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보안 전담 조직 갖추고 시스템 확립, 미래 모빌리티 분야 보안 관리 역량 지속 강화
![현대모비스가 유럽자동차 제조•공급협회로부터 차량 사이버보안인증(VCS)을 취득했다. 지난 25일 경기도 용인에 위치한 기술연구소에서 진행된 인증서 전달식에서 압둘 칼릭 현대모비스 SW혁신전략실장(왼쪽)과 레날드 올리 유럽자동차 제조•공급협회장(오른쪽) 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현대모비스 제공=뉴스퀘스트]](https://cdn.newsquest.co.kr/news/photo/202409/231853_128789_1541.jpg)
【뉴스퀘스트=권일구 기자 】 현대모비스가 글로벌 자동차 보안 표준에 앞장서고 있는 유럽에서 아시아 부품 업체 최초로 사이버 보안인증을 획득했다.
현대모비스는 경기도 용인에 위치한 기술연구소에서 유럽자동차 제조•공급협회(ENX)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사이버보안인증서 전달식을 진행했다고 26일 밝혔다.
사이버보안은 차량에서 소프트웨어의 비중이 커지고 사용자 맞춤형 데이터 처리가 늘어나고, 차량 보안에 대한 각국의 법규가 강화되고 있어 그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이에 현대모비스는 차량 보안 관련 인증이 글로벌 제품과 수주의 핵심 경쟁력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선제적 대응에 나섰다.
ENX는 다임러와 폭스바겐, BMW, 보쉬 등 유럽 완성차와 부품업체로 구성된 협회로, 차량 사이버보안 관련 인증(VCS; Vehicle Cyber Security)을 주관한다.
이 협회의 인증은 유럽 완성차 고객사를 대상으로 한 부품 수주 단계에서 필수 조건이 될 정도로 공신력을 인정받고 있다.
자동차 산업에서 사이버보안은 외부 해킹과 같은 사이버 공격의 위험에 대응하고 사용자 개인 정보 유출 등을 막기 위해 신뢰할 수 있는 보안 기술이다.
이번에 취득한 VCS는 현대모비스가 개발, 생산하는 주요 제품이 유럽 자동차 사이버보안 법규를 준수하고 있으며, 회사가 이를 위한 업무 절차와 시스템을 갖추고 있음을 의미한다.
제품 설계부터 평가, 품질, 생산, 양산 후 관리까지 전 분야가 보안 인증의 대상이다.
현대모비스는 이번 인증 취득으로 자동차 사이버보안 분야 우수한 역량과 신뢰성을 바탕으로 글로벌 수주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지난 2020년부터 사이버 보안 관련 전담 조직을 갖춰온 현대모비스는, 자동차 사이버보안 업무 시스템(CSMS; Cyber Security Management System)을 고도화해 왔다.
사용자 안전을 위해 글로벌 법규와 표준에 부합하는 차량 보안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한 결과 이번 인증 취득으로 이어졌다는 평가다.
천재승 현대모비스 FTCI(미래융합기술 총괄)장은 “달리는 스마트폰으로 불리는 미래차 산업에서 사이버보안의 중요성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며 “유럽 뿐 아니라 다른 지역의 법규와 표준에도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역량을 끌어올리겠다”고 말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 “예비 및 새내기 아빠 모여라”...현대모비스, ‘육아 골든벨’ 개최
- 현대모비스, ‘M-SPHERE(엠스피어) 2024’ 개최...AIㆍVR 등 활용 40여 종 모빌리티 제조신기술 공개
- 현대모비스 '모빌리티 신소재 R&D' 성과...핵심소재 3대 개발 전략은?
- 현대모비스,1급 멸종위기종 복원해 친환경 생태계 보전 나선다
- 현대모비스-슬로바키아 정부, 연 30만대 생산 전동화 신공장 구축 투자 협약 체결
- 현대모비스, 3분기 영업이익 9086억원...전년 동기 比 31.64% ↑ '고부가가치 부품 공급 증가 영향'
- 현대모비스, 지역사회 위한 맞춤형 사회공헌활동 지속 확대한다
