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술에 스팸 신고 데이터 활용...내달부터 활용
![KISA가 24일 KT 송파 사옥에서 KT와 스팸 차단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사진은 (왼쪽부터) KT Enterprise통신사업본부 명제훈 본부장, KISA 개인정보안전활용본부 김주영 본부장. [한국인터넷진흥원 제공=뉴스퀘스트]](https://cdn.newsquest.co.kr/news/photo/202409/231735_128637_21.jpg)
【뉴스퀘스트=김민우 기자】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KT와 함께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차단 강화에 나선다.
KISA는 KT 송파 사옥에서 KT와 스팸 차단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KISA는 스팸으로 인한 국민 피해 예방을 위해 스팸 신고 데이터를 분석해 다수·중복 신고된 전화번호(블랙리스트)를 전체 문자중계사에 공유하며 해당 번호로부터 발송되는 대량 문자를 차단해 왔다.
이에 더해 문자의 텍스트를 수시로 변경하는 스팸 블랙리스트 분석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악성 웹사이트 주소 여부 및 문맥 분석 등을 통해 스팸 차단에 앞장서기 위해 KT와 협력한다.
KISA는 이번 협약을 통해 KT에 스팸 신고 데이터를 제공하고, KT 기술로 추출한 스팸 번호를 블랙리스트에 포함해 전체 문자중계사에 제공한다.
KT는 KISA 스팸 신고 데이터를 바탕으로 'AI클린메시징' 기술로 분석·추출한 스팸 전화번호를 KISA에 제공하며 이는 내달부터 적용될 예정이다.
KT의 ‘AI클린메시징’ 기술은 스팸과 관련한 다양한 데이터를 학습한 인공지능 모델의 집합이다.
'AI클린메시징'은 다량의 데이터를 분석해 악성 웹페이지나 스미싱 설치 파일을 연결하는 웹사이트 주소를 찾는 ‘URL 모델’과 불법 스팸 등 특정 의도를 담은 문자와 정상적인 문자를 구분하는 ‘경량형 거대 언어모델(sLLM)’로 구성돼 있다.
명제훈 KT Enterprise통신사업 본부장은 “KT는 국내 스팸 유통을 줄이기 위해 AI 등과 같은 최신 기술을 적극 활용해 불법 스팸으로부터 이용자의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김주영 KISA 개인정보안전활용본부장은 “이번 협력으로 스팸 차단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되며, KISA는 앞으로도 관계 기관과의 협업을 지속 확대하는 등 스팸 대응 플랫폼으로서 역할을 더욱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 KISA, 국내 IoT 보안인증제 신뢰도 강화 '앞장'...독일 연방정보기술보안청과 '맞손'
- KISA, 2년 연속 국가인적자원개발컨소시엄 '최우수등급' 달성
- 삼성전자, KISA와 손잡고 갤럭시 스마트폰에 불법대출‧도박 등 ‘악성 메시지 차단’ 나서
- KISA, 인공지능 보안 세미나 개최..."AI 기술의 순기능과 역기능 집중 조명"
- KISA, '규범준수 경영시스템' 사후심사 통과...ESG 경영 실천 강화 '앞장'
- KISA, '모의 ICT 분쟁조정 경연대회'..."정보통신 분쟁 심층 논의"
- KT, 2년 연속 '리딩 라이트 어워즈' 올해의 통신상 수상...AICT 컴퍼니 전환 활동 높은 평가
- KT, AICT 혁신 최적화 공간 '기술평가 Lab' 오픈...제품 및 서비스 품질 제고 '앞장'
- KT, MS와 대한민국 AI 혁신 위한 ‘자이언트 스텝’ 5개년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 KISA, '2024 한글주간' 행사 주관...한글도메인 인식 확산 계기 마련
- KISA, 디지털 민생 범죄 대응 '앞장'...제도 개선 위한 국회 토론회 개최
- KISA, 사이버 위기대응 모의훈련 기업 공개 모집...헤킹 메일 훈련, 모임 침투 등 실시
- KISA, 나주혁신도시 공공기관 9곳과 안전보건협의체 구성
- KISA, 행정안전부 주관 '재해경감 우수기업 인증' 획득...신뢰받는 공공기관 진입 '성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