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 감소 보다는 유류세 인하·부동산정책·기후변화 등 외부요인 영향

[사진=뉴스퀘스트]
[사진=뉴스퀘스트]

[뉴스퀘스트=박민석 기자]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은 알겠는데 디스인플레이션은 뭐지?

정부가 7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발표하면서 7개월 연속의 0%대 소비자물가 상승률에 대해 '디플레이션'이 아닌 '디스인플레이션' 상황이라고 설명하면서 나온 궁금증이다.

디스인플레이션이란 인플레이션 극복을 위해 통화증발을 억제하고 재정·금융 긴축을 주축으로 하는 경제조정정책이다. 

인플레이션에 의해 통화가 크게 늘면서 물가가 상승하는 시점에 통화량과 물가 수준을 유지하면서 안정을 도모해 서서히 인플레이션을 수습하는 것을 뜻한다. 디플레이션도 인플레이션의 수습 대책으로 채택되는 경우가 있지만, 디스인플레이션의 경우는 물가를 현재의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목표이다. 물가를 인위적으로 떨어뜨리면 생산 수준이 저하돼 실업이 늘기 때문이다. 

이를 최근의 우리나라 소비자물가 동향에 대비해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통계청이 1일 발표한 '7월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7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4.56(2015=100)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0.6% 상승했고, 전월 대비로는 0.3% 하락했다.

전년비 물가 상승률이 지난 1월 0.8%를 기록한 이래 7개월 연속 1%를 밑돌고 있는 것이다. 이는 2015년 2~11월(10개월) 이후 최장 기록이다. 올 들어 7월까지 누계로는 0.6% 상승했다. 이는 2015년 이후 4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자료=통계청]
[자료=통계청]

이런 상황에 대해 이두원 통계청 물가동향과장은 "저물가가 지속하는 '디스인플레이션'이라고 생각된다"며 "총체적 수요 감소에 따라 물가가 하락하는 것이라기보다는 기후변화와 석유류 (유류세) 인하 등 외부요인, 집세와 공공서비스도 정책적인 측면이 반영된 것"이라고 말했다.

물가의 인위적 조정이 최종 목적은 아니지만 경기 부양과 집값 안정 등을 위해 채택한 각종 정책이 물가 상승을 억제하고 있는 점에서 '디스인플레이션'의 효과가 나타나고 있는 셈이다. 

한편, 지난달 소비자물가를 품목별로 보면 농·축·수산물이 1년 전보다 0.3% 하락해 전체 물가를 0.02%포인트 끌어내렸다. 특히 지난해보다 기상여건이 나아지면서 채소류 가격이 6.4% 내렸고 축산물과 수산물 가격도 각각 2.7%, 0.2% 하락했다.

공업제품은 보합 수준이었는데 석유류 물가는 1년 새 5.9% 하락했다. 전체 물가를 0.27%포인트 낮추는 효과를 냈다.

서비스 물가는 1.0% 상승하면서 전체 물가를 0.56%포인트 올렸다. 집세가 0.2% 하락했고, 공공서비스가 0.1% 떨어졌다.

해외단체여행비는 0.9% 내렸으나 일본 보이콧 영향이라기보다는 성수기 일수 감소에 따른 영향이라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이 과장은 "일본 관련 물가하락 확인은 아직 못했다"며 "샘플 조사라 특정 국가 상품의 가격 하락을 확인할 수 없었다"고 덧붙였다.

계절 요인이나 일시적인 충격에 따른 물가변동분을 제외하고 장기적인 추세를 파악하기 위해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하고 작성한 근원물가는 1.0% 올랐다.

7월 소비자물가동향. [자료=통계청]
7월 소비자물가동향. [자료=통계청]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