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에는 약 1만5000그루의 보호수가 있습니다.

마을에 오래 살아 마을 사람들의 삶과 함께 한 나무입니다. 느티나무, 은행나무, 소나무 등 여러 수종의 나무입니다. 이 나무에는 각자 스토리가 있습니다.

나무와 관련된 역사와 인물, 전설과 문화가 있습니다. 이게 바로 문화콘텐츠입니다.

나무라는 자연유산을 문화유산으로 승화시킨 예입니다.

뉴스퀘스트는 경상북도와 협의하여 경상북도의 보호수 중 대표적인 300그루에 대한 스토리텔링을 연재합니다. 5월 3일부터 매주 5회 연재를 시작합니다. 많은 구독 부탁드립니다.

<편집자주>

봉화 거촌리 느티나무는 마을을 지켜주는 수호목이자 아름다운 풍치목이다. [사진=한국지역인문자원연구소]

【뉴스퀘스트=한국지역인문자원연구소】 봉화 거촌리 느티나무는 도암정 쪽문 바깥 길가에 서 있다.

도암정 앞의 연못을 내다보며 서 있는 느티나무는 도암정과 함께 황전마을의 상징이며 마을을 지켜주는 수호목이다.

거촌리 느티나무는 수령 300년이 넘은 큰 나무다.

사람들이 도암정을 지은 뒤에 풍광을 돋우기 위해 심었다고 한다.

어른 키 높이쯤에서 줄기가 둘로 나뉘면서 자랐는데 그 부분의 둘레가 5m 가까이 된다.

힘차게 뻗은 가지는 도암정의 야트막한 지붕에 닿을 만큼 넓고 풍성하다.

마을 사람들은 몇 해 전 태풍으로 가지가 적잖이 부러져 느티나무가 부실해졌다고 아쉬워한다.

하지만 그건 예전의 모습을 기억하는 사람들이 느끼는 상대적 아쉬움일 뿐이다.

느티나무의 자태는 누가 보아도 여전히 당당하다.

[사진=한국지역인문자원연구소]
[사진=한국지역인문자원연구소]

나무 바로 옆으로는 널찍한 바위가 누운 듯 놓여있고 다른 쪽으로는 어른 키를 훌쩍 넘는 큰 바위가 세워져 늘어서 있다.

마을 사람들은 이 집채만 한 바위 세 개가 마을의 풍요를 지켜준다고 믿는다.

이 바위 세 개는 각각 쌀 항아리, 술 항아리, 돈 항아리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러한 사실들을 보면 마을 사람들이 무의식적으로 느티나무와 바위들을 마을의 수호자로 삼고 의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바위들은 느티나무로 세차게 몰아치는 삭풍(朔風)을 막아주는 바람막이 구실도 한다.

[사진=한국지역인문자원연구소]
[사진=한국지역인문자원연구소]

경북 봉화군 봉화읍 거촌2리 황전마을은 예로부터 효(孝)를 정신문화의 근간으로 삼았던 마을이다.

이 마을을 대표하는 인물 중에 조선 효종 때의 문신 황파(黃坡) 김종걸(金宗傑:1628~1708)이 있다.

3백여 년 전에 이 마을에 살았던 김종걸은 지극한 효심으로 널리 알려진 인물이다.

그의 효성에 관한 재미있는 전설이 전해진다.

김종걸의 어머니가 병환이 들었을 때였다. 김종걸은 극진하게 간호했지만, 어머니의 병에는 차도가 없었다.

애가 탄 김종걸은 산에 들어가 어머니를 낫게 해 달라고 금식기도를 올렸다.

한참 기도에 집중하고 있는데 어디선가 호랑이가 나타났다.

호랑이는 김종걸을 위협하기는커녕, 오히려 숲속으로 김종걸을 인도했다.

김종걸이 호랑이를 한참 따라간 자리에 신비한 약초가 있었다.

김종걸이 캐온 약초를 먹고 어머니의 병이 씻은 듯이 나았다고 한다.

김종걸의 후손이 오순도순 살아가는 황전마을에서는 그 뒤로도 남다른 효도를 한 인물이 여러 명 나왔다.

황전마을은 효성이 지극한 사람들이 사는 마을로 널리 알려졌다.

경상북도에서는 황전마을을 ‘효(孝) 시범마을’로 지정했다.

황전마을 어귀에는 경상북도 민속자료 제54호인 도암정이 단아한 자태로 서 있다.

도암정은 기다란 연못가에 세워진 아름다운 정자다.

싱그러운 연꽃으로 뒤덮인 연못 가운데에 작은 섬이 있고 그 가운데에 소나무 한 그루가 서 있다.

거촌리 느티나무는 이러한 도암정 주변의 모습과 조화롭게 어울리며 아름다운 풍광을 완성하는 풍치목이기도 하다.

<봉화 거촌리 느티나무>

·보호수 지정 번호 11-29-1-1
·보호수 지정 일자 1982. 10. 29.
·나무 종류 느티나무
·나이 280년
·나무 높이 25m
·둘레 4.2m
·소재지 봉화군 봉화읍 거촌리 산47
·위도 36.873437, 경도 128.743332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