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7∼8월 실거래가, 역대 최고가의 평균 90%
서초·용산 99%, 마포·종로 95%..."똘똘한 한 채 환승 수요"
다음달부터 2단계 스트레스 DSR 시행 땐 '주춤' 가능성

서울 아파트 거래량 증가에 따라 실거래가도 상승하고 있다.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연합뉴스]
서울 아파트 거래량 증가에 따라 실거래가도 상승하고 있다.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연합뉴스]

【뉴스퀘스트=권일구 기자 】 서울 아파트값이 올들어 상승세를 타면서 7∼8월 계약된 서울 아파트 실거래 가격이 역대 최고가의 평균 90%에 다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내달부터 2단계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시행을 포함한 대출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아파트값 상승세가 주춤해질 것이라는 관측과 함께 향후 아파트값 추이를 지켜봐야 한다는 신중론도 상존하고 있다.

26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7∼8월 계약된 서울 아파트의 실거래가는 (집값이 오르던) 2021년 이후 동일 단지, 동일 주택형의 직전 최고가와 비교해 평균 90%까지 매매가를 회복했다. 2021년과 2022년은 아파트값이 역대 최고가를 찍은 단지가 대부분이다.

서초구와 용산구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올해 3분기 거래가격을 살펴보면 직전 최고가의 평균 99%까지 올라섰다. 아파트 거래 상당수가 사실상 역대 최고가를 넘어섰거나 육박했다.

강남구도 최고가 대비 97%를 회복했다. 이어 마포구·종로구가 각각 95%, 성동구·중구가 93%를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권과 마포·용산·성동구(마용성) 아파트의 가격 상승 속도가 상대적으로 가팔랐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다.

목동 재건축 호재가 있는 양천구와 송파·광진·영등포구도 최고가 대비 92%까지 실거래가를 회복했다. 동작구(91%)와 강동구(90%)도 90% 수준을 회복했다.

시장 금리가 하락하고 1주택 종합부동산세 폐지 등이 추진되면서 똘똘한 한 채로 갈아타려는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부동산R114는 진단했다. 특히 7월 거래량이 급증하면서 상승을 주도한 것으로 봤다.

업계에서는 이같은 기류가 다음달부터 정부가 전방위적인 대출 축소에 나설 경우 시장에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했다. 금융당국이 가계부채 축소와 집값 상승을 막기 위해 다음달부터 2단계 스트레스 DSR을 시행하는 등 대출 억제에 나서기 때문이다.

2단계 스트레스 DSR이 시행되면 가산금리가 높아져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종전보다 오르고, 대출 한도도 축소된다.

서울 시내 한 공인중개사사무소에 게시된 매물 정보. [사진=연합뉴스]
서울 시내 한 공인중개사사무소에 게시된 매물 정보. [사진=연합뉴스]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미 일부 시중은행은 금융당국 눈치에 자체적으로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높이고, 갭투자에 이용될 만한 일부 전세자금대출 판매를 중단하기로 하는 등 돈줄 죄기에 동참하고 있다.

정부는 연내 전세자금대출에도 DSR을 도입한다는 방침이어서 매매뿐만 아니라 전세 거래 시장도 위축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온다.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