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데이터처 2025년 사회조사, 19세 이상 71%는 ‘노후준비중’ 통계후 최대
60세 이상 고령자 72% “자녀와 따로 살아”...10명 중 4.3명은 “평소 외롭다”
![[일러스트=챗GPT]](https://cdn.newsquest.co.kr/news/photo/202511/256300_156449_227.png)
【뉴스퀘스트=최석영 기자】 “노후 준비는 늘었지만, 외로움은 피할 수 없었다.”
19세 이상 국민 10명 중 7명(71.5%)은 노후 준비를 하고 있었으며, 또 10명 중 4명은 “평소 외롭다”고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경향은 특히 시니어 세대에서 두드러졌는데, 물질적 대비가 늘었음에도 불구하고 ‘삶의 안정감’과 ‘관계의 온기’는 여전히 부족하다는 것이 그들의 목소리였다. 경제적 준비는 꾸준히 늘었지만, 정서적·사회적 만족감은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국가데이터처는 11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년 사회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10명 중 7명 “노후 준비 중”… 국민연금이 든든한 버팀목
조사에 따르면, 19세 이상 인구 중 71.5%가 노후를 준비하고 있거나 이미 준비돼 있다고 답했다. 이는 2011년 통계 개편 이후 최고치다.
준비 수단으로는 국민연금(58.5%)이 가장 많았으며, 그 뒤를 예·적금(16.9%), 직역연금(8.1%), 사적연금(5.0%), 퇴직급여(4.1%)가 이었다. ‘부동산 운용’으로 노후를 대비한다는 응답은 3.9%에 그쳤다.
그러나 준비의 ‘형태’가 재정적 대비에 집중된 반면, 노후의 ‘내용’은 여전히 생활비와 건강이라는 현실적 고민으로 채워져 있다.
60세 이상 고령자에게 노후생활의 주요 방식을 묻자 소득창출 활동(34.4%)이 취미활동(32.2%)보다 높게 나타났다.
생활비 마련이 가장 큰 이유였으며, 그 부담은 대부분 스스로 감당하고 있었다. 고령자 10명 중 8명(79.7%)은 “생활비를 본인 또는 배우자가 부담한다”고 답했다.
데이터처 관계자는 “노후생활의 자기부담 비중은 증가하고, 자녀나 친척의 지원은 지속적으로 줄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고령자의 72.1%는 현재 자녀와 따로 살고 있었다. 이는 2년 전보다 3.7%포인트 늘어난 수치다. 그 이유로는 ‘독립생활이 가능해서(34.6%)’, ‘따로 사는 게 편해서(34.0%)’가 대부분이었다.
이제 한국의 노인은 ‘함께 사는 부모’보다 ‘혼자 살아가는 개인’으로 자리 잡고 있다.
장례문화의 변화도 눈에 띈다. ‘매장(묘지)’을 선호한다는 응답은 6.8%로, 10년 전의 절반 수준으로 줄었다. 반면 ‘화장 후 봉안(납골)’을 선호하는 응답이 36.5%로 가장 많았다.
![[그래프=국가데이터처]](https://cdn.newsquest.co.kr/news/photo/202511/256300_156450_36.png)
처음 드러난 ‘외로움 통계’...150만명, 관계망 없이 ‘고립된 노인’
이번 조사에서 처음으로 도입된 ‘외로움’ 항목은 우리 사회의 또 다른 민낯을 드러냈다.
국민 10명 중 4명(약 40%)이 “평소 외롭다”고 답했으며, 65세 이상 고령층의 외로움 비율은 43.4%로 평균을 웃돌았다.
특히 사회적 관계망이 없고 외롭다고 응답한 인구는 전체의 3.3%에 달해 약 150만 명으로 추산됐다. ‘도움을 청할 사람도, 대화할 상대도 없는 상태’가 실제 수치로 드러난 셈이다.
고령층 중 4.5%는 사회적 관계망이 전혀 없는 ‘고립된 외로움’ 상태였다. 또한 일주일에 한 번도 외출하지 않는 비율이 2.7%에 달했으며, 그 이유의 70%가 ‘건강상의 어려움’이었다.
이는 단순한 정서적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 돌봄 체계의 사각지대를 의미한다. ‘혼자 사는 게 편하다’는 독립의 언어 뒤에는, ‘도와줄 사람 없는 현실’이 숨어 있다는 지적이다.
“계층상승 어렵다”는 냉정한 현실 인식...그러나 교육은 포기 못해
사회경제적 인식에서는 계층 상승에 대한 비관론이 여전했다.
19세 이상 인구의 57.7%가 “본인 세대의 지위 상승 가능성이 낮다”고 응답했다. 자녀 세대 역시 54.1%가 “계층 상승이 어렵다”고 봤다.
그럼에도 국민 다수는 여전히 “교육비만큼은 줄이지 않겠다”고 답했다. 재정이 어려워질 경우 외식비(67.2%)를 가장 먼저 줄이겠다는 응답이 많았지만, 교육비 절감 응답은 6.1%에 불과했다.
우리 사회가 자녀 교육을 ‘미래 희망의 끈’으로 여기는 정서가 여전히 강하게 남아 있는 셈이다.
이번 사회조사는 단순한 통계가 아니라, 우리 사회의 노후 패러다임이 ‘경제적 준비에서 정서적 돌봄’으로 이동해야 함을 시사했다.
국민 대다수가 노후를 위해 저축하고 연금을 납부하지만, 여전히 고립과 외로움 속에 살아가는 현실에서 ‘돈보다 관계’의 복지가 절실하다는 것이다.
한 노년 전문가는 “시니어 세대의 외로움은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 인프라의 문제”라며 “지역사회 돌봄, 소셜클럽, 세대통합 프로그램 등 적극적인 정책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