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 4975억원으로 1위…9월 역대 최대 규모인 5061억원 추가 부여

【뉴스퀘스트=권일구 기자 】 국내 시가총액 상위 500대 기업이 최근 2년 반 동안 임직원에게 부여한 주식기준보상 규모가 4조원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현대자동차의 주식기준보상이 4975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매년 하반기 임금협상에 따른 주식을 지급하는 현대차는 올 하반기 역대 최대 금액인 5601억원 규모의 주식을 지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6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올해 9월 말 기준 시가총액 상위 500대 기업 중 주식기준보상 내역이 있는 167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2022년 1월부터 올해 6월까지 주식기준보상 부여는 4조4360억원으로 집계됐다.
주식기준보상은 임직원에게 성과 보상 등을 목적으로 주식을 지급하는 것으로, ▲주식매수선택권 ▲스톡그랜트 ▲RSA‧RSU ▲PSU 등이 있다.
주식매수선택권은 행사기간에 정해진 행사가격으로 주식을 매수할 수 있도록 부여한 권리를 말하며, 스톡그랜트는 성과급을 현금 대신 주식으로 지급, 부여와 동시에 대상자에게 지급한다.
RSA‧RSU, PSU는 성과급 또는 연봉의 일정 비율에 해당하는 금액을 가득조건을 충족 시 주식(또는 그에 상응하는 현금)으로 지급한다.
최근 2년 반 동안 500대 기업의 주식기준보상 현황을 살펴보면, 대기업집단 상장사(59곳)가 임직원에게 부여한 주식기준보상 누적 규모는 3조5662억원으로 집계됐다.
2022년 1조5628억원, 2023년 1조2780억원, 2024년 상반기 7255억원 등이다.
스톡그랜트, RSU, PSU 등 주식매수선택권 외 주식기준보상 규모가 1조6295억원(45.7%)으로 가장 많았다.
반면 대기업집단 외 상장사(108곳)가 2년 반 동안 임직원에게 부여한 주식기준보상 규모는 8697억원으로 나타났다.
2022년 3531억원, 2023년 3259억원, 2024년 상반기 1907억원이다. 주식기준보상은 주식매수선택권이 6109억원(70.2%)으로 가장 많았다.
주식기준보상 규모가 가장 큰 곳은 현대차였다. 현대차는 2년 반 동안 임직원에게 부여한 주식보상 규모가 4975억원으로 조사됐다. 2022년 2101억원, 2023년 2861억원, 2024년 상반기 12억원이다.
현대차는 매년 하반기 임금협상에 따른 주식을 지급하는데, 2023년 상반기에는 특별성과금으로 주식을 지급했다.
특히 올해 9월 2024년 임금협상에 따른 역대 최대인 5061억원 규모의 주식을 지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차는 올 3월 이사회를 통해 우수 임원을 대상으로 RSU 제도를 도입했다.
현대차에 이어 주식기준보상 상위 2위에 이름을 올린 곳은 네이버로 조사됐다. 네이버는 2년 반 동안 임직원에게 3321억원(올 상반기 RSU 부여분은 확인 불가로 제외) 규모의 주식 보상을 부여했다.
2022년 703억원, 2023년 772억원, 2024년 상반기 388억원 등 총 1862억원의 스톡그랜트를 임직원에게 부여한 것으로 집계됐다. RSU는 2022년 712억원, 2023년 747억원, 총 1459억원으로 나타났다.
이어 ▲셀트리온(3222억원) ▲기아(2698억원) ▲SK하이닉스(2442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셀트리온은 올 상반기에만 임직원에게 1667억원의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했다.
기아는 매년 하반기 임금협상에 따른 주식을 지급한다. 이에 따라 이달 약 1695억원 규모의 주식을 지급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2년 반 동안 주식기준보상 규모 상위 20곳 중 19곳이 대기업집단 계열사로 나타났다. SK그룹 계열사 4곳, 현대차그룹 계열사 3곳, 한화그룹 계열사 3곳 등이다.
현대엘리베이터는 주식기분보상 규모 499억원으로 유일하게 대기업집단 외 기업에 이름을 올렸다. 이 회사는 2023년 11월 10일에 ‘우리사주 활성화를 통해 근로자의 경제·사회적 지위향상과 노사협력 증진 도모’를 위해 우리사주조합에 처분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