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선물위원회, 미래에셋·한국투자 IMA 사업자 지정 안건 심의·의결
9월 말 신청서 낸 NH투자증권, 서류 심사 단계 진행 중
임직원 미공개정보 이용 의혹 불거진 후 사후 대책 마련에 ‘전력투구’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최근 금융위원회 산하 증권선물위원회는 정례회의를 열고, 미래에셋·한국투자증권의 IMA 사업자 지정 안건을 심의·의결했다. 여의도 증권가. [사진=연합뉴스]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최근 금융위원회 산하 증권선물위원회는 정례회의를 열고, 미래에셋·한국투자증권의 IMA 사업자 지정 안건을 심의·의결했다. 여의도 증권가. [사진=연합뉴스]

【뉴스퀘스트=김민수 기자】지난 2017년 제도 도입 이후 아직까지 실제 운영 사례가 없었던 ‘종합투자계좌(IMA)’ 사업자 1호 명단에 미래에셋증권과 한국투자증권이 공동으로 이름을 올릴 전망이다.

국내 주요 증권사들이 IMA 사업자 등록에 앞 다퉈 나서고 있는 가운데 3호 사업자에는 NH투자증권이 선정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1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최근 금융위원회 산하 증권선물위원회는 정례회의를 열고, 미래에셋·한국투자증권(가나다 순)의 IMA 사업자 지정 안건을 심의·의결했다.

IMA는 대형 증권사가 원금 지급 의무를 지는 조건으로 고객예탁금을 기업금융 관련 자산에 대거 투자해 수익을 얻는 금융 상품을 뜻한다.

투자자는 별다른 손실 위험 없이 초과 수익을 기대할 수 있고, 증권사는 기업 대출 등 다양한 기업금융 사업에 투자할 수 있기 때문에 대다수 증권사들이 사업자 지정에 관심을 갖고 있다.

이달 중 금융위원회 정례회의 의결을 통과할 경우 미래에셋·한국투자증권은 IMA 사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증권선물위원회에서 심의·의결된 만큼 1호 사업자 지정은 무난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래에셋증권·한국투자증권에 이어 IMA 사업자 선정이 유력한 곳은 NH투자증권이다. NH투자증권은 미래에셋·한국투자증권보다 약 두 달 정도 늦은 올해 9월 신청서를 제출했다.

현재 서류 심사 단계가 진행 중이며, 모회사 농협금융지주를 통해 6500억원의 자금을 유상증자로 지원받아 자기자본 8조원 요건을 충족할 정도로 IMA 사업자 선정에 많은 공을 들이고 있다.

다만, 최근 내부 고위 임원의 미공개정보 이용 의혹이 불거진 점이 NH투자증권의 사업자 선정 심사과정에서 발목을 잡을 수 있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자본 규모, 사업성과, 모기업 지원 등만 보면 NH투자증권도 IMA 사업자 선정에 큰 문제는 없어 보인다”며 “그동안 모험적 자본 투자에 대한 높은 열의를 보여온 점도 NH투자증권의 강점”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현재 금융당국이 불공정 거래 척결을 강력하게 외치고 있는 상황에서 갑자기 불거진 내부 고위 임원의 미공개정보 이용 의혹은 NH투자증권 입장에서는 적지 않은 타격”이라며 “이 부분을 어떻게 해소할지가 관건인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현재 NH투자증권은 내부통제 강화 TFT(태스크포스팀)를 통해 ‘신뢰 강화 대책방안’을 발표한 후 무관용 ‘원스트라이크 아웃’ 제도 등 후속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미공개 중요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인원을 전사적으로 등록·인증하는 ‘미공개중요정보 취급 임직원 등록관리시스템’을 도입하고, 기존에는 본부 단위 조직 체계에 따라 이뤄졌던 내부통제를 프로젝트 별로 관리해 정보 접근의 투명성과 추적 가능성을 높일 예정이다.

특히 전사 임원을 대상으로 국내 주식 매수를 금지시켜 미공개정보를 사적으로 활용할 가능성을 원천봉쇄하기로 했다.

이번 조치에 대해 윤병운 NH투자증권 대표이사는 “내부통제 강화 TFT가 구축한 ‘신뢰 강화 대책방안’은 신뢰를 단순한 선언이 아닌 시스템으로 즉각 구현하는 실질적 혁신”이라고 말했다.

이어 “정보관리 투명성과 내부통제 효율성을 모두 강화해 금융투자업계의 신뢰 강화 기준을 새로 세우겠다”고 강조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