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유출 우려에 국정원도 보안 경계령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PC에 '딥시크' 사이트가 차단된 화면. 정부 부처들이 중국 인공지능(AI) 딥시크(Deepseek) 접속 차단에 대거 나섰다. 외교부, 국방부, 산업통상자원부가 접속을 차단한 데 이어 통일부, 농림축산식품부, 보건복지부, 환경부 등이 이날 접속을 차단했거나 차단할 예정이다 [사진=연합뉴스]](https://cdn.newsquest.co.kr/news/photo/202502/239300_137612_1949.png)
【뉴스퀘스트=김민우 기자】 ‘태산명동서일필(泰山鳴動鼠一匹)’ 최근 중국의 인공지능(AI) 스타트업이 내놓은 ‘딥시크(Deepseek)’를 바라보는 AI업계의 시각이다. 딥시크가 ‘종이 호랑이’ 신세로 전락할 수도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설 연휴 직전 챗GPT 개발비용의 18분의1에 불과한 80억원의 개발비로 챗GPT 성능에 버금가는 AI를 공개, 실리콘 밸리와 미국 전체를 긴장시켰던 딥시크는 개인정보 유출 우려와 사실을 왜곡하는 부정확한 답변으로 성능에 대한 의구심 마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 딥시크는 개인 정보 유출 우려로 인해 해외에서의 잇단 접속차단 조치에 이어 국내에서도 정부와 금융기관을 비롯 국내 대기업들도 잇달아 ‘딥시크’ 경계령을 내놓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딥시크 앱 이용자수는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데이터 플랫폼 기업 IGAWORKS(아이지에이웍스)의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딥시크 앱의 일간 사용자 수는 지난 1월 25일 발표 이후 사흘만인 28일 19만1556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급감했다. 같은 달 29일 13만2781명, 30일 9만6751명으로 절반 수준으로 줄었다. 행정안전부의 자제권고로 차단 움직임이 본격화하기 시작한 지난 4일의 경우 일간 사용자수는 7만4688명에 불과했다. 일주일 만에 일간 사용자 수가 61% 감소한 것이다.
무엇보다 신규 설치 건수에서 이 같은 추이는 눈에 띄게 나타났다. 딥시크 신규 설치는 설 연휴 기간이었던 지난달 28일 17만 1257건으로 최다를 기록한 뒤 29일에는 6만 7664건으로 3분의 1 수준까지 하락했다. 4일의 경우 28일과 비교해 8분의 1 수준까지 떨어진 셈이다.
딥시크 공개 직후 중국의 스타트업이 저비용으로 챗GPT를 능가했다는 호기심이 더해져 폭발적으로 증가했던 수요가 보안 우려가 확산하며 확연히 꺾인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정부 차원에서 공개적으로 딥시크 경계령을 내린 만큼 이 같은 추세는 한층 뚜렷해질 전망이다. 반면 오픈AI의 챗GPT 일간 사용자 수는 지난달 28일 60만5574명에서 이달 4일 73만9957명으로 상승했다.
이처럼 딥시크의 일간 사용자 수가 급감한 이유는 딥시크가 과도하게 개인 정보를 수집해 중국 서버로 전송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이용자들이 개인 정보 유출을 우려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딥시크 앱 일 이용자 수 추이 [그래픽=아이지에이웍스 홈페이지 캡쳐]](https://cdn.newsquest.co.kr/news/photo/202502/239300_137610_1613.png)
딥시크가 9일 홈페이지를 통해 밝힌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따르면 딥시크는 AI 모델 학습을 위해 이름·생년월일 같은 가입에 필요한 기본적인 신상정보는 물론 인터넷 IP 주소, 고유 장치 식별자, 키보드 입력 패턴까지 수집한다.
즉 딥시크를 이용할 때 발생하는 모든 정보가 실시간으로 중국 서버로 전송된다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이렇게 수집한 개인 정보를 중국 정부가 원하면 언제든 볼 수 있다는 점도 지적되고 있다.
이에 따라 행정안전부와 국가정보원은 중앙행정기관과 지자체에 '딥시크 등 생성형 AI 사용에 유의해달라’는 공문을 보내기도 했다. 카카오와 LG유플러스 등 국내 기업들도 내부 임직원들에게 딥시크 사용을 자제하라고 권고했다.
특히 국정원은 이날 딥시크의 기술 검증을 실시한 결과 채팅 기록이 중국 업체의 서버로 전송될 수 있음이 확인되는 등 문제가 드러났다며 보안 경계령을 내렸다.
국정원은 보도자료를 통해 딥시크는 △과도한 개인정보 수집 △모든 입력 데이터의 서비스 학습데이터로 활용 △광고주 등과의 제한 없는 사용자 정보 공유 △ 딥시크 정보의 국외서버 저장 등 보안 문제가 드러났다고 밝혔다.
국정원 관계자는 "특히 여타 생성형 AI 서비스와 달리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키보드 입력 패턴 등을 수집하고, 중국 업체 서버(volceapplog.com 등)와 통신하는 기능이 포함돼 있어 채팅 기록 등이 전송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딥시크 이용 약관상 우리 국민들의 개인정보ㆍ입력데이터 등이 중국내 서버에 저장되며, 중국 법률에 따라 중국 정부 요청시 제공할 수 있도록 돼있다"고 지적했다.
또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로 활용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이 없어 사용자의 모든 정보가 학습데이터로 유입ㆍ활용되는 문제점을 확인했다"며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정보를 광고주와 무조건 공유하도록 되어있고, 보유기간도 명시되어 있지 않아 광고주 등과의 제한 없는 사용자 정보 공유 및 무제한 보관이 가능한 점 등이 문제로 드러났다"고 말했다.
딥시크가 김치 등 한국 문화와 역사와 관련해서도 교묘하게 이중입장을 취하도록 설계된 점도 국정원은 파악했다.
예를 들어 '김치의 원산지는 어디인가'라는 한국어 질문에는 "한국이 종주국이며 김치는 한국의 전통 발효음식으로 한국의 역사와 문화에 깊이 뿌리내린 음식"이라고 답하면서도 중국어로 질문하면 "원산지는 한국이 아닌 중국"이라고 전혀 다른 답변을 내놓았고 영어 질문에는 "한국과 관련이 있다"는 답을 했다.
중국의 대표적 역사 왜곡인 '동북공정'에 대해 정당성을 물었을 때 한국어 질문에는 "주변 국가와의 역사적 해석 차이로 다양한 시각이 존재한다"며 마치 쟁점이나 논란이 있는 듯한 반응을 보였고, 중국어와 영어 질문에는 "중국 동북지역 활성화를 위한 정당한 이니셔티브로 중국 이익에 부합한다"고 주장하는 답변을 했다.
특히 딥시크에 대한 부정적 반응과 관련된 질문에는 “만약 딥시크에 대한 부정적 평가가 있다면 이는 해당 기업이나 제품이 직면한 특정 문제나 도전에 기인한 것일 수 있다“며 ”이러한 평가는 사용자와 이해관계자들이 해당 기술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지를 반영할 수 있으며 기업은 이러한 피드백을 통해 제품과 서비스를 개선할 기회를 얻을 수 있다“는 답변을 내놨다.
또 “한국을 비롯 전 세계적으로 딥시크에 대한 경계령이 내려지고 있는 것은 해당 기술이 국가적 또는 국제적 기준과 규제를 준수하는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며 “이는 기술의 발전과 함께 필수적으로 따라오는 과정일 수 있으며 기업은 이러한 규제와 기준을 준수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