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 위기에서 벗어나 대화의 길로…문대통령, 경색된 남북·북미 관계 '중재자' 역할 관심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해 4월 27일 판문점에서 만나 손을 잡고 군사분계선을 넘고 있다. [사진=남북정상회담 홈페이지]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해 4월 27일 판문점에서 만나 손을 잡고 군사분계선을 넘고 있다. [사진=남북정상회담 홈페이지]

[뉴스퀘스트=김동호 부장] 지난해 4월 27일 판문점.

이날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역사적인 만남을 가졌다. 양 정상은 故김대중 전 대통령과 노무현 전 대통령이 김정은 국방위원장과 두차례 가졌던 만남에 이어 사상 세 번째 남북정상회담을 열었다.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만남은 세계를 깜짝 놀라게 하기 충분했다. 남과 북은 지난 2017년까지만 해도 언제 전쟁이 터질지 모르는 급박한 상황에 이었기 때문이다.

박근혜 정부시절에는 그동안 유지되어 오던 개성공단을 폐쇄하는 등 강도 높은 대북제재를 실행했고, 북측도 연이은 미사일 발사와 핵실험으로 남한과 미국을 압박하며 국민들은 극도의 불안감을 느껴왔다.

그러나 문재인 정부 들어 남북관계가 개선을 위한 노력을 시작했고, 북한도 김정은 위원장의 2018년 신년사를 통해 화해 제스쳐를 취했다.

북한은 또 2018 평창올림픽에 선수단을 보내는 등 적극적인 대화 분위기를 조성했다. 이 분위기가 계속 이어져 4·27 남북정상회담이 성사됐다.

양 정상은 이 회담에서 ‘전쟁없는 한반도 평화시대를 열자’는 뜻을 같이 했고, 3개항(세부 13개 내용)의 역사적인 ‘판문점 선언’을 이끌어 냈다.

이후 남과 북은 남북공동연락사무소 설치, 철도·도로 연결, 2018아시안게임 공동 출전 등 합의 내용을 실행해 왔다.

양 정상은 같은 해 5월 26일 판문점에서 깜작 2차 정상회담을 가진 뒤 9월 18일 평양정상회담에까지 이르렀다. 양 정상의 만남은 또 사상 첫 북미정상회담까지 이끌어 냈다.

하지만 곧 해결될 것만 같았던 북한 비핵화, 종전선언 등은 급제동이 걸렸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이 지난 2월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제2차 북미정상회담에서 아무런 합의로 이루지 못한 채 헤어진 것이다.

남과 북, 북과 미는 최근 4개월 동안 특별한 만남이나 메시지도 없이 냉각기에 접어 들었다.

지금의 상황은 한반도의 영구적 평화와 남북교류를 꿈꿨던 우리 국민들, 특히 북에 가족을 두고 온 실향민들의 마음은 애타게 만들고 있다.

남과 북의 문제는 양국만의 일이 아닌 국제사회 전체가 동의를 해야만 진전을 이룰 수 있다.

북한이 핵을 포기해야만 미국 등 국제사회가 그에 상응하는 제재완화나 경제적 지원이 가능하다.

여기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사람이 문재인 대통령이다.

문 대통령은 최근 “장소와 형식에 구애되지 않고 남북정상회담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문 대통령이 다시 한번 적극적인 중재자로 나서길 자처한 것이다.

문 대통령의 중재가 북한과 미국의 관계 개선, 더 나아가 한반도 비핵화와 영구적인 평화의 초석이 되어야만 한다.

아울러 보수와 진보, 정치권은 현재의 갈등에서 벗어나 대한민국의 국민으로서 우리 정부의 한반도 평화를 위한 발걸음에 힘을 실어주고 응원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