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에는 약 1만5000그루의 보호수가 있습니다.

마을에 오래 살아 마을 사람들의 삶과 함께 한 나무입니다. 느티나무, 은행나무, 소나무 등 여러 수종의 나무입니다. 이 나무에는 각자 스토리가 있습니다.

나무와 관련된 역사와 인물, 전설과 문화가 있습니다. 이게 바로 문화콘텐츠입니다.

나무라는 자연유산을 문화유산으로 승화시킨 예입니다.

뉴스퀘스트는 경상북도와 협의하여 경상북도의 보호수 중 대표적인 300그루에 대한 스토리텔링을 연재합니다. 5월 3일부터 매주 5회 연재를 시작합니다. 많은 구독 부탁드립니다.

<편집자주>

봉화 고감리 회화나무 세 그루는 봉화금씨(奉化琴氏) 시조가 심어 키운 나무로 세월이 지나며 연리지를 이룬 신비롭고 귀중한 나무다. [사진=한국지역인문자원연구소]

【뉴스퀘스트=한국지역인문자원연구소】 봉화 고감리 회화나무 세 그루는 한데 묶어 보호수로 지정되었다.

마을 깊숙한 길 끝에 자리잡은 봉화금씨 군위공종택(軍威公宗宅) 대문 앞 언덕에 자리 잡고 있다.

고감리는 낙동강을 경계로, 청량산을 마주 보고 솟아오른 풍락산, 응봉산 등의 낮은 산들로 둘러싸인 아늑한 마을이다.

언덕 위에 서 있는 회화나무 세 그루 중 두 그루는 바짝 붙어있고 다른 한 그루는 5m쯤 떨어진 자리에 있다.

바짝 붙어있는 두 그루는 긴 세월이 흐르는 동안 줄기가 서로 만나 한 몸이 되는 연리지 나무가 되었다.

그중 한 그루는 줄기가 위로 곧게 자랐는데, 다른 한 그루는 뿌리에서 올라온 줄기가 어떤 이유에서인지 곁의 나무 쪽으로 거의 수평으로 다가가다 다시 위를 향해 자랐다.

위를 향해 방향을 바꾼 자리에서 자라난 나뭇가지 하나가 옆 나무의 밑동 쪽으로 긴 세월 동안 계속 자라나 마침내 두 나무는 한 몸이 되었다.

이른바 연리지를 이룬 것이다.

[사진=한국지역인문자원연구소]
[사진=한국지역인문자원연구소]

가까이에 있는 나무가 서로 만나 한 몸을 이루는 경우를 식물학에서는 연리지, 연리목, 연리근으로 나눈다.

가지가 붙으면 연리지, 줄기가 붙으면 연리목, 뿌리가 연결되면 연리근이다.

연리지의 경우, 줄기 위쪽에서 뻗어 나온 가지가 서로 만나 연결되는 게 일반적이다.

고감리 회화나무가 연리지가 된 방식은 특별한 경우다.

한 나무의 가지가 다른 나무의 줄기 밑동에 연결되어 한 몸을 이루었다.

가지와 줄기가 연결되는 것은 매우 드문 현상이다.

[사진=한국지역인문자원연구소]
[사진=한국지역인문자원연구소]

기록은 없지만 고감리 회화나무에 대해 전해지는 이야기가 있다.

마을을 일으킨 봉화금씨의 시조, 영렬공(英烈公) 금의(琴儀:1153~1230)가 자신의 집을 지은 뒤에 대문 앞에 나무를 심었다고 한다.

그 나무는 오래전에 죽고 후손들이 후계목으로 심어 키운 나무가 지금의 고감리 회화나무라고 한다.

금씨 가문의 후손들은 회화나무 세 그루가 모두 같은 시기에 심은 나무라고 이야기한다.

하지만 얼핏 보아도 줄기의 굵기에 차이가 있어서 각각 수령이 다르게 보인다.

그렇다고 후손들의 이야기가 무조건 틀렸다고 할 수는 없다.

생명체의 생육 상태는 자로 잰 듯 일정하지 않으며 뿌리 내린 위치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봉화금씨는 고려 초에 삼한공신(三韓功臣)으로 정1품 태사(太師)에까지 올랐던 금용식(琴容式)을 시조로 보기도 하지만, 가문의 계통을 밝혀놓은 세계(世系)가 전하지 않는다.

그래서 봉화금씨는 사실상 영렬공 금의를 시조로 본다.

금의는 문장이 뛰어나 ‘금학사(琴學士)’라고 불렸다.

68세까지 벼슬을 하고 78세 때인 1230년에 세상을 떠났다.

회화나무 앞 군위공 종택은 금의가 봉화 지역에 처음 터를 잡고 지은 집이라고 전해진다.

기록이 없어 정확한 사실은 알 수는 없다.

대를 이어 살던 후손들이 종택을 여러 차례 증축, 개축했다.

원래의 모습과는 많이 달라졌기 때문에 종택의 정확한 건축 연대 또한 알 수 없다.

지금의 모습을 갖춘 건 군위공(軍威公) 금계(琴啓:1439~1497)가 종택에 살 때여서 ‘군위공 종택’이라고 한다.

금계는 군위 현감으로 선정을 베풀어 백성들의 존경을 받았으며 봉화금씨 군위공파의 파조(派祖)가 됐다.

금계는 효자로 널리 알려진 인물이다.

그는 부모가 병들자 하루도 빠짐없이 손수 샘물을 길어 약을 달여 드시게 했다고 한다.

그때 샘물을 길었던 우물이 아직도 남아있다.

후손들은 그 우물을 ‘효정샘’이라 부르고 효도의 상징으로 삼고 있다고 한다.

금계는 부모가 돌아가시자 3년 시묘(侍墓)를 했다.

소금과 죽만 먹으며 슬픔을 이겨냈다는 이야기가 마을에 대를 이어 전해진다.

<봉화 고감리 회화나무>

·보호수 지정 번호 09-21-01
·보호수 지정 일자 2009. 12. 12.
·나무 종류 회화나무 세 그루
·나이 400년
·나무 높이 20m
·둘레 2.4m
·소재지 봉화군 명호면 고감리 산42
·위도 36.864987, 경도 128.820993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