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인구 중 17.5% ‘노인’...전남 24.5%로 노인 가장 많아
생산연령인구 100명이 노인 24.6명 부양, 2035년엔 2배로
복지 수요 해마다 증가...저출산 문제 해결이 돌파구 될 듯

​
노인 인구 증가로 사회적 부양 책임도 점차 커지고 있다. 홀로 사시는 어르신이 식료품과 생필품 등을 가지고 찾아온 대구 서구제일종합사회복지관 관계자들을 반갑게 맞이하고 있다.​(사진은 특정 기사 내용과 관련 없음) [연합뉴스]

【뉴스퀘스트=민기홍 기자】 대한민국이 ‘늙어가는’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올해 우리나라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900만명을 넘어섰다. 3년 뒤에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국 중 가장 먼저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보인다.

29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고령자 통계'에 따르면 올해 기준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901만8000명으로 사상 처음 900만명을 넘었다. 전체 인구 중 17.5%가 ‘노인’이라는 의미다.

고령인구 비중은 점차 늘어나 3년 뒤인 2025년에는 전체 인구 다섯 명 중 한 명(20.6%)이 노인이 될 것으로 통계청은 예상했다. 이어 10년 뒤인 2035년에는 30.1%, 2050년에는 40%를 넘어서 초고령사회의 정점에 다다를 것으로 전망했다.

우리나라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이 14%에서 20%에 도달하는 초고령사회 진입 기간이 7년에 불과해 OECD 주요국 중 오스트리아(53년), 영국(50년), 미국(15년), 일본(10년)과 비교했을 때 매우 빠른 속도의 변화를 나타냈다. 

지역별로는 전남이 24.5%로 고령자가 가장 많았다. 경북(22.8%), 전북(22.4%), 강원(22.1%), 부산(21.0%)도 고령인구 비중이 20% 이상으로, 이미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다. 이같은 속도라면 2028년에는 거의 모든 지방 도시가 초고령사회가 될 것으로 통계청은 전망했다.

초고령사회에 진입하면서 고령인구 부양이 적지 않은 사회적 부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생산연령인구 100명이 2022년엔 24.6명의 노인을 부양하고 있지만 늘어나는 속도는 점차 빨라져 2035년에는 48.6명으로 2배에 육박한다. 이후 2050년에는 78.6명, 2070년엔 100.6으로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노인 인구 증가로 사회적 부양 책임도 점차 커지고 있다. 지난 10년간 가족이 부모를 부양해야 한다는 생각은 38.3%에서 27.3%로 줄어들었다. 가족과 정부, 사회가 함께 책임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중은 37.8%에서 49.9%로 높아졌다.

하지만 스스로 노후를 준비하는 고령자는 56.7%에 그치고 있다. 나머지 43.3%는 준비를 하지 않거나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지난해 기준 고령자 가구 순자산은 4억1048만원, 고용률은 34.9%로 나타났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1일 서울 종로구 창신2동 주민센터에서 위기가구 발굴 체계 강화를 위한 현장 간담회를 마친 뒤 인근 기초 생활 수급 독거노인 가구를 방문, 두 손을 잡고 어려움을 경청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1일 서울 종로구 창신2동 주민센터에서 위기가구 발굴 체계 강화를 위한 현장 간담회를 마친 뒤 인근 기초 생활 수급 독거노인 가구를 방문, 두 손을 잡고 어려움을 경청하고 있다. [연합뉴스]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둔 우리 사회가 준비해야 할 것이 점점 많아진다. 519만5000가구가 65세 이상인 고령자 가구로, 전체 가구의 24.1%에 달한다. 네집 걸러 한 가구는 노인이 가구주라는 얘기다. 특히 고령자 가구의 3분의 1 이상인 187만5000가구가 노인 혼자 거주하는 1인 가구다.

복지 수요는 해마다 늘어나고, 덩달아 세금도 그만큼 늘어나게 된다. 저출산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해야 노인 인구 비중을 줄일 수 있고, 이는 정부 정책이 선행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초고령사회를 앞둔 우리 사회에 더 큰 울림으로 다가오고 있다.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