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가액 국민(1108억원), 하나(817억원), 신한(772억원), 우리(539억원) 순
서민금융 지원 비율, 1년 전보다 23%포인트 늘면서 69.2% 기록
김희곤 의원 “공공성 종합평가 지표 개발로 은행의 사회공헌 유인해야”

국회 정무위원회 김희곤 국민의힘 의원실은 4대 은행의 올해 사회공헌 지원액이 3236억원에 달해 전년도 총지원액 6136억원의 절반 수준을 벌써 넘어섰고, 서민금융지원 비율도 전년 대비 23%포인트 증가했다고 밝혔다. [사진=연합뉴스]
국회 정무위원회 김희곤 국민의힘 의원실은 4대 은행의 올해 사회공헌 지원액이 3236억원에 달해 전년도 총지원액 6136억원의 절반 수준을 벌써 넘어섰고, 서민금융지원 비율도 전년 대비 23%포인트 증가했다고 밝혔다. [사진=연합뉴스]

【뉴스퀘스트=김민수 기자】 지난해 사상 최고의 실적을 올린 4대 은행들이 올해 들어 사회공헌 확대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윤석열 대통령을 비롯한 정치권과 여론이 금융당국의 공공성 강화 확대 주문에 은행권이 서민금융 지원 비율을 늘리면서 금융의 사회적 역할을 다하는데 많은 공을 들이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이러한 분위기가 이어질 수 있도록 은행의 공공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객관적인 지표 개발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22일 국회 정무위원회 김희곤 국민의힘 의원실은 KB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가나다 순) 등 4대 은행의 2022년부터 2023년 4월까지 분야별 사회공헌 활동 지원액 관련 자료를 발표했다.

그 결과, 4대 은행의 올해 사회공헌 지원액이 3236억원으로 작년 총 지원액(6136억원)의 절반 수준을 벌써 넘긴 것으로 집계됐다.

해당 지원액은 은행연합회의 기준 항목인 ▲지역사회‧공익 ▲서민금융 ▲학술‧교육 ▲메세나 ▲환경 ▲글로벌 등에 사용된 금액이다.

은행별 지원액을 보면 KB국민은행이 1108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하나은행(817억원), 신한은행(772억원), 우리은행(539억원) 순이었다.

특히 사회공헌 활동의 분야별 지원 비율을 분석해보니 서민금융에 대한 지원이 크게 늘어났다.

2022년 한 해 전체 평균이 46.2%였지만, 2023년 1월부터 4월까지 서민금융에 대한 지원액은 평균 69.2%로 23.0%포인트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신한은행이 전체 사회공헌 지원금액 중 76%를 서민금융을 위한 지원에 투입했고, 우리은행(75.4%), KB국민은행(71.2%), 하나은행(54.1%)도 모두 작년보다 두 자리 수 이상 증가 비율을 보였다.

다만, 환경에 대한 지원은 2022년 평균 0.45%에서 2023년 1월부터 4월까지는 평균 0.6%로 소폭 증가했다.

이처럼 은행권이 사회공헌 지원금액을 늘리고 있는 이유는 올해 초 금융당국이 사회적 책임 강화에 협조해줄 것을 당부했기 때문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은행은 공공재적 성격을 갖고 있기 때문에 과점 체제로 시장에서 유리한 지위를 차지한 곳들은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고통 분담에 나서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 원장도 “은행들은 진정으로 상생하기 위한 지속적인 모습을 보여야 한다”며 “사상 최대 이익을 달성하면서 이같은 노력이 부족하다는 부정적 여론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국회에서도 금융당국과 비슷한 관점에서 은행의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기 위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지난 2월 김희곤 의원이 대표발의한 ‘은행법’의 목적 조항에 ‘은행의 공공성 확보’를 반영하는 내용의 법 개정안은 최근 국회 정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상정됐다. 향후 법안심사소위 논의를 앞두고 있다.

김 의원은 “윤석열 대통령의 은행의 공공적 성격 강조 이후 사회공헌 지원액이 크게 늘어났다”며 “특히 서민금융 지원 비율이 크게 확대된 점은 은행들이 적극적으로 호응한 것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다만, 금융당국은 사회공헌 지원뿐 아니라 은행의 공공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다양한 지표 개발을 통해 지속적인 사회공헌 지원확대를 유인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