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분기 말 기준 전국 가계부채 2019년 말보다 9.1%↑
전국 평균 가계부채, 8900만원…서울·세종·경기, 1억원 돌파
가계부채 상환에 대한 우려 커지면서 리스크 관리 필요성 제기

올해 1분기 말 기준 전국(제주 제외)의 가계부채는 2019년 말 대비 9.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경기, 세종 지역은 차주 1인당 가계부채 규모가 평균 1억원이 넘는 것으로 집계됐다. 서울 시내 한 시중은행 앞에 붙어 있는 대출상품 관련 현수막. [사진=연합뉴스]
올해 1분기 말 기준 전국(제주 제외)의 가계부채는 2019년 말 대비 9.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경기, 세종 지역은 차주 1인당 가계부채 규모가 평균 1억원이 넘는 것으로 집계됐다. 서울 시내 한 시중은행 앞에 붙어 있는 대출상품 관련 현수막. [사진=연합뉴스]

【뉴스퀘스트=김민수 기자】 서울, 경기, 세종 지역의 차주 1인당 가계부채 규모가 평균 1억원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나머지 지역을 포함해 전국적으로 소득의 2배 이상 부채를 진 것으로 분석돼 정부의 적극적인 리스크 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여전히 실물경기가 회복되지 않고 있고, 고금리 상황이 이어지면서 채무상환 부담 증대로 가계대출 부실 위험이 현실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29일 한국은행 양재운 제주본부 과장이 신용정보원·신용정보회사(NICE)를 통해 분기별로 수집한 가계부채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말 기준 전국(제주 제외)의 가계부채는 2019년 말 대비 9.1% 증가했다.

이번 분석은 예금취급기관 외에 증권사, 보험사, 카드사 등 비예금취급기관의 대출·신용판매(할부·리스 등)가 포함됐다.

먼저 지역별로 보면 인천의 가계부채가 22.7%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경기(16.4%), 대구(16.3%), 부산(13.1%), 광주(12.4%), 경북(11.1%) 등도 두 자릿수 가계부채 증가율을 기록했다.

지역별 가계부채를 차주 수로 나눈 차주 1인당 가계부채 규모를 추산한 결과 전국 평균(제주 제외)은 8900만원이었다.

특히 세종이 1억 1200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과 경기도가 각각 1억 600만원, 1억 300만원이었다. 가계부채 규모가 1억원이 넘는 지역은 세종, 서울, 경기도 세 곳이었다.

또 대구(9900만원), 제주·인천(각 9700만원), 부산(9600만원), 울산(9500만원) 등은 1억원에 근접했다.

전남(7400만원), 강원·전북(각 7500만원), 충북(7600만원), 경북(7800만원) 등의 1인당 가계부채가 상대적으로 적었다.

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LTI)을 살펴보면 1분기 말 기준 전국 평균이 227%로 차주들은 소득의 2배 이상의 가계부채를 안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세종이 268%로 가장 높았고, 제주(258%), 대구·경기(각 254%), 인천(253%), 부산(250%), 서울(247%), 울산(226%), 광주(224%), 충남(218%) 순이었다.

연령별로는 청년층이 가계부채 증가율이 높았고, 소득수준별로는 저소득층의 가계부채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었다.

지난 1분기 말 기준 연령별 1인당 가계부채 규모를 보면 청년층(20·30대)이 평균 7400만원이었고, 고령층(60대 이상)이 8300만원, 중장년층(40·50대)은 1억원이었다.

단순 규모는 청년층이 낮아보이지만, 2019년 말과 비교하면 청년층의 1인당 가계부채는 20.4% 급증했다. 중장년층(5.8%), 고령층(2.8%)의 증가율보다 훨씬 높은 셈이다.

소득수준별로는 1분기 말 현재 소득 상위 30%인 고소득층의 1인당 가계부채가 1억 2800만원이었다.

중소득층(소득 상위 30∼70%)은 6300만원, 저소득층(소득 상위 70∼100%)은 5600만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저소득층의 1인당 가계부채는 2019년 말 대비 15.7% 증가했다. 이와 비교했을 때 중소득층(8.1%), 고소득층(7.8%)의 가계부채 증가율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처럼 전반적으로 가계부채가 늘어난 이유는 우선 2020~2021년 저금리 기조 아래 부동산 등 자산가격 상승 기대로 차입을 통한 투자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다만, 2021년 하반기부터는 기준금리 인상으로 대출금리가 상승하고, 금융당국의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강화 등으로 가계부채 증가세가 주춤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사진=연합뉴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사진=연합뉴스]

최근 정부가 다시 부동산 규제를 완화하고, 기준금리 동결에 따른 대출금리 하락 기대 등으로 가계부채가 재차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경기둔화·대출금리 상승으로 인한 차주의 원리금 상환부담 증대, 중국 부동산 위기 확산 등으로 가계부채 부실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이달 금융통화위원회 회의 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가계부채 증가는 금융시장 안정을 저해하고 성장 잠재력을 약화시킬 수 있어 중앙은행의 관심 사항”이라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총량이 늘어나지 않도록 하겠다는 의견을 밝혔다.

그는 “미시적 정책을 통해 가계부채 흐름을 조정해보고, 더 많이 증가한다거나 시장 반응이 부족하면 거시적 정책도 생각해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러나 지금은 그런 상황까지는 아니라고 판단한다”며 “가계부채가 연착륙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