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금융경영연구소, ‘2022년 경제·금융시장 전망’보고서 발간
기저효과 소멸, 수출경기 둔화 등으로 경제 성장 모멘텀 약화…시중금리, 원/달러 환율 상승 전망

[사진=픽사베이]
[사진=픽사베이]

【뉴스퀘스트=김동호 기자】 지난해부터 계속되고 있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국내는 물론 전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내년 우리 경제의 성장세가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하나은행(은행장 박성호) 소속 하나금융경영연구소(소장 정중호)는 7일 ‘2022년 경제·금융시장 전망’ 보고서를 통해 “2022년 국내경제는 코로나 여건이 개선되는 가운데 내수 회복 확대 등으로 양호한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예상했다.

다만, 올해 V자 반등 이후 기저효과 소멸 속에 정책지원 축소와 수출경기 둔화 등에 따라 경제 성장 모멘텀은 점차 약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글로벌 인플레이션의 지속 가능성과 중국의 지속적인 규제 정책, 국내 가계부채 증가 등은 부정적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 2022년 성장 모멘텀 약화…경제성장률 2.8% 예상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보고서를 통해 “올해 3.9%(추정)의 견조한 성장에 이어 2022년에도 잠재성장률을 웃도는 양호한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라면서도 “성장 모멘텀이 약화되며 경제성장률은 2.8%에 그칠 것”이라고 밝혔다.

민간소비는 방역조치 완화로 서비스 소비가 늘어나고 해외여행도 점진적 재개되면서 3.3%(’21년 3.1%, 추정)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건설투자도 양호한 주택수요 및 수주증가, 정부의 주택공급 확대 계획 등에 힘입어 2.7%(’21년 0.6%, 추정)의 증가율을 나타낼 것으로 전망했다.

설비투자는 IT 부문의 전략적 투자와 비IT 부문의 친환경 관련 투자가 이어지겠지만 자금조달비용 상승과 반도체 경기둔화 우려 속에 조정압력이 나타나며 증가율은 올해(9.3%)보다 다소 낮은 3.0%까지 떨어질 것으로 판단했다.

특히 수출의 경우 글로벌 경기회복세 지속과 디지털·그린 경제 확산으로 증가세는 이어지겠으나, 기저효과 소멸 속에 주요국의 경기고점 통과 가능성, 수출단가 하락 등으로 모멘텀이 약화되며 증가율은 올해 (22.2%, 추정) 대비 큰 폭으로 떨어진 2.0%까지 내려갈 것으로 예상했다.

정유탁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방역조치 완화에 힘입어 내수를 중심으로 양호한 성장세가 예상되지만, 재정·통화 등 코로나 대응책 축소와 수출경기 둔화 등을 감안할 때 성장 모멘텀은 점차 약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경제활동 재개 가속화에 따른 서비스 물가 상승과 공공요금 인상 가능성 등에 따라 상승세는 이어지겠지만, 역기저효과 및 유가 상승세 완화 등을 감안할 때 올해보다 소폭 둔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자료=하나금융경영연구소]
[자료=하나금융경영연구소]

◆ 시중금리, 원/달러 환율 상승할 듯

특히 연구소는 내년도 기준금리가 코로나19 이전 수준인 1.25%까지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연구소는 “경기회복과 금융불균형 누증을 감안하여 기준금리가 2021년 4/4분기와 2022년 3/4분기에 추가로 인상되면서 2022년에는 코로나 위기 이전 수준인 1.25%로 복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여기에 미국 연방준비위원회(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가 진행되면서 시중금리는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했다.

김수정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수석연구원은 “금융불균형 완화를 위한 국내 정책당국의 의지와 인플레이션 장기화에 따른 연준의 조기 긴축 우려가 부상할 수 있어 금리 상승세가 가파르게 전개될 가능성도 염두해 두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원/달러 환율도 국내 경제의 성장 모멘텀 둔화, 해외투자 확대 기조 및 외국인 자금유입의 불확실성 등 비우호적 수급환경이 이어지면서 상승압력이 지속돼 내년 4분기에는 1180원까지 상승할 것으로 보고 있다.

◆ 가계부채 증가, 글로벌 인플레이션, 중국 규제 리스크 등 리스크 산적

내년도 경제·금융시장에서는 글로벌 인플레이션의 지속 가능성과 중국의 패러다임 전환 및 규제 리스크, 국내 가계부채 누증 및 금융불균형 우려 등이 리스크로 작용할 전망이다.

연구소 관계자는 “최근 정책·수요·공급측 요인들이 맞물리며 인플레이션이 상승하는 가운데 특히, 공급측 불안요인에 따른 인플레이션 리스크가 우려된다”고 밝혔다.

또한 중국의 질적 경제성장 추진 및 공동부유 강조 속에 규제 리스크에 따른 불확실성도 심화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여기에 국내 가계부채 누증에 따른 파급효과와 정책 딜레마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