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0개 공공기관 기관장, 감사 290명(63%) 임기 1년 이상 남아
文, 5월 전 임기 마치는 기관장 인선 의지...尹측 “알박기” 반발
현 정권 핵심인사 물갈이 땐 신·구 권력간 힘겨루기로 번질 듯

새 정부 출범을 앞두고 임기가 만료되거나 임기 만료를 눈앞에 둔 공공기관 기관장 인사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지난 2019년 7월 25일 문재인 대통령이 당시 신임 검찰총장이던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에게 임명장을 수여한 뒤 간담회장으로 향하는 모습. [연합뉴스]
새 정부 출범을 앞두고 임기가 만료되거나 임기 만료를 눈앞에 둔 공공기관 기관장 인사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지난 2019년 7월 25일 문재인 대통령이 당시 신임 검찰총장이던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에게 임명장을 수여한 뒤 간담회장으로 향하는 모습. [연합뉴스]

【뉴스퀘스트=민기홍 기자】 “윤석열 정부에서도 전 정권에서 임명된 공공기관장이 임기를 다 채우지 못하고 중도 사퇴하는 흑역사가 반복될까?” 최근 임기가 남은 기관장의 소속 기관에서 공공연히 나도는 우려 섞인 의문이다.

새 정부가 출범하는 5월을 기점으로 350개 공공기관의 기관장과 감사의 63% 이상이 1년 이상 남은 것으로 조사됐다. 2년 이상 임기가 남은 기관장은 45%에 달한다.

기획재정부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알리오)’에 따르면 문재인 정부에서는 출범 초 131개 공공기관 중 공석이던 6곳을 제외한 125곳 중 61곳의 기관장이 (자의든 타의든) 임기를 채우지 못하고 물러났다.

새 정부 출범 이후에도 이같은 일이 반복될 수 있다는 우려가 벌써부터 나오고 있다. 이미 윤 당선인 측 인사가 방송을 통해 검창총장의 사퇴를 공공연하게 요구하는 등 현 정권 인사 '찍어내기'에 나설 움직임이 노골화하고 있는 상황이다.

22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공공기관 경영 정보 공개시스템’을 통해 350개 공공기관의 상임 임원 임기 현황을 전수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기관장 332명 중 231명(69.5%), 상임감사 105명 중 59명(56.2%)의 임기가 1년 이상 남았다.

기관장과 감사를 포함한 437명과 현재 공석 중인 23명을 포함하면 460명 가운데 290명(63%)의 임기가 1년 이상 남은 것이다. 207명은 임기가 2년 남았다.

윤 당선인이 임기를 시작하는 5월 10일 이전에 임기가 끝나는 기관장과 상임감사는 각각 18명, 7명이다.

이 중 다음달 4일 임기를 마치는 정재훈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은 재연임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수원은 이사회와 주주총회를 열어 정 사장의 1년 연임안을 처리한 상태다. 현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앞장서 온 정 사장에 대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제청과 대통령의 재가 여부가 관심이다.

채희봉 한국가스공사 사장(7월 8일), 황창화 한국지역난방공사 사장(9월 30일)도 올해 안에 임기를 마친다. 박재현 한국수자원공사 사장(내년 2월 27일)과 최준욱 인천항만공사 사장(내년 3월 17일)의 임기는 1년 이내에 만료된다.

나머지 31개 공기업의 기관장은 1년 이상 임기가 남았다. 86.1%에 해당한다. 17개 기관장은 2년 이상 남았다.

원경환 대한석탄공사 사장, 나희승 한국철도공사 사장, 박성현 여수광양항만공사 사장, 이종국 ㈜SR 사장, 정기환 한국마사회 회장, 윤형중 한국공항공사 사장, 양영철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이사장 등 7명은 지난해 11월 대통령 선거운동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이후 임명됐다.

안호근 농업기술실용화재단 원장, 이병호 한국농어촌공사 사장, 노수현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원장, 전본희 한국콘텐츠진흥원 감사, 임찬기 한국가스안전공사 감사 등 5명은 올해 3월에 임기를 시작했다.

현 정부는 ‘경영 공백’을 이유로, 또 ‘대통령 인사권’을 내세우며 임기를 마치는 공공기관장의 후임 인사를 강행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이에 윤 당선인 측에서는 ‘알박기 인사’라며 반발하고 있다.

​한국은행 총재 등 공공기관 인사권을 둘러싼 신 구 정권간 힘겨루기가 본격화하는 양상이다. 사진은 한국은행. [연합뉴스]
​한국은행 총재 등 공공기관 인사권을 둘러싼 신구 권력간 힘겨루기가 본격화하는 양상이다. [연합뉴스]

정치권에서는 문 대통령과 윤 당선인의 지난 16일 청와대 오찬 회동 무산도 한국은행 총재 지명을 비롯해 선관위와 감사원 인사권 문제가 주요 배경이었다고 분석하고 있다. 

향후 공공기관장 인사가 어떻게 진행될 지, 신·구 권력간 힘겨루기 양상으로 번질 지, 정권 교체기에 또하나의 관전 포인트가 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