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반도체 수입시장서 한국 점유율 감소...대만·일본 증가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뉴스퀘스트=이태웅 기자】 미국과 중국 반도체 갈등이 본격화한 2019년 이후 중국에서 한국 반도체 점유율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만과 일본 등 다른 국가가 중국에서 입지를 늘린 것과는 사뭇 다른 결과다.

반도체 강국의 자리를 놓고 세계 각국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의 반도체 위상을 높이기 위해 정책적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25일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2018년부터 2021년까지 한국과 대만, 일본, 미국, 아세안 6국(베트남, 싱가포르, 태국, 필리핀,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 주요 국가의 중국 반도체 수입시장 점유율 변화를 분석해 이같이 밝혔다.

전경련에 따르면 한국의 점유율은 2018년 대비 2021년 5.5%포인트 감소했다.

반면, 같은 기간 대만과 일본의 점유율을 각각 4.4%포인트, 1.8%포인트 증가했다.

아세안6국의 점유율도 0.4%포인트 늘었다.

중국 반도체 수입시장에서 미국의 점유율이 0.3%포인트 줄어든 점을 고려할 때 한국이 가장 큰 타격을 받은 것이다.

앞서 미국 상무부는 2019년 4월부터 2020년 9월까지 네 차례에 걸쳐 중국 화웨이, SMIC를 대상으로 미국의 반도체 소프트웨어 장비를 활용해 생산된 반도체의 공급을 규제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전경련 측은 "미국의 제재로 중국 토종기업과 중국 내 외국인 투자기업이 미국 반도체 구매가 막히면서 대만산 반도체 칩 수입을 늘린 결과"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중국의 반도체 수입은 2018년 대비 지난해 37.2% 늘었는데, 이 기간 대만과 일본으로부터의 반도체 수입이 각각 57.4%, 34.8% 증가했다.

반면 같은 기간 중국의 한국 반도체 수입은 6.5% 증가에 그쳤다.

미국의 규제에 따라 화웨이가 한국산 메모리 구매를 중단했고, 메모리 반도체 가격 하락 등의 여파로 중국이 2018년 대비 2021년 한국산 메모리 수입을 13.7% 줄였기 때문이다.

현재 중국은 세계 최대 반도체 시장으로 평가받고 있다.

전경련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반도체 수입은 4686억달러(약 583조8100억원)로, 원유 수입(2550억달러)의 1.8배에 달한다.

이에 중국은 2015년 '중국 제조 2025'를 통해 반도체 굴기를 천명하며 국가역량을 총동원해 2020년 반도체 자급률 40% 달성을 목표로 제시했다.

다만, 2020년 중국의 실제 반도체 자급률은 15.8%에 그친다는 것이 전경련 측의 설명이다.

IC인사이츠에 따르면 2020년 중국 내 반도체 집적회로(IC) 대부분을 중국 진출 해외기업인 TSMC·SK하이닉스·삼성전자·인텔·UMC 등이 생산하고 있다.

중국 기업의 비중은 36.5%에 불과하다.

그럼에도 중국의 반도체 산업은 양적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

전경련에 따르면 2018년 대비 지난해 중국의 반도체산업 매출액(반도체 집적회로 기준)과 생산량은 각각 61%, 94% 증가했다.

이에 미국 반도체 업계도 중국이 중앙정부의 견조한 지원을 통해 글로벌 메이지 기업과의 격차가 큰 첨단 노드 파운드리 생산, 장비, 소재 분야에서 향후 10년 동안 격차가 줄어들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실제로 중국 1위 파운드리 업체 SMIC는 지난 2월 반도체 생산능력 확충을 위해 50억달러(약 6조1600억원)의 신규 투자를 발표했다.

이처럼 반도체 패권 국가의 자리를 차지하기 위한 글로벌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가 정책적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실제로 전경련이 2014년부터 2018년까지 21개 글로벌 반도체 기업의 매출액 대비 정부지원금 비중을 조사한 결과, 상위 5개 기업 가운데 3개가 중국 기업(SMIC 6.6%, 화홍 5%, 칭화유니그룹 4%)으로 나타났다.

미국 반도체 기업인 마이크론과 퀄컴, 인텔 역시 각각 3.8%, 3%, 2.2%에 달했다.

반면 국내 기업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매출액 대비 정부지원금 비중은 각각 0.8%, 0.5%에 그쳤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본부장은 "미국, 중국, 유럽, 일본 등 주요국이 국가역량을 총동원해 자주적 반도체 생태계 구축, 공급망 재편을 가속화하고 있는 만큼 5월 출범 새 정부는 K-반도체의 글로벌 초격차 확보를 위해 반도체 기업의 R&D투자, 세제혜택 등 정책지원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