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사이 점포 740개, 임직원 약 1500명 줄어들어
비대면·온라인 영업에 따른 오프라인 지점 폐쇄 현상 뚜렷
디지털 금융 취약 계층 위한 대책 마련 필요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원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22년 9월 말 기준 은행·보험사·카드사·종합금융회사 등 금융기업들의 점포는 1만 5630개로 전년 동월(1만 6370개)보다 740개 줄었다. 해당 기간 동안 은행 점포가 6488개에서 6099개로 389개가 줄어 감소 폭이 가장 컸다. 사진은 금융기업들이 몰려 있는 여의도 전경. [사진=연합뉴스]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원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22년 9월 말 기준 은행·보험사·카드사·종합금융회사 등 금융기업들의 점포는 1만 5630개로 전년 동월(1만 6370개)보다 740개 줄었다. 해당 기간 동안 은행 점포가 6488개에서 6099개로 389개가 줄어 감소 폭이 가장 컸다. 사진은 금융기업들이 몰려 있는 여의도 전경. [사진=연합뉴스]

【뉴스퀘스트=김민수 기자】 지난해 사상 최고의 실적을 올렸던 금융기업들이 점포, 직원 확충에는 인색한 면모를 보이고 있다.

디지털 금융 시스템이 활성화되면서 오프라인 지점이 많이 필요치 않다는 분위기지만, 고령층 등 금융 취약 계층을 위한 서비스는 계속 유지해야 한다는 반론도 있다.

28일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원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22년 9월 말 기준 은행·보험사·카드사·종합금융회사 등 금융기업들의 점포는 1만 5630개로 전년 동월(1만 6370개)보다 740개 줄었다.

업권별 현황을 보면 해당 기간 동안 은행 점포가 6488개에서 6099개로 389개가 줄어 감소 폭이 가장 컸다. 

보험사(365개), 증권사(38개), 상호저축은행(10개), 신협·농수산림조합(3개)도 점포가 감소했다.

금융기업 중 자산운용회사 점포만 486개로 전년 동월 대비 77개 늘어났다. 지난해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등으로 사업을 확장한 영향이 컸던 것으로 보인다.

금융기업들의 점포가 줄면서 운용인력 등이 불필요해짐에 따라 직원도 감소했다.

지난해 9월 말 기준 금융기업 종사자 수는 38만 6288명으로 전년 동월(38만 7786명)보다 1498명이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다만, 임직원 증감은 업권별 다른 양상을 보였다.

은행(2636명)·보험사(2305명)에서는 5000명 가까이 직원이 줄어들은 반면에 증권사(995명) 자산운용회사(1573명)는 직원이 증가했다.

상호저축은행(786명), 신용카드·캐피탈 등 여신전문금융회사(421명)도 1년 전보다 직원이 늘어났다.

즉, 은행·보험사의 대규모 인원 감축이 전체 금융기업의 임직원 감축 현상을 이끈 셈이다.

은행·보험사와 같은 고객들이 경제 활동과 밀접한 금융기업들의 점포 폐쇄, 직원 감소 현상은 수년 전부터 관찰되고 있다.

스마트폰을 이용한 디지털 금융 서비스 고객이 늘면서 오프라인 지점 운용의 필요성이 해를 거듭할수록 낮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추가로 지난 2020년부터 코로나19 방역 대책 강화로 비대면 접촉이 일상화되면서 금융산업에도 큰 변화가 일어났다.

A은행 관계자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계좌를 개설할 수 있는 시대가 되면서 점포를 방문하는 고객들이 점점 줄고 있다”며 “이러한 점을 고려해 주요 은행마다 혁신적인 디지털 금융 서비스 개발에 나서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나 지난해 억대 성과급과 연봉을 책정한 금융기업들이 오프라인 지점 운영의 비효율화를 이유로 점포 폐쇄에 나서면서 금융 취약 계층에 대해 배려가 부족하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IT기술·장비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고령층에게는 지점·영업점 운영이 금융 접근성과 편의성을 높이는데 훨씬 도움이 된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도 대비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금융기업들의 점포 폐쇄 현황을 지속해서 점검하고, 우체국 창구 제휴 등 대체 수단 활성화를 유도하기로 했다.

금융당국은 “앞으로 금융기업들의 사회적 역할을 강화해 고령층 등 취약 계층을 위한 금융 상품·서비스가 개선될 수 있도록 관심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금융기업들도 공동점포 개설, 특화지점 운영 등을 통해 금융 취약 계층을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오프라인 지점 감소에 따른 부작용을 해소하기 위해 KB국민은행·신한은행과 우리은행·하나은행이 각각 공동점포를 운영하고 있다.

B은행 관계자는 “은행마다 금융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각종 서비스 개발과 프로그램 운영에 집중하고 있는 추세”라며 “고령층 등 금융 취약 계층들이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다양한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