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 기준 2018년 510만명에서 2022년 615만명으로 늘어
무역적자 폭 개선 등 경기 저점 뜻하는 지표 하나둘씩 등장
윤창현 의원 “중저신용자를 위한 지원책 마련해야” 강조

일부 경제 지표가 반등의 기미를 보이고 있지만, 신용대출자와 신용대출 잔액은 최근 5년 동안 계속 늘고 있어 한국 경제를 위협하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사진은 서울 시내에 설치된 시중은행들의 ATM기와 카카오페이 대출 비교 서비스 '대출 갈아타기' 화면 모습. [사진=연합뉴스]
일부 경제 지표가 반등의 기미를 보이고 있지만, 신용대출자와 신용대출 잔액은 최근 5년 동안 계속 늘고 있어 한국 경제를 위협하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사진은 서울 시내에 설치된 시중은행들의 ATM기와 카카오페이 대출 비교 서비스 '대출 갈아타기' 화면 모습. [사진=연합뉴스]

【뉴스퀘스트=김민수 기자】 경기불황이 장기화되고 있는 가운데 일부 경제 지표는 조금씩 살아나고 있지만, 가계부채는 좀처럼 개선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최근 5년 동안 신용대출자가 100만명이 넘게 늘었고, 신용대출 잔액도 35조원 이상 증가해 관련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2일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실은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5대 시중은행과 인터넷은행의 가계 신용대출 현황 관련 자료를 공개했다.

해당 자료에 따르면 2022년 말 기준 가계 신용대출자는 약 615만 1000명으로 2018년(510만명)보다 105만 1000명 증가했다.

이 기간 동안 연령별 증가 인원을 보면 ▲40대(30만 5000명 증가) ▲20대(24만 9000명) ▲50대(19만 1000명) ▲60대(13만 7000명) ▲30대(16만 8000명) 순이었다.

즉, 사회초년생인 20대와 한 가정을 이끌고 있는 40대에서 증가세가 두드러진 셈이다.

은행별로는 KB국민은행이 129만 6000명으로 가장 많은 가계 신용대출자를 보유하고 있었다.

그 뒤를 이어 카카오뱅크(93만 7000명), NH농협은행(80만 3000명), 신한은행(79만 6000명), 하나은행(78만 5000명), 우리은행(67만 3000명), 케이뱅크(48만 3000명), 토스뱅크(27만 8000명) 순이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가계 신용대출 잔액도 꾸준히 늘고 있다. 2022년 말 기준 145조 6467억원으로 2018년(110조 6087억원)보다 35조 380억원 증가했다.

그 중 40대의 가계 신용대출 잔액은 2022년 52조 8064억원을 기록하면서 2018년(39조 1481억원)보다 13조 6583억원 늘어난 것으로 분석됐다. 모든 연령대 중 가장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연령별 신용대출자 증가 현황. [사진=연합뉴스]
연령별 신용대출자 증가 현황. [사진=연합뉴스]

현재 한국 경제는 소비·투자 위축, 수출 부진, 가계부채 증가 등으로 향후 전망이 매우 불투명한 상태다.

다만, 최근 들어 경기 저점을 시사하는 지표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의견들이 조금씩 새어나오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국책연구원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은 ‘6월 경제 동향’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제조업을 중심으로 부진한 상황이나, 경기 저점을 시사하는 지표들이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한 근거로 아직 수출 감소 현상이 이어지고 있지만, 반도체와 대(對)중국 수출 감소 폭이 축소되는 등 경기 부진이 심화하지는 않았고, 소비 심리와 물가가 양호하다는 점을 들었다.

올해 1월(경기 둔화가 가시화됐다), 2월(경기 둔화가 심화됐다), 3월(경기 부진이 지속됐다), 4월(하강세가 다소 진정됐다)에 제시한 의견들과 비교했을 때 상당히 긍정적인 평가라는 사실을 엿볼 수 있다.

실제로 이날 관세청이 발표한 자료를 보면 작년 3월부터 올해 5월까지 15개월 연속 무역수지 적자를 기록했지만, 적자 폭은 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월간 적자 규모는 21억 200만달러(한화 약 2조 7000억원)로 작년 5월(15억 7700만달러·약 2조 300억원) 이후 최소를 기록하는 등 무역적자 규모는 점점 줄어드는 양상이다.

이처럼 한국 경제가 조금씩 활기를 되찾으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 반면에 가계부채는 여전히 ‘시한폭탄’처럼 국내 금융권을 위협하고 있다.

윤창현 의원은 “시중은행들의 달라지는 영업 관행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보고 있지만, 고소득자·자산가와 같은 높은 신용등급 위주의 영업에서는 벗어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중저신용자를 위한 지원 강화 등 국민 경제를 살리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금융당국은 시중은행들에게 대출 연체에 따른 부작용을 막고, 금융시장 안정화를 위해 대손충당금 확대 적립을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는 상태다.

올해 4월 기준 5대 시중은행의 원화 대출 연체율은 평균 0.304%을 기록하면서 한 달 전보다 0.032%포인트 상승했기 때문이다.

이복현 금융감독원 원장은 “금융기업들이 높은 수준의 충당금과 자본비율을 유지하도록 이끌면서 위기 상황에 대비한 손실흡수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