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와 9·13대책으로 주택매매 감소 영향

[사진=뉴스퀘스트DB]
[사진=뉴스퀘스트DB]

【뉴스퀘스트=강영민 기자】 지난해 국내에서 거주지를 옮기는 인구이동이 거의 반세기 만에 가장 적은 것으로 집계됐다. 

빠른 고령화 속도로 장기적인 하락세와 함께 '9·13 부동산대책' 여파로 주택매매가 감소한 영향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또 서울 인구는 30년째 순유출을 이어갔고 수도권 인구 순유입은 계속됐다.

◇ 인구 100명당 이동자수 13.8명...47년 만에 최소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2019년 국내인구이동통계'를 보면 작년 인구이동자 수는 전년보다 19만3000명(2.6%) 감소한 710만4000명이었다.

인구이동률(인구 100명당 이동자 수)은 13.8%로 전년보다 0.4%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1972년(11.0%) 이후 47년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김진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이에 대해 "이동 성향이 높은 연령대인 20~30대 인구는 감소세인 반면, 이동 성향이 낮은 60대 인구는 지속 증가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며 "전년에 비해서는 9·13 대책 등의 영향으로 주택매매가 감소해 이동자수가 줄었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경제성장률이 둔화도 인구이동률이 하락하는데 영향을 미쳤다"고 덧붙였다.

실제 1990년대 20%대를 웃돌던 인구이동률은 2000년대 중반 이후 뚜렷한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다.

지난해 인구이동 사유별로 보면 주택을 사유로 한 인구이동자 수가 16만3000명 줄었다.

주택매매량이 전년보다 6.0%(5만1000건) 감소하고, 신규입주 예정 아파트 수는 11.6%(5만3000건) 줄어든 때문이다.

인구이동 사유를 비중으로 따지면 주택(38.8)이 가장 많고, 가족(23.8%), 직업(21.6%) 등 순이었다.

[자료=통계청]
[자료=통계청]

◇ 수도권 8만3000명 순유입, 서울 5만명 순유출

시도 내 이동인구(471만9000명)은 3.0%, 시도 간 이동인구(238만5000명)는 1.8% 각각 감소했다.

시도별 전입률을 보면 세종(25.3%)이 가장 높았다. 이어 광주(15.0%), 서울(14.9%), 경기(14.9%) 등 순이었다. 전출률은 세종(18.0%), 대전(15.5%), 서울(15.4%) 등 순이었다.

전입이 전출보다 많아 순유입이 발생한 시도는 경기(13만5000명), 세종(2만4000명), 제주(3000명), 충북(3000명), 강원(2000명) 등 5개였다. 경기·세종·제주·충북은 전년보다 순유입이 감소했다.

순유출이 발생한 시도는 서울(-5만명), 대구(-2만4000명), 부산(-2만3000명) 등 12개 시도였다.

인구 대비 순이동자 비율을 보면 순유입률은 세종(7.3%), 경기(1.0%), 제주(0.4%) 순으로 높았고, 순유출률은 대전(-1.1%), 대구(-1.0%), 울산(-0.9%) 순으로 높았다.

서울은 10~20대 이외 모든 연령층에서 순유출을 기록했다.

서울의 인구 순유출은 1990년부터 30년간 단 한해도 빠지지 않고 계속되고 있다. 서울 전입자의 50.9%는 경기에서 들어왔고 서울 전출자의 63.6%는 경기로 나갔다.

권역별로 보면 수도권은 8만3000명이 순유입됐다. 공공기관 지방 이전 요인이 줄어들며 2017년(1만6000명) 순유입으로 전환한 뒤 2018년(6만명)에 이어 순유입 규모가 더 커졌다.

지난해 12월 총이동자 수는 64만6000명으로 1년 전보다 4.6% 늘었다. 인구이동률은 14.8%로 1년 전(14.2%)보다 0.6%포인트 증가했다. 

[자료=통계청]
[자료=통계청]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