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테크 기업의 구조조정과 청년실업 증가 등

【뉴스퀘스트=베지징/전순기 통신원】 중국의 취업 시장이 2중고에 직면한 채 크게 흔들리고 있다. 게다가 당분간 해결의 기미도 보이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당국의 고심이 깊어질 수밖에 없다는 말이 될 수 있다.

징지르바오(經濟日報)를 비롯한 언론의 최근 보도를 종합하면 우선 빅테크기업(거대 기술기업)들의 고용 상황이 상당히 긴박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잘 나가던 이들이 최근 크게 흔들리면서 한때 부러움의 대상이던 종업원들에게 조차 해고의 쓰나미가 몰려올 조짐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만약 우려가 분명한 현실이 될 경우 전국에서 최소 수십 만여 명, 최대 수백 만여 명이 일자리를 잃지 말라는 법이 없다.

현실은 전자상거래 업체로 유명한 징둥(京東)이 최근 대규모 구조조정 행보에 나선 사실을 살펴보면 잘 알 수 있다. 언론 보도에 의하면 지난달 31일에만 1000여 명의 퇴직 신청을 받는 등 2주일에 걸쳐 정리 해고 절차를 진행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부문별로는 10∼30%의 인력을 감축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 경우 최소한 1만2000여 명이 졸지에 실업자 신세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중국의 취업 시장이 빅테크의 구조조정과 청년 실업 증가 등의 2중고에 휘청거리고 있다. 한 경제 매체에 실린 만평만 봐도 현실은 잘 알수 있다./제공=징지르바오.

더욱 기가 막힌 것은 해고가 그야말로 마구잡이식으로 이뤄진다는 사실이 아닌가 싶다. 석사 이상의 학위를 가진 고급 인력과 입사한지 1, 2년에 불과한 신입 직원들까지 해고 대상에 포함된 사실을 상기하면 진짜 그렇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지난해 입사한 광둥(廣東)성 광저우(廣州)시 주재 직원 허닝(何凝) 씨는 “아직 공식 통보를 받지 못했다. 그러나 받지 않았어도 더 이상 근무할 생각은 없다. 쓰면 뱉고 달면 삼키는 회사에 실망했다. 회사가 약속한 두둑한 보상금까지 퇴직금으로 챙기고 나가서 개인 사업을 하겠다.”면서 회사에 더 이상 미련이 없다고 토로했다.

하지만 대부분의 해고 대상자들은 허 씨와는 생각이 다르다. “구조조정이 전혀 예고조차 없이 갑작스럽게 단행되는 것 같다. 해고 기준조차도 도무지 모르겠다.”면서 당황하고 있다. 일부는 법에 호소하는 방법을 강구하는 등 강력하게 반발하고도 있다. 당연히 상황을 되돌리기에는 역부족이라고 해야 한다.

징둥이 이처럼 사내외의 비판 여론에도 불구, 적극적으로 구조조정에 나선 것은 나름의 이유가 있다. 우선 당국의 빅테크 규제 강화를 꼽을 수 있다. 갈수록 심해지는 전자상거래 업계의 치열한 경쟁도 거론해야 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창궐에 따른 실적 악화는 더 말할 필요도 없다. 지난해에만 36억 위안(元. 7000억 원)의 순손실을 기록한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말할 것도 없이 구조조정을 하지 않으면 안 되는 현실은 징둥 만이 직면한 것이 아니다. 알리바바와 바이두(百度), 텅쉰(騰訊. 텐센트) 등의 다른 빅테크들 역시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비슷한 상황에 직면해 있다. 당분간 극복이 될 가능성도 희박해 보인다.

대학 졸업생이 올해부터 1000만 명 시대에 진입하면서 상상을 불허하는 취업난이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현실도 주목해야 할 것 같다. 당국의 골머리를 앓게 만드는 취업 시장의 딜레마라고 할 수 있다. 당국이 제대로 대응을 못할 경우 오랫동안 풀어야 할 장기 난제가 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최근 언론 보도를 종합하면 올해 중국의 대학 졸업생은 지난해보다 167만 명이나 많은 1076만 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사상 최초로 1000만 명을 넘어서게 된다. 인재가 많이 배출되는 만큼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중국 안후이성에서 열린 구직 박람회[신화=연합뉴스 자료사진]
중국 안후이성에서 열린 구직 박람회[사진=신화/연합뉴스]

하지만 경제의 하방 압력 탓에 상당히 악화되고 있는 고용 환경을 감안한다면 얘기는 달라진다. 당장 최근 런민(人民)대학이 발표한 올해 대학 졸업생 취업심리지수(CIER)를 살펴봐야 할 것 같다. 0.88에 불과하다. 졸업생 100명 중 88명 만이 적극적인 취업 의향이 있다는 것이다. 12명은 어려운 경제 상황에 자포자기, 아예 취업할 생각조차 하지 않는다는 말이 된다.

교육 당국이나 각 대학에서 전망하는 예상 취업률을 거론하면 상황은 훨씬 더 참담해진다고 할 수 있다. 고작 50% 전후에 불과하다. 런민(人民)대학의 마샹우(馬相武) 교수가 “명색이 교수가 직업 아닌가? 그러나 지금은 취업 상담사가 된 느낌이 든다. 어떻게든 제자 졸업생들을 취업시키기 위해 발로 뛰고 있다. 그럼에도 실적은 좋지 않다. 총장에게 질책도 받았다.”면서 혀를 내두르는 것은 다 까닭이 있다고 해야 한다.

향후에도 상황이 좋아질 가능성은 상당히 낮다. 정부의 빅테크 및 사교육에 대한 규제, 부동산 경기 침체 등을 상기할 경우 진짜 그렇다고 단언해도 좋다.

중국 당국은 올해 경제 성장률 목표를 5.5% 전후로 잡았다. 하지만 상황은 좋다고 하기 어렵다. 코로나19 창궐에 따른 잇따른 봉쇄 등으로 인해 목표 달성 가능성에 의문부호가 찍히고 있다. 취업 전선에 파란 불이 켜질 까닭이 없다. 중국의 취업 시장이 직면한 2중고는 당분간 해결되지 않는다고 단언해도 크게 틀리지 않을 듯하다.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