠입니다.

나무라는 자연유산을 문화유산으로 승화시킨 예입니다.

뉴스퀘스트는 경상북도와 협의하여 경상북도의 보호수 중 대표적인 300그루에 대한 스토리텔링을 연재합니다. 5월 3일부터 매주 5회 연재를 시작합니다. 많은 구독 부탁드립니다.

<편집자주>

문경 원북리 느티나무는 신라 경순왕이 봉암사에 피란 왔다 돌아갈 때 백성들이 환송하던 배행정(拜行亭)에 서 있는 당산목이다. [사진=한국지역인문자원연구소]

【뉴스퀘스트=한국지역인문자원연구소】 문경 원북리 느티나무는 천년고찰 봉암사 가는 길목에 선랑당(仙娘堂)과 함께 서 있는 수령 300년의 당산목이다.

이곳의 선랑당은 서낭당의 한자 표기인데, 예로부터 축문이나 위패 등에 따르면 서낭을 성황(城隍), 성황(城皇), 성황(聖皇), 선왕(仙王), 선앙(仙央), 선랑(仙娘), 선왕(先王), 성황(誠隍), 선황(仙皇) 등으로 써왔다.

서낭신앙의 신목(神木)은 주로 마을 뒤 산록이나 뒤편에 자리 잡은 키 큰 노거수이다.

이는 수목이 지니는 생명력과 재생력을 신봉하는 것에서 연유하며, 수목이 천신의 하강과 회귀의 매개체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환웅이 천상에서 하강할 때 태백산 꼭대기의 신단수를 매개로 하여 내려온 것도 토속신앙으로 보면 서낭목을 타고 내려왔다고 할 수 있다. 

[사진=한국지역인문자원연구소]
[사진=한국지역인문자원연구소]

문경 원북리 느티나무와 선랑당 아래 넓은 반석에 배행정(拜行亭)이라는 글씨가 쓰여 있는데, 여기에는 신라 마지막 왕인 56대 경순왕(927~935)의 전설이 서려 있다.

경순왕이 후백제의 견훤을 피해 봉암사(鳳巖寺)로 피란 왔다가 경주로 돌아갈 때, 이곳 주민들과 고을 원님이 여기까지 나와 환송하던 곳이라 하여 배행정이라 불렀다.

봉암사 극락전이나 원북마을의 동네 이름에서도 경순왕의 흔적이 많이 남아 있다.

경순왕이 피란하며 아침을 먹은 곳은 아침배미(朝夜味), 저녁을 먹은 곳은 한배미(日夜味)라고 한다. 

그런데 하필 이 지역은 후배제의 왕인 견훤과 신라 마지막 왕인 경순왕과의 인연이 너무나 깊은 곳이다.

봉암사 부근 가은읍 갈동의 아차마을은 견훤이 태어난 곳이다.

견훤은 난세에 태어난 걸출한 인물로 그 어느 호족보다 강성하여 신라 경애왕을 죽이고 경순왕을 세울 정도로 위세가 등등했다.

결국 경순왕이 여기까지 피란을 오게 된 것이다.

봉암사 극락전을 원당으로 사용하며 은신했다는 증거는 여러 곳에 나타난다.

극락전 내부에는 어필각(御筆閣)이란 편액이 걸려 있으며, 경순왕이 희양산 중턱 성골(城谷)에 숨었다는데, 그 성터에는 지금도 수백 명이 들어가는 굴이 있다고 한다.

이 밖에도 희양산에는 석성(石城)과 군창지(軍倉址)가 있고, 산록에는 홍문정(紅門亭), 배행정 등이 있어 신라 후기 난세 때에 경순왕의 행궁(行宮)이 있었던 곳임을 증명해주고 있다. 

[사진=한국지역인문자원연구소]
[사진=한국지역인문자원연구소]

문경 원북리 느티나무가 있는 원북리(院北理) 모래실(沙谷)마을은 희양산(曦陽山) 봉암사 아래에 있는 마을로 주위의 토양이 모두 모래여서 모래실 또는 사곡이라 불렀다.

1720년에 윤광보(尹光保)가 정착하여 마을을 개척하였으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원북리로 개칭하였다.

원북리의 봉암사는 구산선문(九山禪門)의 하나인 희양산문(曦陽山門)의 본거지이다.

879년(헌강왕 5) 지선(智詵, 智證國師)이 창건한 이래 현재까지 선도량(禪道場)으로 일관해 온 선찰(禪刹)이다.

특히 ‘봉암사 결사’로 유명하다.

1947년 성철스님을 필두로 청담, 자운, 향곡 스님 등 젊은 수좌들이 “전체적으로나 개인적으로나 일시적인 이익 관계를 떠나서 오직 부처님 법대로 한번 살아보자”는 원을 세우고 결사도량을 찾았으니 그것이 바로 ‘봉암사 결사’이다.

그 후 행곡, 월산, 종수, 보경, 법전, 성수, 혜암, 도우 등 20인이 결사에 참여하였다.

당시 결사대중은 규약을 제정하여 추상같은 법도를 세워 오늘날 수행의 근간을 세웠다. 

이 결사는 한국전쟁으로 인해 중단되었으나, 1970년대 초부터 다시 수좌들이 봉암사에 모여들기 시작해 1972년 향곡스님을 조실로 모시고 15명의 납자가 정진했다.

1980년에 서암 스님이 정식으로 태고선원 조실이 되면서 청룡의 승천과 봉황의 날갯짓처럼 웅대한 자태를 희양산 자락에 펼치게 되었다.

1982년 6월 종단은 봉암사를 조계종 특별 수도원으로 지정하여 성역화 의지를 표명하였다.

그 때부터 희양산 봉암사 지역은 특별 수도원이 되었으며, 일반인의 출입을 완전히 막아 수행 도량의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지금도 일반인에겐 1년 내내 산문을 닫고 있는데, 사월초파일 단 하루만 봉암사에 들어갈 수 있다.

문경 원북리 느티나무는 이처럼 여러 전설과 이야기를 간직한 채 늠름하게 서 있다.

<문경 원북리 느티나무>

·보호수 지정 번호 11-26-2-8
·보호수 지정 일자 1982. 10. 26.
·나무 종류 느티나무
·나이 300년
·나무 높이 15m
·둘레 6m
·소재지 문경시 가은읍 원북리 192-1
·위도 36.684090, 경도 128.015195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