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트만 CEO, ‘K-스타트업과의 교류 간담회’서 투자 의향 밝혀
오픈AI 자체 생태계 구축 일환...후발주자 국내 IT 기업 부담 늘어
규제 논의 비판도...전문가 “기득권으로 성장한 오픈AI, 후발주자 견제”

이영 중소벤처기업부 장관과 샘 올트먼 OpenAI 대표가 9일 서울 여의도 63빌딩에서 열린 'K-스타트업 밋업' 행사에서 대담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영 중소벤처기업부 장관과 샘 올트먼 OpenAI 대표가 9일 서울 여의도 63빌딩에서 열린 'K-스타트업 밋업' 행사에서 대담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뉴스퀘스트=이태웅 기자】 생성형 인공지능(AI) 챗GPT 열풍을 이끈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한국 스타트업에 대한 관심을 드러내며 협력할 기회를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올트먼 CEO가 한국을 방문하면서 국내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 의지를 드러낸 것이다.

다만 일각에서는 올트먼 CEO의 행보와 관련해 안심할 수만은 없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올트먼 CEO은 9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63빌딩에서 열린 ‘오픈AI와 K-스타트업 간 교류·협력을 위한 밋업’ 행사에 “한국은 인터넷 보급률이 가장 높고 테크놀로지도 그렇고 전 세계에서 볼 수 없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가 있는 나라로, 오픈AI는 한국과 협력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 스타트업들이 굉장히 훌륭하다고 알고 있다”며 “특히 딥테크 기업들에 대한 관심이 많고 대화하고 싶다. 지금이 창업의 골든시대라고 본다”고 강조했다.

이번 간담회를 주관한 중소벤처기업부 이영 장관도 “우리가 AI와 오픈AI에 대해서 궁금해하는 것을 알트만 CEO로부터 직접 확인하고 협력을 모색하는 뜻깊은 자리였다”고 밝혔다.

이어 이 장관은 “오늘 간담회를 시작으로 AI 관련 우리 스타트업이 세계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오픈AI와 지속적으로 교류하고 협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올트먼 CEO가 국내 스타트업과의 협업 가능성을 비롯해 투자 의향 등을 내비치면서 국내 스타트업계는 기대감에 부푼 모양새다.

다만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올트먼 CEO의 ‘깜짝 선물’에도 국내 IT 업계가 긴장을 풀어서는 안 된다는 의견이 나온다.

정승익 메타피아 대표 겸 서울사이버대 메타버스 겸임교수는 “오픈AI가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를 통해 독자적인 생태계를 구축하려는 것으로 볼 수 있다”며 “자체 생태계를 마련하고자 하는 기업 입장에서는 치명적일 수 있다”고 밝혔다.

이는 올트먼 CEO의 선물이 하반기 공개 예정인 네이버의 ‘하이퍼클로바X’와 카카오의 ‘코GPT’ 등 자체 AI 생태계 구축을 준비하고 있는 국내 기업들에 대한 견제로 작용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김명주 서울여대 정보보호학과 교수도 “오픈AI는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 등과 달리 기술 솔루션만 보유한 기업”이라며 “국내 투자 의사는 사업화 발굴 즉 생태계 구축의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이어 “오픈AI의 네임밸류는 투자 대상 기업의 입장에서 성장의 기회이지만, 후발주자들에게는 진입 장벽과 같은 견제책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윤석열 대통령이 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생성형 인공지능(AI) 챗GPT 개발사인 오픈AI의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를 접견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이 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생성형 인공지능(AI) 챗GPT 개발사인 오픈AI의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를 접견하고 있다. 

특히 전문가들은 올트먼 CEO의 방한을 계기로 생성형 AI에 대한 규제가 논의될 수 있다는 점에 대해서도 우려를 나타냈다.

올트먼 CEO는 이날 오후 윤석열 대통령과 만나 이야기를 나눌 예정인데, 업계에서는 이 자리에서 AI 규제와 관련된 내용이 주제로 오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정 교수는 “규제가 없는 상황에서 거대 기업으로 성장한 오픈AI가 이제와서 규제를 이야기하는 것은 후발주자들이 오를 수 있는 사다리를 걷어차는 행보이다”면서 “결국 시장 우위를 지키려는 수단으로 해석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도 오픈AI가 중심이 돼 규제가 논의되는 상황에 대해 ‘사다리 걷어차기’ 행보라고 비판했다.

특히 김 교수는 “국내 스타트업도 투자만을 기다린다면 향후 해외 기업에 종속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며 “국내 IT 기업도 해외 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을 정도로 경쟁력을 갖춘 기업으로 빨리 성장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