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년 6개월 동안 쉼없이 쇳물 쏟아냈던 포항제철 첫번째 용광로
29일 종풍식 갖고 가동 중단... ‘뮤지엄’으로 개조해 일반에 공개

한국 철강 역사의 산실이자 경제 발전의 초석이 된 포항 1고로가 48년 6개월여 만에 멈춰 섰다. 사진은 1고로 앞에서 기념 촬영하는 김학동 사장과 포항제철소 제선부 직원들. [포스코 제공=연합뉴스]
한국 철강 역사의 산실이자 경제 발전의 초석이 된 포항 1고로가 48년 6개월여 만에 멈춰 섰다. [포스코 제공=연합뉴스]

【뉴스퀘스트=김동호 기자】 박태준 포항제철 사장이 태양열로 채화한 불을 용광로에 붙였다. 긴 기다림 끝에 펄펄 끓는 쇳물이 흘러나왔다. 순간 숨죽이고 이를 지켜보던 직원들의 만세 소리가 제철소 안을 가득 메웠다. 

1973년 6월 9일, 경북 포항 영일만에 자리 잡은 포항제철소에서 처음으로 쇳물을 생산하던 모습이다.

이렇게 시작된 포항 1고로는 반세기 가까운 시간 동안 5520만t의 쇳물을 생산해냈다. 이는 30만t급 초대형 유조선 1380척, 중형 자동차 5520만대를 건조 및 생산할 수 있는 양이다.

1973년 6월 당시 박태준 사장이 태양열로 채화한 원화를 제선공장의 포항 1고로에 화입하고 직원들과 환호하는 모습. [포스코 제공=연합뉴스]
1973년 6월 당시 박태준 사장이 태양열로 채화한 원화를 제선공장의 포항 1고로에 화입하고 직원들과 환호하는 모습. [포스코 제공=연합뉴스]

그 날 이후 48년 6개월 동안 쉼없이 쇳물을 쏟아냈던 첫번째 용광로가 29일 수명을 다하고 멈춰섰다. 우리나라 산업 발전의 근간을 만들어냈던 '포항 제1고로'다.

현대식 공법으로 쇳물을 생산한 한국 최초 용광로인 ‘포항 1고로’가 쇳물을 쏟아낸 지 반세기 만에 수명을 다하면서 '뜨거운 여정'을 마감했다.

포스코는 29일 포항제철소에서 김학동 사장 등 임직원과 노조, 노경협의회 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포항 1고로의 불을 끄는 종풍식을 가졌다. 

1970년 4월 1일 착공한 포항제철소는 1973년 6월 9일 1고로에서 처음으로 쇳물을 생산해냈다. ‘산업의 쌀’로 불리는 철을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생산한 것이다.

이 쇳물은 조선, 자동차, 가전 등 국내 제조업이 단기간내 비약적인 성장을 거두고,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게 만든 한국경제 성장의 밑거름이 됐다.

포항 1고로는 국가경제의 성장을 뒷받침한 공로를 인정받아 '민족 고로', '경제 고로'로 불려왔다.

포항제철소 1고로 작업자가 29일 종풍 전 마지막 출선 작업을 하고 있다. [포스코 제공=연합뉴스]
포항제철소 1고로 작업자가 29일 종풍 전 마지막 출선 작업을 하고 있다. [포스코 제공=연합뉴스]

포항 1고로는 그동안 두 번 개보수를 통해 고로의 평균 수명인 15년보다 3배 더 오래 버텨왔다. 앞으로도 더 사용할 수 있는 상태였지만 온실가스 배출을 줄여야 하는 시대적 흐름을 고려해 멈춤을 택했다.

포항 1고로는 내부를 완전히 냉각(수개월 소요)하고 철거 작업 등을 거쳐 ‘포항 1고로 뮤지엄’으로 개조, 일반인에게 공개할 예정이다. 역사적 가치는 물론 경제 발전의 초석을 다진 상징물로 남기겠다는 의미다. 

포스코는 포항 1고로 종풍(終風)에 따라 나머지 8개 고로를 효율적으로 운영해 철강 수급에 차질이 없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