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과학자 1호인 이원철 박사가 연구한 원철성을 관측하는 행사에 참석한 주요 인사들이 모여 기념촬영했다.(앞줄 오른쪽 3번째부터) 이태형 충주고구려천문과학관 관장, 정우성 과학창의재단 이사장, 허두영 과학언론인회 회장, 박병준 충북과학거점센터 센터장, 이용수·장재열 과학언론인회 전 회장, 정태환 출연연과학기술인협의회총연합회(연총) 부회장 [사진=한국과학언론인회]
한국 과학자 1호인 이원철 박사가 연구한 원철성을 관측하는 행사에 참석한 주요 인사들이 모여 기념촬영했다.(앞줄 오른쪽 3번째부터) 이태형 충주고구려천문과학관 관장, 정우성 과학창의재단 이사장, 허두영 과학언론인회 회장, 박병준 충북과학거점센터 센터장, 이용수·장재열 과학언론인회 전 회장, 정태환 출연연과학기술인협의회총연합회(연총) 부회장 [사진=한국과학언론인회]

【뉴스퀘스트=김동호 기자】 “한국의 과학자 1호 박사가 누구인지 아십니까? 또 그 분이 무엇을 연구했는지 아십니까?”

한국과학언론인회(회장 허두영)는 한국의 첫 이학박사인 이원철 박사를 기리기 위해 지난달 29일 충북 충주 살미면 충주유기농체험교육센터에서 ‘칠월칠석, 원철성을 찾아라’는 주제로 별자리 관측 행사를 개최했다.

이날 참석한 전현직 과학언론인과 과학기술 관련 인사 60여명은 원철성 연구과정과 최신 연구동향에 대한 강의를 듣고, 이원철 박사가 연구한 원철성을 망원경으로 직접 관측하며 밤늦게까지 이원철 박사의 삶과 업적을 되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

이번 행사는 한국과학언론인회와 충북과학문화거점센터가 공동주최하고, 충주시청과 과학기술유공자지원센터가 후원했으며, 충북과학관협회가 주관한 가운데, 한국과학창의재단, 한국천문연구원 등 14개 기관이 참여했다.

우남(羽南) 이원철 박사는 미국에서 유학하며 독수리자리 에타별이 맥동변광성이라는 것을 증명해서 1926년 한국에서 처음으로 이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 에타별이 바로 ‘원철성’(源喆星)이다.

선진국의 과학기술을 조국에 뿌리내리기 위해 바로 귀국한 이 박사는 연희전문대 교수, 인하공대 초대 학장, 초대 중앙관상대장, 초대 한국기상학회장을 맡아 국내 천문학과 기상학의 기틀을 다졌다.

2026년 한국의 첫 이학박사 탄생 100주년을 준비하기 위해 진행한 이번 행사에는 과학기술유공자지원센터, 한국과학창의재단, 한국천문연구원, 한국시니어과학기술인협회, 출연연과학기술인협의회총연합회(연총), 과우회, 과학기술포럼, 과학문화융합포럼, 과학기술과사회발전연구회(과사연),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 천문우주과학관협회, 과학문화교육단체연합, 대덕넷, 과학관과문화 등 14개 기관이 참여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