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유관부처 및 주요 학회·기업 관계자 참석…관련기업 주가 큰 폭 상승

동해 가스전 해상 플랫폼 전경. [사진=연합뉴스]
동해 가스전 해상 플랫폼 전경. [사진=연합뉴스]

【뉴스퀘스트=권일구 기자 】 정부가 21일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을 위해 연 첫 전략회의에 포스코인터내셔널, SK E&S, GS에너지 3사가 참여한 것으로 전해지면서 투자자들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날 상장사인 포스코인터내셔널을 비롯해 GS 등 관련 상장사에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집중되면서 주가도 큰 폭으로 올랐다.

정부는 이날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방향을 정하기 위한 첫 전략회의를 개최했다.

정부는 '대왕고래'를 비롯한 유망구조(석유·가스가 묻혀 있을 가능성이 큰 지질 구조) 시추 과정부터 '국익 극대화'를 원칙으로 국내외 투자를 적극 유치한다는 방침이다.

올해 12월부터 최소 5개의 시추공을 뚫어 석유·가스 매장을 확인하는 탐사 비용만 5000억원 이상으로 추산되는 만큼 재정 부담을 최소화하면서도 사업 성공 가능성은 높이기 위해서다.

아울러 해외뿐만 아니라 국내 민간 기업의 투자 유치 방침을 밝힌 가운데 포스코인터내셔널, SK E&S, GS에너지 3사가 이날 전략회의에 참석, 사업에 관심을 보였다.

이날 회의는 서울 종로구 석탄회관에서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주재로 열렸는데 관계 부처, 국책 연구기관, 유관 학회, 자원 공기업, 민간 기업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첫 전략회의에서는 해외 투자 유치, 광구 재설정, 자원 개발 관련 제도 개선 등에 대한 논의가 중점적으로 이뤄졌다.

안 장관은 "석유공사는 심해 개발·운영 경험이 부족하고 시추 1공당 1천억원 이상 소요돼 개발·운영에 필요한 기술력·재원 확보 및 위험 분산 차원에서 국내외 기업의 투자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정부는 국익 극대화라는 원칙하에 국내외 투자 유치를 위해 노력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업계와 석유공사에 따르면 글로벌 메이저 석유기업인 엑손모빌을 비롯한 5개 해외 업체가 동해 심해 가스전 사업 투자에 관심을 보이고 석유공사와 접촉했다.

이 가운데 엑손모빌은 비밀 준수계약을 체결하고 석유공사의 일부 탐사 데이터를 열람한 것으로 전해졌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