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20일 장전 국내시황]

【뉴스퀘스트=박정식 주식디자인연구소 대표 】 엔비디아의 실적 공개를 앞두고 美 증시가 장중 변동성을 보이기도 했지만, 엔비디아 실적 기대감과 최근 증시 약세에 따른 반발 매수세가 등이 유입되는 모습이다.

또한 엔비디아는 장 마감 후 시장예상치를 웃돈 실적을 발표했다. 3분기(8~10월) 주당순이익(EPS)은 각각 1.30달러, 매출액은 570억1,000만 달러를 기록해 시장예상치 1.25달러와 549억2,000만 달러를 모두 상회했다.

순이익은 319억1,000만달러로, 전년동기 193억1,000만달러 대비 65% 증가했으며, 특히 핵심 사업부문인 데이터센터 매출액은 512억달러를 기록해 애널리스트 예상치인 490억9,000만달러를 크게 웃돌았다.

아울러 올해 4분기 매출 전망치를 약 650억달러로 제시했으며, 이는 월가가 예상한 616억6,000만달러를 웃도는 수준이다.

한편 12월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동결 가능성은 여전히 커지고 있으나 최근 발표된 실업수당신청건수를 보았을때 20일 발표되는 9월 고용동향보고서는 시장에 크게 충격을 주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고용지표만 양호하게 나온다면 Fed의 금리 동결 요소는 시장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을 수도 있다. 

전날(11/19)까지 국내증시는 KOSPI 3,929.51(-0.61%) KOSDAQ 871.32(-0.84%)으로 하락 마감 했다.

하지만 기관의 매수력이 강하게 유입된 것으로 보아 엔비디아 실적이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을 가능성이 보였는데 역시나 엔비디아 실적이 매우 긍정적으로 발표되어 오늘 시장 흐름은 일부 반등하는 흐름으로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코스피 투자주체 일자별추이 대금 [출처 신한아이 HTS]
코스피 투자주체 일자별추이 대금 [출처 신한아이 HTS]

코스피 투자주체 수급을 보면 외국인 순매도를 지속되는 모습이지만 기관의 강한 순매수 흐름으로 보았을 때 엔비디아 실적 영향을 크게 받아 움직일 모습인데, 엔비디아 실적이 긍정적으로 발표 됬으니 이대로 기관 매수력은 강하게 유지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여기서 외국인만 강하게 유입된다면 증시는 쭉 나아갈 수있겠지만 외국인이 유입되지 않는다면 기존 출렁되는 증시 흐름이 지속 될 가능성이 있다.  

코스피 코스닥 일봉차트 [출처 신한아이HTS] 왼쪽 코스피 / 오른쪽 코스닥
코스피 코스닥 일봉차트 [출처 신한아이HTS] 왼쪽 코스피 / 오른쪽 코스닥

기술적 포지션으로 보면 코스피 반등이 4040선 위로 올라탄다면 추가 상승 가능성이 높지만 그 아래에서 돌파 못하고 움직인다면 지금과 같은 출렁되는 지그재그 흐름이 지속 될 수 있다. 코스닥도 이대로 한 단계 더 나아가려면 893선을 돌파해야 한다. 

엔비디아 호실적 덕분에 전반적으로 상승 흐름이 예상되는 상황이기 때문에 삼성전자, SK하이닉스를 필두로 한 반도체 종목들이 시장 상승을 견인 할 것으로 보이고 그 동안 많이 하락했던 원전주들도 일부 반등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 지수 상승 흐름으로 인해 많은 상승 이슈들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 전일 상승 이슈는 아래와 같다. 

▷중국, 일본산 수산물 수입 중지 통보 소식 등에 수산 테마 상승.

▷러시아-우크라이나 긴장 고조 속 국제유가 강세 영향 등에 정유/ LPG(액화석유가스) 테마 상승.

▷엔비디아, 삼성전자와 AI 휴머노이드 개발 협력 공식 인정 소식 등에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中·日 갈등 격화 속 반사이익 기대감 지속 등에 여행, 항공/저가 항공사, 호텔/리조트, 화장품 등 테마 상승.

▷美 자율주행 로보택시 시장 확대 가속화 등에 일부 자율주행차 테마 상승.

▷日 정부, 중국의 희토류 수출 규제 강화 우려 소식 등에 일부 희귀금속(희토류 등) 테마 상승.

▷내년 1월부터 페트병 재생원료 사용 의무화 모멘텀 지속 등에 탈 플라스틱(친환경/생분해성 등) 테마 상승.

11/19(수) 장 마감 후 시간외 거래에서는 에이디테크놀로지가 122.91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1.54%) 규모 암호화폐 채굴용 주문형 반도체 설계 개발 공급계약 체결 등에 상승. 트럼프 행정부,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 논의 재시도 소식 등에 SG, 금강공업, 에스와이스틸텍 등 시간외 일부 우크라이나 재건/모듈러주택 테마가 상승했다.

반면, 삼영엠텍은 투자재원확보 목적 136.04억원 규모 자사주 처분 결정 등에 약세를 나타냈다.

거래량 상위 종목으로는 CJ씨푸드, 재영솔루텍, 한라캐스트, 에이비프로바이오, 삼영엠텍 등이 있다..

11/19(수) 대체거래소(NXT) 애프터마켓에서는 3자 배정 유상증자 결정 공시로 차바이오텍이 상승했다.

 네이버 자회사 네이버파이낸셜과 암호화폐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의 합병이 26일 양사 이사회에서 최종 확정 된다는 소식에 우리기술투자, NAVER 등이 상승 했다.

 NHN KCP-JP모간 기업자금관리부, 로레알코리아 결제서비스사 선정 소식에 NHN KCP가 상승했다. 

정부·업계, 태양광 제품 국산화 추진 소식에 HD현대에너지솔루션, OCI홀딩스 등이 상승했다. 이 외에도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 논의 재시도 소식에 전진건설로봇 등 건설기계 태마가 상승했고 피에스케이, 원익IPS 등이 엔비디아 호실적 기대감에 상승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