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퀘스트=김동호 기자】 수년전부터 '대한민국 공교육은 죽었다'는 말이 나오고 있다.

교사들을 비판하는 소리로 들릴 수 있지만, 사실 학생과 학부모의 문제가 더 클 수도 있다.

실제로 일부 학생과 학부모들은 학교 수업보다 학원 수업을 더 중요 시하면서 학교 수업이 정상적으로 진행되고 있지 않다. 

학교 수업이 입시에 포커스를 맞춘 학원과 비교해 방향성과 몰입도에서 차이가 난다는 이유에서다. 이는 곧 학교 수업에 대한 신뢰도 저하와 교권 추락으로 이어졌다.

특히 교권이 무너지면서 학생들이 교사들을 대하는 태도가 예전과는 완전 다른 모습이다.

20~30년전 학교 현장에서는 일부 몰지각한 교사가 학생을 무자비하게 폭행하는 일이 번번히 벌어지곤 했다. 

최근에는 학생 인권이 강조되면서 이런 모습을 찾아볼 수 없다.

반면 교사가 학생들에게 폭행 당했다는 황당한 뉴스가 이어지고 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에 따르면 교권보호위원회(교보위) 심의 건수 기준으로 최근 6년간(2017∼2022년) 교원 상해·폭행은 1249건에 달했다. 이 중 학생의 교사 폭행 건은 2018년 165건에서 2022년 347건으로 4년간 2.1배로 증가했다.

최근에는 서울의 한 공립 초등학교 교사가 학생에게 폭행당해 전치 3주 진단을 받는 사건이 발생했다.

서울교사노조와 교육계에 따르면 서울 양천구 소재 S초등학교 6학년 담임교사 A씨는 지난달 30일 다른 학생들이 있는 교실에서 제자 B군에게 폭행을 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의 한 초등학교 교사가 극단적 선택을 하는 안타까운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서울시교육청과 교육계에 따르면 지난 18일 서울 서초구의 한 초등학교 담임 교사 C씨가 학교 안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C씨는 극단적 선택을 한 것으로 파악됐다.

C씨는 2000년생이며, 올해 학교에 첫 부임한 초임교사로 알려져 안타까움을 더 사고 있다.

교육계와 인터넷 커뮤니티에서는 C씨가 학교폭력 관련 학부모의 민원에 시달렸다는 이야기가 퍼지고 있다. 특정 학부모가 지속적으로 악성 민원을 제기했다는 의혹도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해당 학교 측은 "학교폭력(학폭) 갑질 민원이 동기라는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고 밝히고 있다.

아직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지만 '좋은 교사'가 되겠다는 꿈을 가지고 시작한 교직생활을 1년도 못채운 채 안타까운 선택을 하게 된 것이다.

이 모든 일들이 사실상 무너진 교권 때문이다.

특히 이는 학생 이전에 학부모들의 문제가 더 크다.

보통 1~2 자녀를 과보호하다보니 자식들이 학교에서 조금만 안 좋은 소리를 듣더라도 학교에 찾아가 교사들에게 따지거나 폭행하는 사례가 보도되기도 했다.

또한 일부 학부모들은 교사들을 상대로 고소, 고발을 남발하고 있어 이로 인한 피해가 급증하고 있다.

이런 부모를 보고 학생들이 뭘 배우겠는가.

교총은 "교보위에 오르는 건수는 교권 침해 사례의 극히 일부이며, 교원에 대한 상해와 폭행은 일상화됐다"며 "서울시교육청은 해당 사건을 형사범죄 행위로 판단해 교원이 원할 경우 반드시 고발하고 피해 교사에 대한 치료, 회복과 법적 지원에 전면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은 20일 입장문을 통해 "최근 일어난 양천구 S초등학교의 교사 폭행 사안 등 심각한 수업 방해, 교육활동 침해가 벌어지고 있다"며 "또한 학교폭력 관련 학생에 대한 교원의 생활지도를 무력화하는 악의적인 민원과 고소가 급증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교사의 정당한 교육활동이 보호받지 못하는 현실을 매우 엄중하게 생각하고 있다"며 "특단의 대책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한다. 교사의 정당한 교육활동 및 생활지도권에 대해 더욱 철저한 법 제도적 보장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금과 스승과 아버지의 은혜는 다 같다'는 '군사부일체(君師父一體)'라는 말이 있다. 스승의 은혜를 갚지 못하더라도 그들의 교권을 짓밟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다.

최근에는 교대를 지원하는 학생들이 급격히 줄며 일부 학교에서는 미달사태까지 벌이지고 있다.

물론 저출산으로 인해 학급수가 줄면서 교원 채용이 줄어들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학생들이 바라보는 교사들의 모습이 자신의 미래가 되고 싶지 않기 때문이기도 할 것이다.

교육은 백년지대계(百年之大計)라 했다. 

대한민국의 미래를 짊어질 학생들을 바로 가르치려면 교육현장이 정상화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학생 인권이 강조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교권이 바로 설 수 있는 교육현장 조성이 시급하다.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