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광 폐패널 수집, 운송 및 분해, 유가금속 회수 등 협력

【뉴스퀘스트=권일구 기자 】 고려아연과 한화솔루션 큐셀 부문이 폐자원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해 힘을 모은다.
고려아연과 한화큐셀은 6일 ‘태양광 패널 리사이클링 협업을 통한 자원순환체계 구축 프로젝트’에 대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은 상호 간 협력을 통해 수명을 다한 폐패널 수집 네트워크와 자원 재활용 최대화를 위한 자원순환시스템 구축을 추진하는 것이 목표다.
구체적으로 ▲태양광 패널의 수집과 운송 ▲패널 분해 자동화 장비 개발 ▲알루미늄과 유리, 구리, 은 등 유가물 회수 ▲회수·재활용 소재의 내재가치 극대화 등을 함께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양사는 이미 태양광 패널 리사이클링 관련 협업을 진행해 오고 있다. 한화큐셀의 태양광 패널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일부 공정폐기물을 고려아연에서 처리해 유가물을 회수하는 리사이클링 협업이 이미 진행 중이다.
이번 MOU를 통해 양사는 자원순환 분야의 업무 협력을 더욱 확대해 나갈 예정이며, 이를 통해 양사 모두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를 더욱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고려아연 관계자는 "태양광 폐패널과 폐배터리 등 전자폐기물에서 유가금속을 회수하는 이른바 '도시광산' 사업은 고려아연의 미래 먹거리인 '트로이카 드라이브' 중 하나인 친환경 자원순환사업”이라며 “이번 MOU를 통해 향후 크게 증가할 태양광 폐모듈을 환경오염 우려 없이 안정적으로 재활용하고 아울러 탄탄한 자원순환 밸류체인 구축을 통해 해당 사업을 통한 수익 창출은 물론 친환경 기업으로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화큐셀 관계자는 “태양광 모듈의 75~85% 가량이 유리와 알루미늄으로 재활용이 용이하며, 구성품의 최대 98%까지도 재활용이 가능하다”며 “한화큐셀은 제품의 생산부터 재활용까지 모든 과정에서 선순환체계를 만드는 데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혔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 고려아연, 산‧학‧연과 머리 맞대고 ‘고순도 니켈원료’ 만든다
- 고려아연, ‘2024 올해의 금속공예가상’ 수상자 공모...금속공예 발전 공헌
- 고려아연, 가스안전공사 등 6개사와‘지하매설배관 안전관리’ 업무협약 체결
- 고려아연, 발리서 ‘이음의 숲’ 3번째 프로젝트...맹그로브 1만5000본 식재
- 고려아연, 로봇 활용 전자폐기물 선별공정 자동화 나서...‘로보원’에 150억원 투자
- 고려아연-해비타트, 주거취약이웃 위해 임직원 봉사활동 진행
- 고려아연, 협력사도 함께하는 ‘제2회 KZ 안전보건퀴즈대회’ 개최...“안전 문화 확산”
- 한화솔루션, 글로벌 전력 케이블 시장 공략 가속화...초고압케이블용 반도전 8000톤 증설
- 한화솔루션, 한화글로벌에셋 흡수합병..."시너지 극대화로 경쟁력 강화"
- 한화큐셀 자회사 '엔핀', 4500억원 규모 자산유동화증권 발행...효율적 자금 조달 성공
- 한화큐셀, 차세대 태양전지 상용화 '성큼'...자체 개발 '탠덤 셀' 최고 효율 달성
- 한화솔루션, 친환경 포장재 공급 확대...LG디스플레이와 '맞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