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전 세계 3.0%, 한국 1.4% 성장할 것으로 전망
한국 경제 성장률, 4월 전망보다 0.1%포인트 낮아져
정부·한국은행 전망치(1.4%)와 동일한 수치 기록

국제통화기금은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을 4월 전망치보다 0.1%포인트 낮은 1.4%로 제시했다. 사진은 경제활동 관련 컴퓨터그래픽. [사진=연합뉴스]
국제통화기금은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을 4월 전망치보다 0.1%포인트 낮은 1.4%로 제시했다. 사진은 경제활동 관련 컴퓨터그래픽. [사진=연합뉴스]

【뉴스퀘스트=김민수 기자】 국제통화기금(IMF)이 한국 경제의 올해 성장률을 또 한 번 낮게 조정했다.

반면 IMF는 올해 세계경제 성장 전망치는 기존 2.8%에서 3.0%로 0.2%포인트 상향조정했다.

전 세계 각국의 경제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우리 경제는 아직까지 긍정적 시그널이 보이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26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최근 IMF는 ‘4월 세계경제전망’(World Economic Outlook)에 대한 7월 수정전망을 발표했다.

이번 전망치에 따르면 한국의 올해 경제 성장률 전망은 1.4%로 4월(1.5%)보다 0.1%포인트 낮아졌다.

IMF가 새롭게 제시한 1.4%는 ▲정부(1.4%) ▲한국은행(1.4%) ▲경제협력개발기구(1.5%) ▲7개 투자은행 평균(1.2%) 등 국내외 주요기관과 유사한 수준이다.

국가별로 보면 미국(1.6%→1.8%), 영국(-0.3%→0.4%), 일본(1.3%→1.4%)은 기대 이상의 1분기 소비·투자실적을 기록해 상향 조정됐다. 

이탈리아(0.7%→1.1%), 스페인(1.5%→2.5%)도 관광업 수요 회복을 반영해 경제 성장률 전망치가 상승했다.

반면에 독일(-0.1%→-0.3%)은 제조업 부진과 저조한 1분기 실적의 영향으로 하향 조정됐고, 사우디아라비아(3.1%→1.9%)도 경제 성장률 전망치가 낮아졌다.

즉, 주요 국가 중 한국을 비롯해 독일, 사우디아라비아 등 소수 국가만 경제 성장률 전망치가 낮아진 셈이다.

IMF는 연간 4차례(1·4·7·10월) 세계경제전망 발표하는데 4월·10월은 전체 회원국 대상으로 하는 주 전망이고, 1월·7월은 주요 30개국 대상으로 하는 수정 전망이다.

IMF는 세계 경제 전망에 대해 “미국 부채한도 협상 타결, 실리콘밸리 은행·크레딧스위스 사태 진정 등으로 금융시장 불안이 완화됐다”며 “특히 코로나 종식으로 관광 등 서비스 소비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세계경제 회복을 견인했다”고 분석했다.

다만 IMF는 세계 경제에 대해 단기적으로 회복하고 있으나 여전히 위험요인이 많은 상황인 것으로 판단했다.

물가상승률은 하락세를 보이고 있지만, 근원물가상승률이 여전히 높다며 긴축기조를 유지해야 한다는 게 IMF 측 설명이다. 

IMF는 “금융시장 위험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해야 한다”며 “중장기적으로 재정건전성 확보, 노동시장 유연화, 탄소중립 실현 등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7월 IMF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 표. [사진=연합뉴스]
7월 IMF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 표. [사진=연합뉴스]

현재 정부는 고물가 대응을 위해 건전 재정 운용에 나서면서 각종 대외적 불안정한 요인들이 국내 경제에 미치는 부작용을 최소화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상태다.

이달 중순 인도 간디나가르에서 열린 제3차 주요 20개국(이하 G20)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 회의에서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물가 안정을 위한 통화·재정정책의 공조 필요성을 강조했다.

추 부총리는 “고물가 대응을 위해서는 통화정책뿐 아니라 재정정책의 공조가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한국 정부의 재정지출 증가 최소화 노력과 함께 일시적 관세 완화 등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이 국내로 과도하게 전이되는 것을 방지하는 정책이 한국 소비자물가지수를 2.7%까지 하락시켰다”고 덧붙였다.

그는 “공급망 회복력 강화를 위한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 등 국제 협력을 환영한다”며 “한국도 높은 제조업 기술력을 통해 이에 동참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회의에서 기획재정부는 세계경제 진단, 취약국 부채 등 주요 의제에서 주요 7개국 (G7)과 공조를 강화하는 가운데 ▲한국이 사무국을 유치한 녹색기후기금에 대한 재원보충 촉구 ▲IMF 내 한국 지분(쿼타) 확대 등을 요구했다.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