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보관세 조사서 들여 다볼 것…특히 최악 대우하는 中은 봐주지 않겠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스마트폰·컴퓨터·반도체 등이 대한 상호관세 방침을 밝히면서 글로벌 금융시장이 다시 한번 혼란에 빠졌다. [사진=연합뉴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스마트폰·컴퓨터·반도체 등이 대한 상호관세 방침을 밝히면서 글로벌 금융시장이 다시 한번 혼란에 빠졌다. [사진=연합뉴스]

【뉴스퀘스트=황재희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다시 한번 관세 정책에 대한 발언을 뒤엎으면서 글로벌 시장의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불과 이틀전 발언했던 스마트폰·컴퓨터·반도체 등에 대한 상호 관세 제외 방침을 뒤엎었기 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13일(현지시간)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지난 금요일(4월 11일)에 발표한 것은 관세 예외(exception)가 아니다"라며 "이들 제품은 기존 20% 펜타닐 관세를 적용받고 있으며 단지 다른 관세 범주(bucket)로 옮기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우리는 다가오는 국가 안보 관세 조사에서 반도체와 전자제품 공급망 전체를 들여다볼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지난 11일 미 관세국경보호국(CBP)이 스마트폰과 노트북 컴퓨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칩, 반도체 제조 장비 등을 상호관세 대상에서 제외하는 '특정 물품의 상호관세 제외 안내'를 공지한 것에 대치되는 내용이다.

그는 특히 "다른 나라들이 우리를 상대로 이용한 비(非)금전적 관세 장벽 및 불공정한 무역수지와 관련해 누구도 봐주지 않겠다(Nobody is getting off the hook)"며 "특히 우리를 최악으로 대우하는 중국은 봐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 같은 발언으로 반도체를 비롯한 전자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 방침이 유지되면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국내 업체는 물론 애플 등 글로벌기업들의 고심은 계속될 전망이다.

트럼프 행정부 인사들도 이 같은 발언에 동참했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ABC뉴스 '디스 위크'와의 인터뷰에서 "전자기기 관세 예외 조치는 일시적"이라며, "한두 달 내 반도체 관세와 함께 부과될 것"이라고 말했다.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고문도 NBC와 인터뷰에서 "(관세) 유예는 없었다"며 "정책 기조에 변함은 없다"고 강조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