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적분할 의결...지주사 '포스코홀딩스'와 철강사업 회사 '포스코'로 나뉘어
"자회사 IPO 없다"...차전지 소재·수소 등 미래 먹거리 강화

포스코가 지주회사 전환을 공식화했다. 사진은 지난 10월 '수소환원제철 국제포럼'에서 개회사를 하는 최정우 포스코 회장의 모습. [사진=포스코]

【뉴스퀘스트=김보민 기자】 포스코가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한다.

지주사 '포스코홀딩스'(가칭) 밑에 철강사업 신설 자회사 '포스코'(가칭)를 물적분할하는 형태다. 포스코는 지주사 전환으로 미래 먹거리를 발굴하고, 신사업 투자 등에 속도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10일 포스코는 이 같은 내용의 지주회사 체제 전환을 이사회에서 의결했다고 밝혔다. 2000년 10월 민영화가 된 이후 21년 만의 변화다.

지주사 포스코홀딩스는 상장사 지위를 유지하며 투자와 연구·개발(R&D), 미래사업 발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등을 총괄하는 역할을 맡는다.

포스코는 비상장사로 물적분할(지주사가 100% 소유)된다. 정관에 제3자배정·일반 공모 등 상장에 필요한 규정도 반영하지 않을 예정이다.

이는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자회사를 비상장 상태로 두면, 해당 회사의 실적이 지주에 반영돼 주주가치가 훼손되지 않기 때문이다. 각 사업의 성장 가치도 온전히 포스코홀딩스의 주주가치로 연결될 수 있다.

포스코는 "철강사업 비상장 유지로 지주회사와 자회사 주주 간 이해관계 상충 문제 발생을 원천 차단한다"라며 "사업 자회사 상장을 통한 자금 조달을 지양하고, 필요시 유상증자를 포함한 지주회사 주도의 자금조달을 실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철강 사업뿐만 아니라 향후 지주사 산하에 새로 세워지는 법인들도 상장을 지양할 방침이다.

10일 포스코 이사회가 물적분할을 의결함에 따라 지주사인 포스코홀딩스는 상장사로 유지, 철강사업 회사인 포스코는 물적분할된 후 비상장 상태로 포스코홀딩스가 100% 소유하는 구조가 된다. 개편된 지배구조는 포스코홀딩스를 최상단에 두고, 그 아래 포스코를 비롯해 포스코에너지, 포스코인터내셔널, 포스코건설 등 다른 자회사가 놓이는 방식이다. [자료=포스코 '지주회사 체제 전환 계획' 갈무리]

포스코는 지주사 전환을 결정한 배경에 대해 "급변하는 경영 환경 속 그룹의 성장을 가속화하고 철강에 집중된 사업구조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동안 포스코그룹은 철강사업 외 다른 유망한 신사업들을 추진해왔지만, 철강기업이라는 인식에 가려져 시장에서 제대로 된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는 분위기였다.

때문에 포스코는 이번 지배구조 개편을 계기로 철강뿐만 아니라 미래 먹거리 강화에도 속도를 낼 것이라고 밝혔다.

핵심 기반 사업으로는 철강과 이차전지 소재, 리튬·니켈, 수소, 에너지, 건축·인프라, 식량 등을 선정했다.

특히 수소사업의 경우 핵심기술 내재화를 위해 외부기관과 공동 R&D를 추진하고 인수·합병(M&A)을 검토할 계획이다. 포스코는 국내 수소사회 구현에 주력해온 대표적인 기업이다.

포스코는 이 같은 핵심 경쟁력을 강화해 2030년까지 기업가치를 현재(약 43조원)의 3배 이상으로 확대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필두 사업은 철강과 수소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포스코는 내년 1월 28일 임시 주주총회를 열어 지주사 전환 승인 안건을 최종 의결한다. 분할 기일은 내년 3월 1일로 예정됐다.

포스코는 공시를 통해 "이번 지배구조 변경을 통해 궁극적으로 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하고 기업가치와 주주의 가치를 제고하겠다"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