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제공 시간 3.5배 단축
저장소 규모·보존기관 3배 이상 확장…장기적 데이터 기반 확보

신한은행은 분석 환경 최적화와 운영비용 절감을 위해 20년 동안 운영한 두 개의 데이터 저장소를 통합해 ‘차세대 통합 데이터 저장소’ (One Data Warehouse, 이하 ‘One DW’)를 구축했다고 20일 밝혔다. [신한은행 제공=뉴스퀘스트]
신한은행은 분석 환경 최적화와 운영비용 절감을 위해 20년 동안 운영한 두 개의 데이터 저장소를 통합해 ‘차세대 통합 데이터 저장소’ (One Data Warehouse, 이하 ‘One DW’)를 구축했다고 20일 밝혔다. [신한은행 제공=뉴스퀘스트]

【뉴스퀘스트=김민수 기자】 신한은행이 분석 환경 최적화와 운영비용 절감을 위한 시스템을 마련했다.

20일 신한은행은 20년 동안 운영한 두 개의 데이터 저장소를 통합해 ‘차세대 통합 데이터 저장소’(One Data Warehouse·이하 ‘One DW’)를 구축했다고 밝혔다.

신한은행에 따르면 데이터 저장소는 이원화로 운영을 하면 통합 운영에 비해 많은 부분에서 비효율적이다.

다만, 시스템을 전환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 때문에 금융권 내에서는 선뜻 시도하지 못하고 있던 영역이었다.

신한은행은 고객에겐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내부적으로는 최적의 데이터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One DW’ 도입을 금융권 최초로 결정했고 약 1년 6개월만에 완성했다.

‘One DW’는 내외부의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정제·통합·저장하는 데이터 인프라의 핵심이라는 게 신한은행 측 설명이다.

이번 ‘One DW’ 구축으로 데이터 처리 프로세스를 개선해 데이터 제공 시간을 약 3.5배 단축 시키고, 데이터 저장소 규모·데이터 보관주기를 3배 이상으로 확장해 장기적인 데이터 기반을 갖추게 됐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One DW’ 구축을 통해 데이터 기반 업무 효율성이 증대되었을 뿐만 아니라 빠른 의사결정 지원 체계를 통해 고객에게 더 빠르고 정확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졌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앞으로 신한은행의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가속화를 통해 업무 프로세스를 혁신하고 더 나은 고객 경험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신한은행은 지난 5월 3년 동안 진행했던 차세대 시스템 전환 프로젝트인 ‘더 넥스트(THE NEXT)’의 모든 여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한 바 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