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조연설 하는 정신아 카카오 대표이사. [사진=연합뉴스]
기조연설 하는 정신아 카카오 대표이사. [사진=연합뉴스]

【뉴스퀘스트=김어진 기자】 모바일 메신저 카카오톡이 15년만에 대대적으로 개편된다. 오픈AI의 챗GPT를 탑재하고, 자체 인공지능(AI) 모델 ‘카나나’를 접목할 계획이다.

카카오는 23일 경기 용인시 카카오AI 캠퍼스에서 개발자 콘퍼런스 ‘이프 카카오 25’를 열고 하반기 예정된 카카오톡 개편 등 주요 개발 성과를 공개했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AI 시대의 도래로 우리의 일상도, 대화 방식도 빠르게 달라지고 있다”며 “이번 개편은 이용자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며 시대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하려는 카카오의 전략을 담은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개편으로 카카오톡은 카나나를 접목한 서비스들을 순차적으로 선보인다.

기존 샵(#) 검색을 대체할 ‘카나나 검색’, 보안성을 키운 온디바이스 기반 AI 서비스 ‘카나나 인 카카오톡’ 등을 추가한다. 카나나를 통해 통화 내용 정리 기능과 숏폼 기능에 영상 생성 기술까지 지원할 방침이다.

또 채팅앱에서 ‘메시지 삭제’에 이어 ‘메시지 수정’ 기능을 추가하하고, 채팅방 메시지를 카나나가 요약해주는 기능도 도입한다.

카카오톡 세번째 탭은 ‘숏폼’과 ‘오픈채팅’을 이용하는 ‘지금탭’으로 개편된다.

아울러 친구탭은 프로필 변경 내역과 게시물을 타임라인 형태로 확인할 수 있게 변경되고, 친구 숨김 설정도 가능하다.

[사진=카카오]
[사진=카카오]

오픈AI와의 협업 결과물도 처음 공개됐다.

카카오톡 이용자라면 누구나 채팅탭 상단의 ‘ChatGPT’를 눌러 바로 챗GPT를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주고받은 대화 내용과 콘텐츠는 대화방에 바로 공유할 수 있다.

카카오는 카카오톡에 적용하는 모델은 최신형 GPT-5로, 텍스트와 이미지 처리와 고도화된 맥락 인지 능력을 갖췄다고 설명했다.

또한 카카오의 다양한 서비스와 연결되는 ‘카카오 에이전트’를 통해 별도 애플리케이션(앱) 전환 없이도 카카오맵과 선물하기, 멜론 등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카카오 에이전트는 향후 계열사, 공공기관, 외부파트너 등이 참여하는 AI 서비스 생태계로 확장할 계획이다.

카카오가 직접 개발한 온디바이스(장치 탑재) AI ‘카나나 인 카카오톡’도 선보인다. 카나나 인

카나나 인 카카오톡은 먼저 카카오톡을 보내 일정 관리, 예약, 구매, 지식 검색 등 활동을 제안한다.

이 서비스는 23일부터 카나나 웹사이트에서 베타 테스트 신청을 받으며, 선정된 인원은 다음달 중순부터 테스트에 참여할 수 있다.

정신아 대표는 “오늘을 시작으로 카카오톡의 대화창은 더 많은 것이 실현되는 가능성의 창이 될 것”이라며 “‘카톡 해’라는 말은 이제 단순히 ‘메시지 보내’라는 뜻을 넘어, 카카오 AI를 통해 더 큰 세상을 경험한다는 새로운 의미로 해석될 것이라 믿는다”고 강조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