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에는 약 1만5000그루의 보호수가 있습니다.

마을에 오래 살아 마을 사람들의 삶과 함께 한 나무입니다. 느티나무, 은행나무, 소나무 등 여러 수종의 나무입니다. 이 나무에는 각자 스토리가 있습니다.

나무와 관련된 역사와 인물, 전설과 문화가 있습니다. 이게 바로 문화콘텐츠입니다.

나무라는 자연유산을 문화유산으로 승화시킨 예입니다.

뉴스퀘스트는 경상북도와 협의하여 경상북도의 보호수 중 대표적인 300그루에 대한 스토리텔링을 연재합니다. 5월 3일부터 매주 5회 연재를 시작합니다. 많은 구독 부탁드립니다.

<편집자주>

예천 초항리 돌배나무는 백두대간 뱀재 아랫동네인 초항리 길목을 환하게 밝혀주는 당산목이다. [사진=한국지역인문자원연구소]

【뉴스퀘스트=한국지역인문자원연구소】 효자면의 자연마을은 대부분 산골 깊숙이 들어선 오지마을인데 그중에서도 초항리(草項里)는 과거 화전민들이 척박한 환경을 삶의 터전으로 일구던 곳이다.

마을 이름 자체가 외부 세계와의 인연을 끊어 마을 어귀에 풀이 우거져 있다고 하여 초항이라고 한다.

백봉암(白鳳岩)이란 산봉우리에서 봉황 한 쌍이 목을 길게 늘이고 쉴 터를 찾아가던 중 이 마을 앞산에 날아와 앉았다 하여 봉정(鳳頂)의 뜻인 ‘새목’이라고도 하였다.

골 안 깊숙한 곳에 있는 마을이 안새목(내초항)이고 골 밖에 있는 마을이 바깥새목(외초항)이다. 

몇 가구 살지 않는 작은 마을인 내초항 입구 경사면에 마을의 수문장이자 장승처럼 서 있는 커다란 나무가 있다.

이 나무가 바로 예천 초항리 돌배나무인데, 백두대간 뱀재 아랫동네인 초항리 길목을 환하게 밝혀주는 당산목이다.

마을이 형성되기 이전부터 자리 잡고 있는 터줏대감으로 우리나라 돌배나무 중에서는 보기 드물 정도로 오래되고 큰 노거수이다.

나무 높이 16m, 가슴높이 둘레 3.6m로 지면 2m 높이에서 분지된 가지들이 사방으로 고르게 펼쳐져 있다.

수형이 매우 아름다우며 나무의 생육상태도 양호하다.

유실수로는 보기 드문 노거수인데, 해마다 봄이면 순백의 꽃들이 피어나고 가을이면 튼실한 과실을 맺을 만큼 노익장을 자랑한다.

다만 아쉬운 것은 돌배나무 가까이 전봇대와 전깃줄이 연결돼 있어 사진으로 담거나 배꽃을 감상하기에 눈에 거슬린다.

[사진=한국지역인문자원연구소]
[사진=한국지역인문자원연구소]

초항리에서는 매년 정월 대보름 무렵에 동신제와 산신제를 지내왔다.

정월 열나흘날 밤 자정에 제관부부 내외가 산제당인 소나무와 당산목인 돌배나무에서 각각 제를 올린다.

이때 아들을 보지 못한 사람은 절을 올리고, 대추와 밤과 감 등 삼실과(三實果)를 가져다 먹으면 아들을 볼 수 있다고 한다.

현재는 가구 수가 줄어 동신제를 지내지 못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돌배나무는 4~5월에 꽃이 피고 10월에 열매를 맺는다.

배나무는 환경 적응력이 높은 탓에 유난히 종류도 많다.

우리가 흔히 먹는 개량종 참배나무 외에도 돌배나무, 산돌배나무, 청실배나무가 있으며, 문배주로 이름이 알려진 문배나무와 팥배나무, 콩배나무, 아그배나무 등도 있다.

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작은 배가 열리는 나무는 대체로 돌배나무 아니면 산돌배나무다.

둘의 구별이 너무 어려우니 그냥 쉽게 친숙한 이름인 ‘돌배나무’라고 불러도 무방하다.

산속에서 아름드리로 자란 돌배나무는 죽어서도 또 다른 쓰임새가 있다.

속살이 너무 곱고 치밀하여 글자를 새기는 목판(木板) 재료로 최고이기 때문이다.

돌배나무는 고려 때 산벚나무와 함께 팔만대장경 경판으로 만들어져 지금도 민족의 위대한 문자 문화재로 해인사 장경각에 잘 보관돼 있다.

[사진=한국지역인문자원연구소]
[사진=한국지역인문자원연구소]

효자면(孝子面)은 2016년 2월 1일 상리면(上里面)에서 효자면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명심보감』 속편에 실린 조선 후기의 이름난 효자 도시복(都始復:1817~1891)의 고장으로 널리 알려지면서 그 이름도 상리면에서 효자면으로 바뀐 것이다.

지금도 효자 도시복의 생가가 용두리 효공원 내에 남아있다. 도시복은 조선 철종 때 사람으로 본관은 성주이며, 호는 야계(也溪)이다.

용두리 야목마을에 살았는데, 마음가짐이 어질고 효심이 극진하였다.

장날이면 나무를 팔아 어머니를 봉양하였는데, 어느 장날 늦게 어머니상에 올릴 생선을 사서 돌아오는데 어디선가 날아온 솔개가 생선을 채어가고 말았다.

그런데 집에 돌아오니 아내가 생선으로 어머니의 저녁상을 차리고 있었다.

솔개가 끼니때에 늦지 않게 가져다 준 것임을 뒤늦게야 알았다. 

어느 한여름에 어머니가 병이 들어 홍시가 먹고 싶다고 하자, 도시복은 홍시를 찾아 깊은 산으로 들어갔다.

날이 저물자 갑자기 호랑이가 나타나서 그를 등에 태우고 산속을 달려 강릉의 어느 외딴 집에 내려놓았다.

마침 그 날은 그 집의 제삿날이어서 제상에 홍시가 놓여 있었다.

시복은 자초지종을 말한 뒤 홍시를 구해 호랑이를 타고 집으로 돌아왔다.

어머니가 한겨울에 수박이 먹고 싶다고 하자, 들판을 뒤지며 수박을 찾아 헤매다 안동의 어느 원두막에서 한겨울에 싱싱한 수박을 발견하여 어머니에게 드렸으며, 아버지가 엄동설한에 잉어를 찾자 꽁꽁 언 실개천을 헤매다 얼음구멍에서 막 튀어나온 잉어를 잡아 아버지의 저녁상에 올렸다고 한다.

양친이 세상을 떠난 뒤에는 3년 동안 시묘살이를 하며 애통해하였는데, 호랑이도 그의 효심에 감동하여 곁에서 함께 지켰다고 한다.

<예천 초항리 돌배나무>

·보호수 지정 번호 08-30-01
·보호수 지정 일자 2008. 5. 8.
·나무 종류 돌배나무
·나이 600년
·나무 높이 16m
·둘레 3.6m
·소재지 예천군 효자면 초항리 산22
·위도 36.818128, 경도 128.446146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