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홍도 作 '대장간', 18세기 후반, 종이에 먹과 옅은 채색, 27cm×22.7cm, 보물 제527호, 《단원풍속도첩》,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김홍도 作 '대장간', 18세기 후반, 종이에 먹과 옅은 채색, 27cm×22.7cm, 보물 제527호, 《단원풍속도첩》,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뉴스퀘스트=백남주 큐레이터】 <대장간>은 조선 후기의 화가인 단원(檀園) 김홍도(金弘道, 1745~1806 이후)가 그린 풍속화로, 지금은 쉽게 볼 수 없는 전통적인 대장간의 모습을 그린 작품이다.

그림을 보면, 세 명의 대장장이가 한 조가 되어 한사람은 쭈그리고 앉아 벌겋게 달궈진 쇳덩어리를 집게로 잡고 있고, 두 사람은 쇠메를 번갈아 내려치고 있다.

박자를 맞춰 메질을 하는 동작에서 리듬감이 전해진다. 화면 뒤쪽의 나이 어린 대장장이는 벌겋게 타오르는 화덕 옆에 서서, 한 손으로 줄을 잡고 풀무질을 하고 있다.

대장장이들 모두 뜨거운 불을 다루기에 적합하도록 긴 소매의 저고리와 바지를 입었고, 버선을 신었다.

그리고 머리에는 고깔 모양의 모자를 쓰고 작업 중이다. 화면 왼쪽 하단에는 더벅머리 일꾼이 잘 벼린 낫을 두 손으로 잡고 숫돌에 갈고 있다.

그는 마무리 작업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풍속화에는 조선 시대의 대장간에서 사용했던 각종 도구들이 자세히 묘사되어 있으며, 전통 대장간의 모습과 대장장이의 작업 현장이 매우 생생하게 그려져 있다.

쇠를 불에 달구는 것을 불림이라 하고, 망치로 두드리면서 쇠의 모양을 내는 것을 메질이라 하며, 달궈진 쇠를 찬물에 담가 식혀서 단단하게 만드는 것을 담금질이라 하고, 불의 온도를 높이기 위해 화덕에 바람을 불어넣는 것을 풀무질이라고 한다.

대장간은 쇠를 달구고 담금질과 메질을 하여 여러 가지 연장을 만드는 곳이지 쇠를 만드는 곳은 아니다.

쇠를 만드는 곳은 야장(冶場)이라고 하며, 조선 시대에는 철(鐵)이 생산되었던 곳에 국가가 야장을 설치하여 관리하였다.

조선 시대에 대장장이는 서울에서는 공조·상의원·군기시·교서관·선공감·내수사·귀후서 등에, 지방에서는 관찰사영·병마절도사영·수군절도사영 그리고 기타 지방 관청에 자기 이름을 올리고, 매년 일정한 일수를 무보수로 일을 해야 했다.

관청에서 일을 하지 않는 날에는 사적으로 물건을 만들어 팔 수 있었고, 자신의 책임량을 초과한 생산품도 판매할 수 있었으나, 그러한 경우에는 높은 세금을 내야만 했다.

18세기 후반에 이르러 수공업자들이 관청에 이름을 등록하던 제도가 없어졌고, 대장장이들이 내던 세금도 전에 비해 줄어들었다.

이런 변화로 인해 대장장이들은 국가와 관청의 속박에서 벗어나 약간의 자유를 누리게 되었다.

1778년에 김홍도가 그린 《행려풍속도병풍》에도 길가에 차려진 대장간의 모습이 등장하는데, 《단원풍속도첩》의 <대장간> 그림과 달리 대장장이들이 화면의 우측에 위치한다.

화원화가인 김득신(金得臣, 1754~1822) 역시 대장간 풍경을 소재로 한 풍속화를 그렸는데, 배경을 그리지 않은 단원과 달리 김득신은 자신의 그림에 대장간 건물과 지붕, 기둥을 그려 넣었다.

그의 그림에는 모두 4명의 대장장이가 등장하는데, 쇠메를 내려치는 두 사람 중 한 명은 상의를 탈의하였고, 나머지 한 사람은 붉은색 모자를 쓰고 있는데 단원의 그림 속 인물들에 비해 가벼운 옷차림을 하고 있다.

김홍도의 행려풍속도병풍 중 '대장간', 1778년, 비단에 채색, 90.9cm×42.7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김홍도의 행려풍속도병풍 중 '대장간', 1778년, 비단에 채색, 90.9cm×42.7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김득신 作 '대장간', 종이에 먹과 옅은 채색, 27cm×22,4cm, 간송미술관 소장.
김득신 作 '대장간', 종이에 먹과 옅은 채색, 27cm×22,4cm, 간송미술관 소장.

김홍도는 조선 후기의 화가로 김해 김씨이고, 호는 단원이다.

그는 조선 시대를 통틀어 가장 뛰어난 화가 중 한 사람으로 산수화·인물화·도석화·풍속화·영모화·화조화 등 회화의 모든 분야에서 뛰어난 기량을 발휘했다.

김홍도의 풍속화에는 특히 예리한 관찰과 정확한 묘사력, 서민들의 생활에 대한 깊은 공감이 잘 드러나 있다.

【참고문헌】

단원 김홍도 연구(진준현, 일지사, 1999)

조선 풍속사1-조선 사람들 단원의 그림이 되다 (강명관, 푸른역사, 2016)

조선후기 회화의 사실정신(이태호, 학고재, 1996), 풍속화(둘)(이태호, 대원사, 1996)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