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 개편 통한 2조6000억원 규모 현금, 핵심 사업 재투자 및 주주환원
이차전지소재 풀밸류체인 완성, 차세대전지 소재시장 선점 캐즘 돌파
![포스코홀딩스는 12일 서울 강남구 포스코센터에서 ‘제3회 포스코그룹 이차전지소재사업 Value Day(밸류데이)’를 개최했다. 오는 2026년까지 구조개편을 통해 약 2조6000억원의 현금을 마련, 이를 핵심 사업 재투자 및 주주환원에 사용한다. [포스코그룹 제공=뉴스퀘스트]](https://cdn.newsquest.co.kr/news/photo/202407/227312_122991_2555.jpg)
【뉴스퀘스트=권일구 기자 】 포스코홀딩스가 오는 2026년까지 구조개편을 통해 약 2조6000억원의 현금을 마련, 이를 핵심 사업 재투자 및 주주환원에 사용한다.
포스코홀딩스는 12일 서울 강남구 포스코센터에서 약 2조원 규모의 자사주 소각을 포함한 그룹 ‘기업가치 제고 전략방향’과 ‘이차전지소재사업 고도화전략’을 소개하는 ‘제3회 포스코그룹 이차전지소재사업 Value Day(밸류데이)’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정기섭 포스코홀딩스 전략기획총괄(CSO, 대표이사 사장), 김준형 이차전지소재총괄(부사장), 홍영준 이차전지소재연구소장(부사장) 및 국내외 기관투자가, 증권사 애널리스트 등이 참석했다.
포스코그룹은 기업가치 제고 전략방향으로 철강과 이차전지소재사업에 그룹의 자원과 역량을 집중한다.
포스코그룹은 철강사업 부문에서 인도와 미국지역에 상공정 투자를 추진하고, 동시에 저수익 자산 구조조정을 통해 자산 운용 효율성을 제고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이차전지소재산업은 ‘캐즘(Chasm 시장 성장둔화)’ 시기를 적극 활용해 우량 자원 확보하고, 효율적인 양산체계 구축 등 근원경쟁력을 강화한다. 이를 통해 탑티어(Top-tier) 수준의 원료·소재기업으로 도약한다는 목표다.
이와 함께 자본 효율성 제고를 위해 전략이 맞지 않거나 수익이 낮은 사업, 불용 자산 등 120개의 구조개편 계획도 확정했다.
포스코그룹은 오는 2026년까지 구조개편 대상의 97% 이상을 완료해 약 2조6000원의 현금 유입을 기대하고 있다. 이를 통해 유입된 현금은 성장을 위한 핵심 사업 재투자 및 주주환원에 사용할 계획이다.
강력한 주주환원정책도 이어나간다.
포스코홀딩스는 현재 보유한 자사주 10% 중 교환사채 발행에 따른 의무 예탁분 4%(345만주)를 제외한 6%(525만주, 약 1조9000억원)을 2026년까지 전량 소각한다.
또 추가로 1000억원 수준의 자사주를 신규 매입해 즉시 소각키로 이사회 의결했다. 향후 주주가치 제고 목적의 신규 취득 자사주는 임직원 활용 외 즉시 전량 소각하겠다는 것이 기본 정책 방향이다.
‘이차전지소재사업 고도화 전략’에 있어서 포스코그룹은, ▲풀 밸류 체인(Full Value Chain) 완성 ▲사업경쟁력 강화 ▲차세대전지 소재시장 선점을 통해 캐즘을 돌파해 나갈 계획이다.
이어 김준형 부사장은 “2026년까지 이차전지소재사업에서 약 11조원의 그룹 매출을 달성하겠다”고 말했다.
올해는 포스코그룹이 보유한 이차전지소재 모든 공급체계를 본격가동하는 원년으로, ‘풀 밸류 체인 완성’을 통해 고객 맞춤형 통합솔루션 제공을 추진한다.
이와 함께 철강사업의 글로벌 경쟁력 1위의 노하우를 그룹 이차전지소재사업에도 공유해 운영 및 조업 경쟁력 제고에 나설 계획이다.
미래기술연구원-포스텍-포스코퓨처엠과 연계한 산학연 역량을 총 동원한 그룹 시너지 창출을 통해 이차전지소재사업의 본격 성장을 견인 한다는 방침이다.
사업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캐즘을 기회로 염호, 광산 등 리튬 우량자원을 확보하고, 글로벌 무역규제에 대비해 국내에서 제련, 정제를 마친 미국인플레이션감축법(IRA) 적격 니켈 제품을 생산한다는 전략이다.
양극재는 고객 다변화 및 제품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음극재는 세계 유일 IRA적격, 외국우려기업에 해당하지 않는(Non FEOC) 생산기업으로 천연, 인조, 실리콘계 등 음극재 풀 라인업을 강화할 방침이다.
차세대전지 소재시장 선점을 위해서는 고객사 전고체전지 상용화 계획과 연계해 전고체전지 3대 핵심구성요소인 양극재, 고체전해질, 리튬메탈 음극재를 모두 공급한다.
향후 포스코그룹은 이차전지소재사업 분야에 투자를 지속해 2026년까지 리튬 9만6000톤, 니켈 4만8000톤, 양극재 39만5000톤, 음극재 11만4000톤까지 확대를 목표하고 있다.
정기섭 사장은 “철강과 이차전지소재사업에 그룹의 자원과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며 “성장 투자, 저수익 자산 조정 등 자본 효율성 개선과 함께 향후 3년간 교환사채 예탁분을 제외한 자사주 전량을 소각하는 등 강력한 주주환원 정책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포스코그룹은 ‘미래를 여는 소재, 초일류를 향한 혁신’의 신경영비전을 발표하고, 철강, 이차전지 및 신소재를 축으로 오는 2030년 시가총액 200조를 목표로 소재분야 글로벌 최고 기업가치를 달성하겠다고 밝힌바 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 포스코그룹, 2030년 시가총액 200조 목표...철강·이차전지소재‧신소재사업 육성
- 포스코 포항 4고로, 3차 개수 마무리…화입식 진행 '본격 재가동'
- 포스코, 민관합동 소방안전훈련으로 '비상상황 대응 역량 강화'
-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 “자동차 시장, 결국 전기차로 전환될 것”
- 포스코그룹, 미래세대들과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ESG 레벨업그라운드’ 개최
- 장인화 포스코 회장 "이차전지소재 투자 축소 없다...글로벌 경쟁력 확보 매진"
- 포스코홀딩스, 2분기 영업익 7520억원...“철강‧이차전지소재사업 성장 지속”
- 포스코퓨처엠, 2분기 영업이익 27억원...전년 동기 比 94.8% ↓
- 포스코‧르노코리아 맞손...기가스틸•포스젯 적용 ‘뉴 르노 그랑 클레오스’ 공동 프로모션
- 포스코, 단순 반복 수작업 이젠 ‘RPA’가 맡는다...‘생산성‧효율성’ 다 잡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