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간 직장인 평균 월급 310만5000원→365만3000원
근로소득세·사회보험료는 36만3000원→50만7000원
한경연 "차기 정부, 사회보험 지출구조 합리화해야"

직장인들이 서울 광화문 네거리 횡단보도를 건너 출근하고 있다. [연합뉴스]
직장인들이 서울 광화문 네거리 횡단보도를 건너 출근하고 있다. [연합뉴스]

【뉴스퀘스트=민기홍 기자】 1인 이상 사업체에 종사하는 직장인의 최근 5년간 월 평균 임금이 310만5000원에서 365만3000원으로 17.6% 올랐다. 하지만 같은 기간 세금과 사회보험료는 39.4% 인상, 임금 인상률 대비 2배 이상 올랐다.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이 2016~2021년 고용노동부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다. 

6일 한경연에 따르면 근로소득세·사회보험료가 36만3000원에서 50만7000원으로 39.4% 증가했다. 특히 근로소득세(10만2740원→17만5260원)는 70.6%의 인상률을 보여 임금 인상을 무색케 했다.

한경연은 이같은 원인을 월급 인상 속도를 반영하지 못하고 2010년 이후 제자리걸음하는 과표 구간에 있다고 봤다. 월급이 오르면 상위 과표 구간이 적용돼 사실상 자동으로 세율이 인상되는 효과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사회보험료도 크게 올랐다. 고용보험료는 2016년 2만187원에서 지난해 2만9229원으로 44.8% 증가했다. 건강보험료(장기요양보험 포함)도 고령화에 따른 의료비 지출 증가, 보장범위 확대 등으로 같은 기간 10만1261원에서 13만8536원으로 36.8% 올랐다. 

올해는 고용보험료(0.1%p), 건강보험료(0.1%p), 장기요양보험료(0.7%p) 요율이 인상돼 직장인들의 부담이 더 커질 것으로 한경연은 전망했다.

고공행진을 계속하고 있는 밥상 물가도 직장인들에게 부담이다. 한경연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우리나라 식료품·비주류 음료 물가지수 상승률은 17.6%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7개국 중 8위를 차지했다.

큰 폭으로 뛴 집값·전셋값 등도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한경연이 최근 5년간 한국부동산원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전국 아파트 중위 매매가격은 2016년 2억6000만원에서 2021년 3억7000만원으로 41.7% 상승했다.

같은 기간 전셋값은 1억9000만원에서 2억5000만원으로 29.4% 올랐다. 서울 집값 상승률은 더 가팔랐다. 2016년 대비 2021년 매매가는 77.8%, 전세가는 43.1% 상승했다.

한경연은 지난해 직장인의 월 평균 임금(365만3000원)을 한 푼도 쓰지 않고 모았을 경우 집을 사는데 걸리는 기간을 21년으로 계산했다. 2016년(11.8년)보다 9.2년 늘었다. 전셋집을 구할 수 있는 기간도 2016년 8.1년에서 2021년 11.6년으로 늘어났다. 

직장인들은 오른 급여 만큼의 '두둑함'과 '든든함'을 느낄 새도 없이 각종 세금과 보험료로 빠져나가는 돈이 급여 인상률을 뛰어넘어 늘 '헛헛함'만 남는다.

무섭게 오르는 물가와 집값이 직장인들을 움츠러들게 하고 있다. 근로소득세 및 사회보험료 증가도 근로자가 소비와 저축에 쓸 수 있는 소득(가처분소득)을 감소시켜 소비를 위축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물가에 따라 자동으로 과표구간이 조정되는 소득세 물가연동제 도입이 시급한 이유다. 한경연 관계자는 "차기 정부는 사회보험 지출구조를 합리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