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발전소, 재생에너지에 대한 정확한 발전량 예측
관련 글로벌 시장 2030년 22조4000억원 전망
LG유플러스, 한전과 MOU 통해 입찰 시장 참여

LG유플러스는 한국전력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재생에너지 전력 중개 사업을 준비한다고 14일 밝혔다. 사진은 협약식 체결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는 LG유플러스 권근섭 스마트팩토리사업담당(오른쪽)과 한국전력 송호승 디지털솔루션처장의 모습. [LG유플러스 제공=뉴스퀘스트]
LG유플러스는 한국전력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재생에너지 전력 중개 사업을 준비한다고 14일 밝혔다. 사진은 협약식 체결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는 LG유플러스 권근섭 스마트팩토리사업담당(오른쪽)과 한국전력 송호승 디지털솔루션처장의 모습. [LG유플러스 제공=뉴스퀘스트]

【뉴스퀘스트=김민우 기자 】 LG유플러스가 재생에너지 시장에서 미래 먹거리를 찾는다.

LG유플러스는 지난 9일 한국전력과 재생에너지 전력 중개 사업 관련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LG유플러스는 최근 정부의 전력시장구조 개편, 탄소중립 관련 정책 발표에 발맞춰 통합발전소(VPP) 사업 진출을 통해 전력 신산업 활성화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이번 LG유플러스의 통합발전소 사업 진출은 정부의 전력시장구조 개편과 연관돼 있다.

정부는 지난 8월 '전력시장 운영규칙 개정안'을 통해 재생에너지도 다른 전력과 동일한 방식으로 거래될 수 있도록 재생에너지 입찰제도를 변경했다.

이에 재생에너지에 대한 발전량 예측과 생산 계획 수립이 중요해지면서 이를 관리할 수 있는 통합발전소가 주목받기 시작했다. 

통합발전소는 분산된 발전 설비를 가상 공간에 모아 하나의 발전소처럼 관리하는 통합 플랫폼이다. 

통합발전소 사업자는 정보통신(IT) 기술을 통해 재생에너지의 발전량을 정확히 예측하고, 다른 에너지와 마찬가지로 전력 거래 시장에 안정적으로 진입할 수 있게 돕는 역할을 한다. 또한 플랫폼을 통해 발전사업자를 대신해 입찰에 참여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테슬라를 비롯한 유수의 글로벌 기업들은 이미 통합발전소 서비스에 눈독을 들이고 있다. 시장 조사 전문 기관 '스카이퀘스트'는 글로벌 통합발전소 규모가 2030년에 169억달러(22조4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측했다.

국내에서는 이동통신사 및 다수 에너지 기업들이 준비 중이다. 특히 이동통신사의 경우 전국 단위 유무선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어 분산된 발전 설비를 연결해야 하는 통합발전소 사업에 유리하다.

LG유플러스는 통합발전소 사업을 성장 가능성이 높은 미래 시장으로 판단하고, 본격적으로 전력 자원을 모집한다는 계획이다.

또 한국전력과의 협약을 통해 신재생에너지 확산에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양사는 ▲통합발전소 시장에서 파트너십 구축 ▲재생에너지 발전량 예측 기술 고도화 ▲발전 사업자들의 전력시장 참여 확대를 이끌어가기로 했다. 

특히 한국전력이 인공지능(AI) 기반의 태양광 발전량 예측정보를 LG유플러스에 제공하고, LG유플러스는 한국전력이 제공하는 발전량 예측정보를 활용해 입찰 시장에 참여하는 것이 골자다.

송호승 한국전력 디지털솔루션처장은 “이번 협약을 계기로 재생에너지 발전량 예측기술을 더욱 발전시켜 재생에너지 변동성 완화에 기여하고, 성공적인 협력 사업모델로 확산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권근섭  LG유플러스 스마트팩토리사업담당은 “LG유플러스의 사업역량 및 통신 인프라를 기반으로 국내 최고 수준의 정확도를 제공하는 한국전력의 태양광 발전량 예측기술을 적극 활용할 예정” 이라며 “향후 통합발전소 사업을 통한 전력 신산업 활성화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