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매입 300억달러씩 줄여 내년 3월 마무리...기준금리 일단 동결
국내 영향 제한적...정부 "선제적 금리인상 등 충격 완충할 요인 있어"

15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권거래소 TV에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기자회견을 하는 모습이 나오고 있다. 통화정책 불확실성 제거에 이날 뉴욕증권거래소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83.25포인트(1.08%) 오른 35,927.43에 거래를 마쳤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뉴스퀘스트=김보민 기자】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최악의 인플레이션에 대응하기 위해 매의 발톱을 드러냈다.

자산매입 축소(테이퍼링) 속도를 높여 내년 3월 모든 절차를 끝내겠다고 밝힌 것. 여기에 내년 중으로 최소 세 차례 기준금리를 인상할 가능성도 시사했다.

15일(현지시간) 연준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마친 뒤 성명을 통해 "수요와 공급 불균형이 지속되며 인플레이션 수준이 높아지고 있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테이퍼링 속도를 현재의 2배 수준으로 높이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연준은 자산매입 축소 규모를 현 150억달러에서 300억달러로 늘릴 예정이다. 관련 조치는 내년 1월부터 적용, 모든 절차는 내년 3월쯤 마무리된다.

앞서 연준은 지난 11월 FOMC 정례회의에서 테이퍼링을 실시하기로 하고 11월과 12월에 한해 월간 순자산 매입을 국채 100억달러, 주택저당증권(MBS) 50억달러씩 줄여왔다.

블룸버그통신은 "연준이 올해 내놓은 정책 가운데 가장 매파적"이라고 평가했고, CNBC는 "초완화 정책을 끝내며 공격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처럼 속도를 올리게 된 배경에는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깔려 있다. 물가를 안정시키기 위해 완화가 아닌 '긴축' 조치가 불가피해진 것이다.

미 노동부에 따르면 미국의 11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지난해 동월보다 6.8% 급등했다. 1982년 6월 이후 최대폭 상승이다.

CPI의 선행지표인 생산자물가지수(PPI)도 지난해 동월보다 9.6% 오르며 2010년 관련 통계 조사가 시작된 이래 가장 큰 폭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에 연준은 이번 성명에서 현재 인플레이션 사태가 '일시적(transitory)'이라는 표현을 삭제했다. 앞서 제롬 파월 의장은 "인플레가 일시적이라는 표현에서 물러날 때"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미 연방준비제도 [사진=EPA/연합뉴스]

연준은 이날 기준금리는 현재 0.00~0.25%로 동결하면서도 내년에 최소 세 차례 금리인상이 있을 수 있다고 예고했다.

이와 관련해 연준은 "물가인상률이 2%를 넘어서고 노동 시장이 완전 고용에 도달했다고 판단되는 시점에 금리를 인상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별도로 공개된 점도표에 따르면 18명의 FOMC 위원 중 10명은 내년 0.88~1.12% 수준의 금리 인상을 예상했고, 5명은 0.63%~0.87%를 전망했다.

지난 9월만 해도 18명 가운데 절반인 9명이 내년 0.13~0.37% 수준의 금리 인상을 예상했다. 6월에는 2023년에 첫 금리 인상이 있을 것이라고 보는 이가 대다수였다.

FOMC 회의를 마친 파월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연준은 높은 물가상승률이 굳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모든 수단을 사용할 것"이라며 "미국 경제는 더 많은 양의 정책적 지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라고 진단했다.

경제 회복 과정에 여러 변수가 있다는 점을 인지하고 향후 상황을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불확실성이 많다. 우리가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등을 '리스크(위험요인)'라고 부른 것도 바로 이런 이유"이라고 말했다.

16일 오전 이억원 기획재정부 제1차관이 서울 중구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거시경제금융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한편 미국의 긴축 행보가 빨라지면서 국내 시장도 긴장하는 분위기다. 미국의 긴축이 우리 경제와 증시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억원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16일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이번 FOMC 결과가 국제금융시장의 예상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으며 연준발 불확실성이 해소됐다"라며 "국내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도 제한적일 전망"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연준의 테이퍼링이나 금리 인상에 관한 예측이 상당 부분 시장에 선반영됐다"라며 "우리나라를 포함한 주요 신흥국들이 선제적으로 금리 인상을 단행한 점도 충격을 완충할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앞서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지난달 24일 0.75%이었던 기준금리를 1.00%로 0.25%포인트 인상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