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3년간 신규 택시 30%가 전기차…직전 3개년 평균 2.3%
연료비, LPG 차량 대비 3분의 1 수준, 교체 필요 소모품 적은 것도 장점

더 뉴 아이오닉 5 [현대자동차 제공=뉴스퀘스트]
더 뉴 아이오닉 5 [현대자동차 제공=뉴스퀘스트]

【뉴스퀘스트=권일구 기자 】 현대자동차그룹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를 적용한 택시 전기차의 판매량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E-GMP 전기차의 높은 상품성과 내구성에 대한 긍정적 경험담이 입소문을 타면서 붐(Boom)을 일으킨 것으로 풀이된다.

30일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에 따르면, E-GMP 기반 전용 전기차인 현대차 아이오닉 5와 기아 EV6가 시장에 출시된 2021년~2023년까지 3년간 국내에 등록된 전기차 택시는 3만3400대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신규 등록된 전체 택시는 11만1583대로 전기차 택시의 비중은 약 30%에 달한다.

E-GMP 출시 이전인 2018년~2020년 3개년 간 신규 택시 중 전기차의 비중은 2.3%였지만, 출시 이후 약 13배 급증한 것이다.

최근 3년간 국내에서 전기차 택시로 가장 많이 등록된 차종은 아이오닉 5로 총 1만4804대가 등록됐다.

이어 EV6(7353대), 아이오닉 6(3913대)가 각각 2위와 4위를 차지하면서 E-GMP 기반의 세 차종이 해당 기간 등록된 전체 전기차 택시의 78%를 차지했다.

이외에도 기아 니로 플러스(4237대)와 니로 EV(2571대)가 각각 3위, 5위에 올랐고, 현대차 코나 일렉트릭(446대)이 6위로 뒤를 이었다.

현대차그룹에서 택시 영업용 트림을 운영하는 차종은 아이오닉 5와 니로 플러스뿐으로 EV6, 아이오닉 6 등 일반 고객용 차량을 구매한 다음 개조해 운행하는 택시기사가 늘고 있다는 것이 현대차그룹의 설명이다.

택시 업계 관계자는 E-GMP 전기차에 대해 “우수한 주행가능거리 및 전비, 400V·800V 멀티 급속 충전 시스템, 주행 성능과 정숙성이 강점”이라며 “낮은 연료비·유지비라는 전기차의 공통된 속성 외에도 E-GMP의 뛰어난 상품성이 택시 영업의 질을 높였다”고 평가했다.

일일 운행거리가 긴 택시 영업 특성 상 업계에는 20만km, 30만km 이상의 누적 주행거리를 기록해 전기차 내구성을 몸소 입증한 택시기사가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9월 EV6를 출고한 택시기사 김병철(50)씨는 2년 8개월 간 약 31만km를 운행했다.

최근 배터리 진단 평가를 받은 결과 누적 주행거리 31만km를 넘긴 EV6의 배터리 수명(SOH, State of Health)은 97.3%를 기록해 여전히 신품과 같은 상태를 보여줬다.

급속 충전 경험과 장거리 운행에 대해서도 충전기 대수가 크게 늘고 충전 출력도 높아져 운행 부담이 없다고 전했다.

2022년 4월 아이오닉 5를 출고해 약 20만km를 달려온 택시기사 임채민(68)씨도 “E-GMP 전기차는 최고 수준의 에너지 효율성과 경제성이 강점”이라고 설명했다.

임씨는 “연료비가 기존에 LPG 차량 운행할 때의 3분의 1 이하로 줄었고 내연기관차에 비해 교체가 필요한 소모품도 적어 유지비를 줄여줄 뿐만 아니라 정비소에 방문할 일이 거의 없어 시간도 아껴준다”고 말했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자동차가 곧 사무실이자 생계 수단인 택시기사에게 긍정적인 전기차 경험을 제공할 수 있어 뿌듯하다”며 “누구보다 오랜 시간 전기차를 운행하는 택시기사의 긍정적인 경험이 전기차에 대한 대중의 오해를 해소하고 전동화를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