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정 경제전망’ 통해 기존 예상 수치 그대로 유지
국제유가 상승으로 물가 상승률은 3.4→3.5% 상향 조정
부진한 중국 경기, 세입 여건 악화 등 위험 요소도 존재

한국개발연구원은 10일 당초보다 소비 증가세가 둔화하는 반면 건설투자와 상품수출의 부진은 완화하면서 2023년 경제성장률이 기존 전망과 동일한 1.5%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사진은 부산항에서 컨테이너 하역작업이 이뤄지고 있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한국개발연구원은 10일 당초보다 소비 증가세가 둔화하는 반면 건설투자와 상품수출의 부진은 완화되면서 2023년 경제성장률이 기존 전망과 동일한 1.5%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사진은 부산항에서 컨테이너 하역작업이 이뤄지고 있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뉴스퀘스트=김민수 기자】 정부가 올해 한국 경제에 대해 ‘상저하고’(하반기 경기 개선)을 주장하고 있는 가운데 국책연구원이 여기에 힘을 실어주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10일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수정 경제전망’ 자료를 통해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로 기존의 1.5%를 유지했다.

지난 5월 내놓은 상반기 경제전망에서 제시한 것과 같은 수치다.

다른 주요 기관들의 전망치와 비교하면 ▲정부(1.4%) ▲한국은행(1.4%) ▲국제통화기금(IMF·1.4%)보다는 높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1.5%)과는 동일한 수준이다.

KDI는 “올해 상반기 경제가 기존 전망에 부합했다”며 “하반기에도 기존 전망과 비슷한 성장세가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실제로 올해 상반기 성장률은 KDI의 상반기 전망과 같은 0.9%(전년동기 대비)였다. 

이에 따라 KDI는 한국 경제가 하반기에 2.0% 성장하면서 ‘상저하고’(上低下高) 전망이 유효할 것으로 판단했다.

이같이 전망한 이유로 부동산 시장 위축 등으로 중국의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효과가 제한적이지만, 최근 물가 상승세 둔화 등으로 미국 경제 하방위험이 완화된 점을 들었다.

또 민간 소비는 당초 예상보다 증가세가 둔화하겠지만 상품 수출과 건설투자 부진이 완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 중 민간소비의 경우 국외여행의 회복 속도가 완만한 수준에 그친 점을 반영해 2.5% 증가할 것으로 봤다. 기존 전망보다 0.5%포인트 낮은 수치다.

상품 수출 증가율은 상반기 자동차 실적 호조 등을 반영해 기존 전망(0.7%)보다 높은 1.4%로 제시했다.

총수출의 연간 증가율은 1.4%로 기존과 동일했으며, 중국인 관광객 유입이 지연된 데 따라 서비스 수출 증가세는 기존 전망보다 낮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건설투자 증가율(1.3%)은 부동산 파이낸싱프로젝트(PF) 시장 불안 등의 영향이 제한적이었던 점을 반영해 기존 전망치(0.4%)를 웃돌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KDI는 내년 경제 성장률 전망 2.3%를 유지하면서 올해보다 조금 더 상황이 나아질 것으로 관측했다.

경제성장률 추이. [사진=연합뉴스]
경제성장률 추이. [사진=연합뉴스]

다만, KDI는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3.4%에서 3.5%로 상향 조정했다.

그 이유로 예상했던 것보다 전기요금 인상 폭이 작아졌지만, 원유 등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고 있는 점을 꼽았다. .

올해 식료품·에너지를 제외한 근원물가 상승률은 기존 전망치(3.5%)를 유지했다.

경상수지의 경우 상품수지와 본원소득수지의 상반기 실적치가 높게 나타난 점을 고려해 164억달러 흑자에서 313억달러 흑자로 전망치를 크게 조정했다.

취업자 수 증가 폭은 자동차 산업 호조세 등을 반영해 27만명에서 30만명으로 올렸고, 실업률은 2.9%에서 2.8%로 낮췄다.

이번 자료에서 KDI는 향후 위험 요인으로 중국의 경기 부진 심화, 전 세계 물가 상승세 확대에 따른 금리 인상 지속 등을 지목했다.

중국의 경우 부동산 시장이 급락하고 경기 부양책의 효과도 제한되면서 경기 침체가 나타나고 있는 점이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물가 오름세가 지속돼 전 세계적으로 통화 긴축이 강화되는 점도 한국 경제를 위협할 것으로 내다봤다. 

대내적으로는 ‘세입 여건 악화’가 위험 요인인 것으로 분석됐다.

'세수 펑크'로 재정지출이 계획대로 이뤄지지 않을 경우 국내 수요가 제약될 수 있다는 얘기다.

KDI는 올해 상반기 실적 등을 반영해 정부 소비 증가율을 3.2%에서 2% 내외로 낮췄다.

정규철 KDI 경제전망실장은 “경제 전망의 위험 요인들이 불거진다면 올해 경제성장률이 1% 초반대까지 내려갈 가능성도 있다”고 우려했다.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