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서울 등 공실률 늘고 임대료 떨어져

지난 13일 오전 서울 중구 명동의 한 상가에 임대문의 안내문이 붙어있다. [사진=연합뉴스]
지난 13일 오전 서울 중구 명동의 한 상가에 임대문의 안내문이 붙어있다. [사진=연합뉴스]

【뉴스퀘스트=최석영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이 무너지면서 빈 상가가 늘고 임대료도 떨어진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코로나19 피해가 컸던 대구·경북 지역과 국내 주요상권이 몰려있는 서울의 폐업 상가가 눈에 띄게 증가했다. 

다만 일시 휴업으로 임차는 유지하고 있어 공실률 증가 폭이 가파르지는 않았다.

27일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1분기 상업용 부동산 임대 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국의 상가 공실률은 중대형이 평균 11.7%, 소규모가 5.6%로 전 분기 대비 각각 0.7%포인트, 0.1%포인트 증가했다.

감정원은 "코로나19로 소비 심리가 둔화하고 매출이 감소해 상가 공실률이 올랐다"고 설명했다.

3층 이상이거나 연면적이 330㎡를 초과하는 중대형 상가의 경우 경북(17.4%), 전북(15.7%), 충북(15.5%) 등 지역의 공실률이 전국 평균보다 높았고 제주(6.3%), 서울(7.9%), 경기(9.8%) 등은 낮았다.

경북은 구미(24.9%), 포항(21.5%) 등 상권이 지역산업 침체에 코로나19 사태까지 겹치며 공실률이 전 분기보다 1.4%포인트 올랐다.

코로나19 피해가 컸던 대구(15.2%)도 전 분기 대비 0.7%포인트 증가했다.

서울의 공실률은 압구정(14.7%), 장안동(17.1%) 등 상권에서 사회적 거리 두기 및 외국인 등 유동인구 감소로 폐업이 늘면서 전 분기보다 1.0%포인트 올랐다. 신림역(1.4%)·망원역(1.6%) 등 상권에서는 임차가 꾸준히 유지되고 있다.

소규모 상가 공실률은 세종(10.6%), 전북(10.1%), 충남(7.3%) 등이 전국 평균(5.6%)보다 높았고 제주(2.1%), 경기(3.9%), 서울(4.3%) 등은 평균보다 낮았다.

전북은 군산(20.9%)과 정읍(12.7%) 등 상권에서 지역산업 침체와 유동인구 감소, 상권 둔화로 인한 폐업 상가가 늘었다.

[자료=한국감정원]
[자료=한국감정원]

오피스 공실률은 11.1%로 전 분기보다 0.1%포인트 증가했다.

기업 등 업무관련 시설로 채워지는 오피스는 수도권에서는 코로나19 사태에도 공실 영향이 미미했지만, 지방은 기존 경기둔화 영향에 더해 상대적으로 공실률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은 전 분기보다 0.1%포인트 증가한 8.6%를 기록했다. 테헤란로(6.0%)와 강남대로(7.0%) 등 상권에서 공유 오피스 활용과 IT·스타트업 등 신규 임대 수요가 뒷받침되며 상승 폭을 낮췄다.

1분기 임대료는 집합상가의 임대료가 ㎡당 2만7800원으로 가장 높았고, 중대형 상가가 2만6700원, 소규모 상가가 2만원으로 조사됐다.

이는 지난해 4분기 대비 각각 1.28%, 1.47%, 1.55% 떨어진 수치다.

한국감정원은 올해 1분기부터 시장 상황 및 모집단 변화를 정확히 반영하기 위해 상권을 재설정하고 표본 수를 확대하는 등 표본 개편을 시행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이번 조사는 전국 오피스·일반상가 9211동 및 집합상가 2만3000호로 대상을 늘려 실시했고, 감정원 소속 전문조사자 320여명이 지역을 방문해 임대인·임차인 면담 등을 통해 수행했다.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