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K 모빌리티 부품수급 동향 및 대응 방향 세미나'
자동차·반도체 업계간 협력 車반도체 국산화율 높여야

지난 14일 오후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명촌정문에서 납품 차량이 오가고 있다. 현대차는 차량용 반도체 수급 차질로 7일부터 이날까지 일주일째 울산1공장의 가동을 중단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지난 14일 오후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명촌정문에서 납품 차량이 오가고 있다. 현대차는 차량용 반도체 수급 차질로 7일부터 이날까지 일주일째 울산1공장의 가동을 중단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뉴스퀘스트=최석영 기자】 향후 미래차에 대비한 전장부품업체를 키우지 않으면 최근의 차량용 반도체 사태와 같은 전장부품 공급부족 사태가 닥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또 자동차와 반도체 업계간 협력으로 차량용 반도체의 국산화율을 높이고 안정적인 공급을 위한 국내 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28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 컨퍼런스센터에서 개최한 'K 모빌리티 글로벌 부품수급 동향 및 대응 방향 세미나'에서 참석자들은 메모리에 집중된 국내 반도체 산업 환경을 지적하며 차량용 등 비메모리의 국산화율을 높여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먼저 김준규 한국자동차산업협회 운영위원장은 '포스트 코로나, 자동차산업의 트렌드 변화와 과제'라는 발표에서 "차량용 반도체 경쟁력 강화를 위해선 자동차와 반도체 업계 간 협업 생태계 조성,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대, 미래차 연구개발(R&D) 지원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이항구 한국자동차연구원 연구위원은 'K 모빌리티와 향후 전장부품산업 전망' 발표에서 "국내 부품업체 중 전장부품업체 비중은 5%에 불과하고, 세계적인 차량용 SW 업체는 전무하다"며 "전장부품 비중이 내연기관차의 2배가 넘는 미래차에 어떻게 대응할 수 있겠냐"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2019년 기준 자동차산업 R&D 투자가 독일 60조원, 일본 45조원에 달했지만, 한국은 8조7000억원에 그쳤다"며 적극적인 투자를 강조했다.

김진우 한국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경제성을 갖춘 최신 공정은 민간이 주도하고 인프라 성격을 지닌 오래된 공정은 투자 인센티브 등으로 정부가 지원하는 형태가 돼야 한다"며 "반도체를 핵심 인프라로 선언한 미국을 참고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아울러 올해 하반기에나 차량용 반도체 공급부족 완화를 기대할 수 있다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반도체 조달전략을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김 애널리스트는 "단순히 웨이퍼만 늘린다고 공급난이 해결되지 않는다"면서 "아이오닉 카메라용 반도체 칩만 보더라도 이탈리아, 대만, 싱가포르 등 여러 나라를 경유하는 공급망이 형성돼 있어 안정적 공급을 위한 국내 생태계를 키워야 한다"고 말했다.

장정훈 삼성증권 수석연구위원은 전기차 배터리 수급과 관련한 발표에서 "글로벌 2차전지 시장은 2030년 2.6테라와트(TWh) 규모로 2018년 대비 14배 커질 전망"이라며 "배터리 제조사들의 적극적 증설에도 수요를 맞추기 힘든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전기차 제조사들은 원통형, 각형, 파우치형 등 배터리 형태별로 서로 다른 전략을 채택하고 있다"며 "양극재의 경우도 LFP(리튬·철·인산염)보다 하이니켈 NCM(삼원계) 배터리 비중이 의미 있게 확대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